• 제목/요약/키워드: 계측시간

검색결과 1,140건 처리시간 0.031초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automatic alert populating system in Geotechincal Monitoring field (지반 분야에서의 시설물 안전위험 자동화 상황전파 시스템 개발)

  • Jung, Jea-Hyen;Kim, Yong-Su;Han, Sang-Jea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933-939
    • /
    • 2010
  • Gathering information and systemization of infrastructure disaster management is to reduce uncertainties in making decisions and maximize the number of alternations for reasonable decision making. The key object is the progress report & propagation automation system based on sensors, which is major for providing objective data to realize and support decision makings and delivering decision to a certain area, department, manager and other people rapidly. Collecting, reviewing and database of existing progress report & propagation manual in order to achieve networking of safety management on major social infrastructure of the nation, materialization of field-oriented intelligent business process by developing mobile safety management command transmission device and integrating it into facility safety management network.

  • PDF

Development of O-Ring Measurement Systems of Muscular Meridians for objectification of Constitutional Diagnosis (체질 진단의 객관화를 위한 O-Ring 경근 계측시스템의 개발)

  • 정동명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6권4호
    • /
    • pp.555-561
    • /
    • 1995
  • In this paper, the O-Ring Measurement System (O-R MS) has been designed to supplement such subectivity and apply to the diagnosis by constitution. A single chip microprocessor of Intel MCS-51 family has been used to control the O-R MS and process data with real time, and the O-R MS could measure the minute muscular strength, expanded width between fingers, and time of the measurement. Therefore the objective constitutional diagnosis is possible by the O-R MS. As a clinical testing for estimating credibility of O-R MS, the acupuncture points representing the constitution has been stimulated using a semiconductor laser stimulator and measure the muscular strength by the O-R MS. The result of clinical testing has been shown that the constitutional diagnosis with the O-R MS is proved highly precision of 96% and it is expected that the O-R MS can be used practically for the objective constitutional diagnosis.

  • PDF

Development of a Cross-sectional River Data Management System based on Standardized River GeoSpatial Data Model (하천공간정보 표준 자료모형 기반의 하천단면자료 관리기술 개발 연구)

  • You, Ho Jun;Kim,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7-107
    • /
    • 2017
  • 최근 과학 기술의 발달과 정보화로 인해 다양한 분야의 방대한 정보들이 디지털화되어 저장되고, 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특히, 수자원 분야에서도 지점 관측 형태의 직접 계측방식이 아닌 선, 면 형태의 간접 계측방식의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수의 양질의 자료를 취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과거에 비해 방대하고 연속적인 하천공간정보가 축척되었으며, 이를 저장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천공간정보 중 하천단면자료는 하천기본계획수립 시 핵심이 되는 자료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하천의 흐름 특성을 해석하기 위한 여러 물리 모형의 입력 자료로서, 하천의 물이 흐르는 하도공간을 흐름방향의 횡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생기는 면을 기록한 자료이다. 국가에서는 하천단면자료 계측을 위해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며, 실제로 많은 수의 하천에서 하천단면자료를 계측하고 있다. 하지만 계측된 하천단면자료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도하는 응용프로그램용 파일(CAD)로 저장되어, 하천단면자료를 지속적으로 저장 관리 모니터링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하천단면자료를 지속적으로 저장 관리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현재 개발 중인 하천공간정보 표준 자료모형과 하천공간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표준자료 전송 언어인 RiverML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입한 하천공간정보 표준 자료모형은 하천망을 기반으로 한 상호연계를 기본으로 하고 있어, 하천망을 구성하는 각 하천과 해당 하천의 단면자료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쉬우며, RiverML은 이와 유사하게 하천망을 기반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기 쉬운 전송언어이다. 또한 국가에서 개발한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인 브이월드(Vworld)의 API를 활용하여 저장된 하천단면자료를 표출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천단면자료 저장 관리 모니터링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하천에서 계측되는 공간정보뿐만 아니라 하천의 시설물, 생태환경, 문화 등의 하천공간정보과 연계하여 효율적인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gricultural water consumption using real-time electricity data Research on measurement facilities (실시간 전력량자료를 활용한 농업용수 사용량 계측시설에 관한 연구)

  • Cho, Sang Uk;Cheon, Jeong Hwan;Song, Jae Hyun;Baek, Jo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63-263
    • /
    • 2022
  •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물의 수요와 공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유량도 중요하지만 좀 더 정확한 물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하천수 사용량 파악이 중요하다. 하천수 사용량 계측기술의 검증 및 표준화를 통해 실측기반의 하천수 사용량 자료 수집 및 활용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직·간접적 사용량 측정 및 월 단위 보고체계를 개선할 목적으로 기존의 측정방법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하천수 사용량의 표준화된 계측 및 자료수집 체계 개선 방안과 실시간 계측자료 기반의 관리체계를 마련하여 자료를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하천수 사용량 파악을 위한 사용시설 현황을 검토하기 위해 제원정보 및 허가량이 유효한 14,575건 중 농업용 하천수 사용시설은 12,745개소로 전체의 88.9%, 허가량 대비 81.3%(생활·농업·공업용수 대상)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하천수 사용량 보고대상인 8,000 m3/일 이상의 1,696건에 대한 자료의 수집이 수행된다면, 전체 농업용수의 86.0%에 해당하는 사용량 자료를 파악할 수 있다. 하천수 사용량 수집체계 개선 우선 대상인 1,696개소는 양수장 1,196개소(70.5%), 취수보 500개소(29.5%)로 보고규모 이상의 시설을 우선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적용 초기에 많은 사용량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전력량-사용량관계 곡선식을 이용한 환산유량은 하류단 양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초기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오차율도 양호하여 만족할 만한 정확도와 경제성을 갖는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전국에 위치한 농업용수 사용량 자료의 확보는 현실적으로 어렵고, 하천수 보고유량은 초기설치비용이 들지 않지만 가동시간을 수기로 기록함에 있어 인건비 등의 연간운영비가 많이 소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간 전력량자료 수집이 가능한 양수장의 경우, 전력량-사용량관계곡선식을 활용한 방법으로 실시간 하천수 사용량 자료 수집을 통해 보다 경제적이고 정확한 자료수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실시간 하천수 사용량 계측자료의 활용성 향상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Validation of the rainfall-runoff ratio of the Namgang Dam flood inflow using physically-based runoff model for upstream residual basin (댐상류 잔유역의 물리기반 유출모형을 이용한 남강댐 유입홍수 유츌률 검증)

  • Lee, Jun;Hong, Sug-Hyeon;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08-308
    • /
    • 2021
  • 다목적댐의 홍수조절운영에 있어서 댐유입량은 직접 관측의 어려움과 오차로 인해 정확한 유량을 산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남강댐 유역의 경우 유역면적대비 과소한 저수용량으로 말미암아 급격한 홍수유입이 발생할 경우 유출률이 비정상적 수치를 보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기반의 격자형 유출모형을 댐 직상류 잔유역에 적용하여 유출률을 산정 후 남강댐 계측유입량의 타당성을 간접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댐유역에서 잔유역은 직상류 수위표지점 하류의 유역을 일컬으며, 이들 수위표지점에서 홍수시의 배수영향은 최소화될 만큼 이격되어 있고, 댐체 혹은 취수탑에 부착된 수위표와는 달리 기계적 진동의 영향이 최소화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면, 수위계측지점의 유량을 경계조건으로 활용하여 작은 면적에 대한 정밀한 수문학적 유출모델링을 통하여 비교적 신뢰성있는 유출값을 추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남강댐 잔유역은 유역 내 산청, 신안, 창촌 수위관측소를 기준으로 상류의 유역을 제외한 부분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10m 격자에 대하여 모든 입력자료를 가공하였으며, 입력자료 중 지형자료는 WAMIS에서 제공한 DEM, 토지피복도, 토양도를 활용하였다. 강우자료는 유역 내 위치한 25개 강우관측소의 시단위 강우자료를 활용하였고, 강우사상은 진주 기상관측소의 일우량 100mm 이상을 기준으로 총 8개의 강우사상을 선정하였다. 남강댐 유역의 유출률을 산정하기 위해 산청, 창촌, 신안 등 3개의 수위관측소의 관측유량을 경계조건으로 사용하였고, 모의된 수문곡선의 총유량과 첨두유량을 관측값과 비교하였다. 유출률을 산정하기 위한 기준시간은 강우시작부터 강우종료 후 48시간으로 설정하였다. 유출률은 강우사상별로 편차가 심한 특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전체적으로는 계측유량기준 106~39.1%의 유출률이 보정된 유량을 통해서는 85~33%의 유출률로서 계측유량이 전반적으로 과대추정 되는 경향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중 2010년 7월 강우사상은 관측 유입량 기준 95.6%의 유출률을 보여, 추정유량 58.5%대비 상당한 과대추정 경향을 보인 사례로 판단할 수 있었다. 수문학적 유입량 추정방법은 현장계측을 대체할 수 있는 기법으로는 무리가 있으나 현장계측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Model of Mobile Phone Menu Interface (휴대전화 메뉴 인터페이스의 사용시간 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

  • Lee Jee-Su;Paik Doo-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27-730
    • /
    • 2006
  • 최근 휴대전화의 보급률이 증가하고, 많은 기능이 집약되면서 휴대전화 인터페이스는 HCI 분야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행위 모델링 기법인 GOMS를 사용하여 휴대전화의 계층 메뉴 구조를 분석하고 사용 시간을 예측하는 개선된 모델을 제시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계층메뉴 구조 내의 모든 작업을 숙련된 작업으로 가정하여 사용 시간 예측모델을 구성하였다. 하지만 실제로 휴대전화의 계층 메뉴 구조 내에는 사용자에게 숙련이 되는 작업과 숙련되지 않는 작업이 섞여 있기 때문에 모든 작업을 숙련된 작업으로 가정할 경우 정확한 사용 시간의 예측을 기대하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계측 메뉴 구조의 정확한 사용시간 예측을 위해, 계층메뉴 상의 작업을 숙련된 작업과 숙련되지 않은 작업으로 분리하여 별도로 사용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시간 예측모델에 필요한 정신적 준비시간(Mental Operator)의 종류를 제시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 PDF

The Fault Diagnosis Model of Ship Fuel System Equipment Reflecting Time Dependency in Conv1D Algorithm Based on the Convolution Network (합성곱 네트워크 기반의 Conv1D 알고리즘에서 시간 종속성을 반영한 선박 연료계통 장비의 고장 진단 모델)

  • Kim, Hyung-Jin;Kim, Kwang-Sik;Hwang, Se-Yun;Lee, Jang Hy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제46권4호
    • /
    • pp.367-37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deep learning algorithm that applies to the fault diagnosis of fuel pumps and purifiers of autonomous ships. A deep learning algorithm reflecting the time dependence of the measured signal was configured, and the failure pattern was trained using the vibration signal, measured in the equipment's regular operation and failure state. Considering the sequential time-dependence of deterioration implied in the vibration signal, this study adopts Conv1D with sliding window computation for fault detection. The time dependence was also reflected, by transferring the measured signal from two-dimensional to three-dimensional. Additionally, the optimal values of the hyper-parameters of the Conv1D model were determined, using the grid search technique. Finally,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data preprocessing method as well as the Conv1D model, can reflect the sequential dependency between the fault and its effect on the measured signal, and appropriately perform anomaly as well as failure detection, of the equipment chosen for application.

Calculation of surface image velocity fields by analyzing spatio-temporal volumes with the fast Fourier transform (고속푸리에변환을 이용한 시공간 체적 표면유속 산정 기법 개발)

  • Yu, Kwonkyu;Liu, Bingha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제54권11호
    • /
    • pp.933-942
    • /
    • 2021
  • The surface image velocimetry was developed to measure river flow velocity safely and effectively in flood season. There are a couple of methods in the surface image velocimetry. Among them the spatio-temporal image velocimetry is in the spotlight, since it can estimate mean velocity for a period of time. For the spatio-temporal image velocimetry analyzes a series of images all at once, it can reduce analyzing time so much. It, however, has a little drawback to find out the main flow direction. If the direction of spatio-temporal image does not coincide to the main flow direction, it may cause singnificant error in velocity. The present study aims to propose a new method to find out the main flow direction by using a fast Fourier transform(FFT) to a spatio-temporal (image) volume, which were constructed by accumulating the river surface images along the time direction. The method consists of two steps; the first step for finding main flow direction in space image and the second step for calculating the velocity magnitude in main flow direction in spatio-temporal image. In the first step a time-accumulated image was made from the spatio-temporal volume along the time direction. We analyzed this time-accumulated image by using FFT and figured out the main flow direction from the transformed image. Then a spatio-temporal image in main flow direction was extracted from the spatio-temporal volume. Once again, the spatio-temporal image was analyzed by FFT and velocity magnitudes were calculated from the transformed image.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a series of artificial images for error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analyze two-dimensional flow field with fairly good accuracy.

Correlations among Life Stress, Sleep,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일부 지역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수면, 신체계측, 영양소섭취 상태와의 상관관계)

  • Sung, Min-Jung;Chang, Kyung-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제36권7호
    • /
    • pp.840-848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ress levels, sleep,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nutrient intakes their correlations of college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stress scores using a stress test, sleep scores using a sleep test, anthropometric measurement, body composition using Inbody 3.0 and nutrient intakes using 3-day recalls were measured in 353 subjects (183 males and 170 females). Mean total stress score of the male students was 68.2${\pm}$45.0 and that of the female students was 86.5${\pm}$48.7. Stress for study, future, economic and value-related factors were higher than other factors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were more stressed than male in friend, family, study, future and value-related factors. Mean sleeping time and sleep scores of the male students were 7.0 hrs and 40.6${\pm}$5.7, respectively and that of the female students were 7.1 hrs and 41.5${\pm}$5.3, respectively. Mean height, weight, percent body fat (PBF) and waist-hip ratio (WHR) of the male students were 174.8 cm, 73.3 kg, 19.0% and 0.84, respectively. Mean height, weight, PBF, and WHR of the female students were 161.7 cm, 55.3 kg, 28.7% and 0.81, respectively. Mean energy and protein intakes of the male students were 2026.3 kcal (77.9% EER) and 83.0 g (150.9% RI) and those of the female students were 1538.2 kcal (73.2% EER) and 60.7 g (134.9% RI), respectively. In male students, sleep duration, professor and future problem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p<0.05).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in correlations between sleep scores, life stress experience frequency and importance, the total score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p<0.01). Sleep scores (sleep quality) have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than sleep duration in life stress. In male students, correlations between economic problem and w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In female students, correlations between different gender problem and body mass index (p<0.05), PBF (p<0.01), WHR (p<0.01) and obesity degree (p<0.05)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hile correlation between study problem and PBF (p<0.05), WHR (p<0.05)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In male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life stress experience frequency and carbohydrate calcium, iron, vitamin A; correlation between importance and calcium, iron as well as correlation between total life stress scores and iron (p<0.05). In female students, correlation between life stress experience frequency and thiamin along with correlation between importance and thiami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p<0.05). College students need to practice good life habits for the purpose of correctly managing life stress.

Evaluation of sensor and control interface modules for greenhouse environment control (온실환경 제어를 위한 센서 및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의 성능평가)

  • Lee, Won-Jae;Duc, Ngo Viet;Sung, Nam-Seok;Seo, Young-Woo;Kim, Yong-Joo;Chung, Sun-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37-137
    • /
    • 2017
  •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온실 환경제어시스템의 S/W 및 H/W는 서로 호환이 되지 않아 농민들이 원하는 맞춤형 복합 환경 제어시스템을 운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제어알고리즘 및 장비를 적용시킬 수 있는 호환성이 향상된 온실 환경 제어인터페이스 모듈 성능평가를 목표로 한다. 센서 및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 성능평가를 위해 사용된 제어 시스템은 8 bit MCU가 적용된 전용 개발보드를 사용하였고, RS-232 통신 케이블을 사용하여 온실 환경 측정 데이터 값을 PC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창개폐기, 환풍기를 사용하여 온실 내부 온/습도 환경조성을 하였다. 실험은 정오부터 제어장비를 작동시킨 후 1시간 간격으로 총 3시간 동안의 온실 내 온/습도의 변화량을 계측하였다. 3시간 중 1시간동안의 온/습도 값의 변화량을 계측한 결과 평균값은 각각 $33.21^{\circ}C$, 34.94%이었고 표준편차는 각각 $1.44^{\circ}C$, 2.74% 이었다. 제어 알고리즘은 단순한 ON/OFF 방법을 사용 하였고 총 2가지 제어장비를 사용하였으며 모두 정상 작동 하였다. 1시간동안 온실의 온도는 $30^{\circ}C{\sim}35^{\circ}C$사이를 유지하였으며, 습도는 30%~ 40% 사이로 최초 실험 목표였던 온실 내부의 온/습도 범위를 유지하였다. 이번 실험은 ON/OFF 방법의 제어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지만 더욱 정밀한 온실 환경제어를 위하여 PID, 퍼지 제어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기상환경에 따른 제어범위를 더욱 세밀화 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면 제어장비에 대한 효율성이 향상될 것이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