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산 복잡성

Search Result 1,092,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 New PAPR Reduction Methods in OFDM by Combining SLM and PTS (SLM과 PTS 방식의 혼합에 의한 OFDM 신호에서의 PAPR 새로운 감소 기법)

  • Kee Jong-Hae;Kim Myoung-Je;Ryu Jeong-Woong;Kim Su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1
    • /
    • pp.1-7
    • /
    • 2006
  •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that reduces the complexity of the combined system, which consists of the selective mapping(SLM) and the partial transmit sequence(PTS) in th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 In order to reduce the Peak-to-Average Power Ratio(PAPR), many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such as SLM and PTS. and their combined systems. However the method that simply combines PTS and SLM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a system increases the complexity of calculation. The scheme employed in this research suggests a system that combines PTS and SLM reducing the complexity via the N($N=2^n$)-poin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s(IFFT), which uses the decimation in time domain not only to improve PAPR but also to reduce the amount of calculation.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complexity by multiplying a phase sequence and a subblock index to the data sequences in the middle of IFFT, which yields an optimal sequence with minimal PAPR.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demonstrated by simulation results and analysis.

  • PDF

Analysis of Complexity and Reduction of PAR in OFDM Siganls Using Improved PTS Technique (OFDM 신호에서 개선된 PTS 기법을 이용한 PAR 감소와 복잡성에 대한 분석)

  • Kim, Myoung-Jei;Kim, Hong-Woo;Kim, Sung-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d
    • /
    • pp.3010-3012
    • /
    • 2005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시스템은 높은 peak-to-average power ratio(PAR) 문제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partial transmit sequence(PTS) 기법을 이용하여 최적의 PAR 감소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나눈 부블록의 수와 위상 요소 (rotation factor)에 관한 모든 탐색을 해야 한다. 나눈 부블록 수와 factor 수가 많을수록 PAR 감소 성능은 그 만큼 증가하지만, 그에 비례하여 복잡성과 계산량 또한 지수적으로 증가하여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과 전력소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PAR 감소 성능을 낮추면서 복잡성 또한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하지만, 성능과 계산의 복잡성 사이에는 트레이드오프가 존재하여, 두가지를 동시에 줄이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성능과 복잡성 사이의 최적의 트레이드오프에 대해 분석하고, 제안한 PTS 기법의 성능을 기존의 복잡한 PTS 기법과 비교한다.

  • PDF

Low-Complex Timing Synchronization Algorithm for OFDM System (OFDM 수신기를 위한 낮은 복잡도의 초기 시간 동기 알고리즘)

  • 남광호;이태흥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613-616
    • /
    • 2002
  • 본 논문은 OFDM의 Cyclic Prefix를 사용하여 적은 계산랑을 통해 보다 빠른 초기 시간동기획득을 구현하였다. QPSK 매핑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수신단에서 계산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실수 부와 허수 부를 양자화를 하고 양자화된 신호를 이용하였다. 또한 양자화된 신호의 개수를 줄이는 방법으로 샘플링을 통해 기존의 상관성 알고리즘에 적용할 데이터 량을 줄였다. 즉, 계산량과 복잡도를 줄여 초기 시간 동기 획득률을 유지하면서 복잡도를 줄였다.

  • PDF

A scalable and automated feature data extraction system for AI analysis of computational science data (계산과학 데이터의 인공지능 분석을 위한 확장성 있는 특징 데이터 추출 자동화 시스템)

  • Ahn, Sun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102-105
    • /
    • 2020
  • AI 분석 과정에서 특징 데이터 추출은 분석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가장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과정 중의 하나이다. 계산과학 데이터는 HPC를 활용하여 생산되므로 데이터가 크고 복잡할 뿐 아니라 데이터의 수도 방대한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계산과학 데이터로부터 특징 데이터 추출하는 과정은 복잡성이 크고, 소요 시간도 매우 크다. 본 논문은 먼저 계산과학 데이터로부터 특징 데이터 추출하는 과정에 대한 요구사항과 이슈들을 분석한다. 그리고 확장성을 고려한 계산과학 데이터의 인공지능 분석을 위한 특징 데이터 추출 자동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Parallel Priority Queuing Algorithm for Cell Scheduling In ATM Multiplexers (ATM 다중화기에서 셀 스케쥴링을 위한 병렬 우선순위 큐잉 알고리즘)

  • 유초롱;김미영;권택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405-407
    • /
    • 1999
  • WFQ(Weighted Fair Queuing)은 지연이나 공평성의 특성에 있어서 이상적인 트래픽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 간주되었다. N세션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WFQ 스케줄러의 스케줄링 연산은 각 패킷 전송 시간당 O(n)의 계산 복잡도를 가지며, 구현 또한 복잡하다. Self-Clocked Fair Queuing과 같은 WFQ 알고리즘의 구현을 간단히 하고자 하는 노력은 지연범위나 특성에 영향을 주게 되어 다양한 트래픽이 제공되는 경우 각 트래픽의 공평성을 지원해주지 못한다. 그러므로 지연이나 지연 변이 측면에서 공평성을 지원하고 구현상의 계산 복잡도를 줄인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필요하게 되었다. ATM 다중화기의 셀 스케줄링 알고리즘 역시, ATM의 특성상 다양한 특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특성의 트래픽에 대한 공평성을 제공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ATM 스위치 내의 다중화기에서 사용되는 새로운 셀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이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 알고리즘은 여러 개의 우선 순위 큐를 갖고, 각 우선순위 큐마다 스케줄링 연산이 O(1)의 계산 복잡도를 갖는 Parallel Priority Queuing 알고리즘이다.

  • PDF

Structural similarity based efficient keyframes extraction from multi-view videos (구조적인 유사성에 기반한 다중 뷰 비디오의 효율적인 키프레임 추출)

  • Hussain, Tanveer;Khan, Salman;Muhammad, Khan;Lee, Mi Young;Baik, Sung Woo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Next Generation Computing
    • /
    • v.14 no.6
    • /
    • pp.7-14
    • /
    • 2018
  • Salient information extraction from multi-view videos is a very challenging area because of inter-view, intra-view correlations,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There are several techniques developed for keyframes extraction from multi-view videos with very high computational complexities. In this paper, we present a keyframes extraction approach from multi-view videos using entropy and complexity information present inside frame. In first step, we extract representative shots of the whole video from each view based on structural similarity index measurement (SSIM) difference value between frames. In second step, entropy and complexity scores for all frames of shots in different views are computed. Finally, the frames with highest entropy and complexity scores are considered as keyframes. The proposed system is subjectively evaluated on available office benchmark dataset and the results are convenient in terms of accuracy and time complexity.

A Method Sustaining Frame Process Rate on Object Detection of Bayesian Modeling (베이시안 모델링 물체 검출에 관한 초당 프레임 처리량 유지 기법)

  • Su-Kwang Shin;Hee-Yong Yo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49-152
    • /
    • 2008
  • 사생활 보호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인터넷 시대에 접어들면서 네트워크 기반의 보안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하다. 실시간 비디오 카메라를 통한 움직이는 물체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잡음이나 조명의 변화에 대처해야 한다. 이러한 많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움직이는 물체를 검출하려면 많은 계산 복잡도를 가지게 된다. 또한, 카메라의 영상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움직이는 물체를 검출하기 위해서 더 많은 계산 복잡도를 가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통상적인 움직임 검출방법 과 적응적 배경방식인 '물체 검출을 위한 동적인 장면의 베이시안 모델링 기반 물체 검출 방법'을 분석하고, 실시간으로 처리되는 동적 비디오 영상에서 이동 물체를 검출하는 과정에서의 영상의 크기가 커지고, 이동하는 물체의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발생되는 계산의 복잡도를 'CPU 성능과 영상 resize 를 이용한 계산 복잡도 감소 방법'을 통해 초당 프레임 처리속도를 유지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Improvement of time complexity of Hardware-Software partitioning algorithm using FDS (FDS 응용에 의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분할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 개선)

  • 오주영;박효선;박도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c
    • /
    • pp.24-2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FDS를 응용한 하드웨어 분할 방법을 강 제약 조건을 만족하면서 FDS를 응용하는 방법보다 낮은 복잡도의 분할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FDS 응용 방법은 힘값 계산에서 종속성에 의해 후위 연산이 받는 영향값을 계산하여야 하므로 이로 인한 시간 복잡도가 가중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복잡도를 저하시키기 위해 노드의 분포 그래프와 구현에 소요되는 비용, 그리고 해당 파티션에서의 실행시간 등에 의해 상대적 긴박도를 정의하여 분할을 수행하지만, 종속성 검사는 종속성 제약조건에 의한 분포그래프의 변화와 스케쥴에 대해서만 고려되며 힘값 계산에는 고려하지 않는다. 또한, 분할 단계에서 스케쥴링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합성 이후에 재 스케쥴링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 알고리즘 결과는 ILP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 PDF

Bussgang Blind Equalization Using Nonlinear Estimators with Reduced Computational Complexity (계산 복잡성이 단순화된 비선형 추정기를 사용한 Bussgang 블라인드 등화)

  • Oh, Kil-Nam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2 no.6
    • /
    • pp.177-186
    • /
    • 2005
  • This paper introduces nonlinear estimators with reduced complexity, and proposes the Bussgang blind equalization algorithm employing the nonlinear estimators. The proposed algorithm utilized the facts that the Bayesian estimator is well approximated to the sigmoid estimator in initial stage of equalization with closed eye and is well approximated to the threshold estimator under open eye condition. The proposed method adopts selectively one of the two nonlinear estimators, i.e., the sigmoid estimator and the threshold estimator, according to channel distortion level at each iteration. As a result, by using the sigmoid estimator with reduced constellation, the proposed scheme, as it is applied to blind equalization of high-order QAM signals, simplifies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extremely, and enhances the blind convergence capability and steady-state performance.

A study on the Enhanced System Dependence Graph for slicing of object-oriented Program (객체지향 프로그램 슬라이싱을 위한 개선된 시스템 종속성 그래프에 대한 연구)

  • 류희열;김은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115-117
    • /
    • 2002
  • 객체지향 프로그램 슬라이싱을 위한 Loren D Larsen and Marry Jean Harrold가 제안하는 방법은 절차적 프로그램 슬라이싱을 위한 시스템 종속성 그래프 표현방법에 객체지향 패러다임을 표현할 수 있도록 확장하며 2단계 마킹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슬라이스를 계산한다. 시스템 종속성 그래프를 이용한 슬라이싱 방법은 클래스 멤버 변수와 전역변수 및 인스턴스 변수에 대하여 각 메소드 호출 및 진입정점에 actual_in, actual_out, formal_in, formal_out 정점들이 추가되어 복잡도가 증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변수를 클래스 정점의 멤버간선으로 연결하여 각 메소드의 문장에서 사용하면 진출간선 정의하면 진입간선으로 연결하여 정점과 간선들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시스템 종속성 그래프를 개선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 종속성 그래프는 그래프 복잡도의 최소화와 2단계 알고리즘에 의한 정확한 슬라이스 계산이 장점이다. C++ 예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래프 복잡도의 감소와 정확한 슬라이스 계산을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