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산시간 비교

Search Result 2,44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On reducing the computing time of EFDC hydrodynamic model (EFDC 해수유동모형의 계산시간 효율화)

  • Jung, Tae-Sung;Choi, Jong-Hw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4 no.2
    • /
    • pp.121-129
    • /
    • 2011
  • The EFDC model has been simplified to enhance the computing performance in hydrodynamic modeling. Water quality module and unnecessary conditional statements were deleted in subroutine list and memory allocation. The performance of the enhanced model (EFDC-E) was checked by applying EFDC and EFDC-E models to simulating the tidal flow in Mokpo coastal zone. Both two-dimensional models and threedimensional models have been applied and compared. Three-dimensional models showed better simulation results agreeing with observed currents than two-dimensional models. The simulation results of EFDC-E model gave good results agreeing with the simulation results of EFDC model and the observed data. The computing speed of EFDC-E model is improved 3 times faster than that of EFDC model in modeling hydrodynamic flow for real time of 3 days in both 2-dimensional modeling and 3-dimensional modeling. The EFDC-E model can be used widely for hydrodynamic modeling because of improved simulation speed.

Analysis of Turbomachinery Internal Flow Using Parallel Computing (병렬컴퓨팅을 이용한 터보기계 내부 유동장 해석)

  • Yee, Jang-Jun;Kim, Yu-Shin;Lee, Dong-Ho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0.04b
    • /
    • pp.586-592
    • /
    • 2000
  • 터보머신 태부에 존재하는 정익 - 동익의 상호작용 유동현상을 수치모사 하는 코드를 병렬화 하였다 정익 - 동익의 상호작용을 해석하는 데에 편리하도륵 Multi-Block Grid System을 도입하여 계산영역을 형성하였고, 동익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Sliding Interface부분은 Patched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해석하였다. 정익과 동익의 수를 1대 1로 단순화시켜 수치모사한 결과와 정익과 동익의 수를 실제 조건과 더 비슷하게 설정한 3대 4의 비율로 맞추어 수치모사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병렬컴퓨팅으로 인해 단축된 계산시간을 다른 연구에서의 계산시간들과 서로 비교하였다. 2차원 비정상 압축성 Navier-Stokes 방정식이 이용되었고, 난류모델링에는 K-w SST 모델링이 적응되었다. Roe의 FDS 기법을 사용하여 플럭스를 계산하였고, MUSCL 기법을 적용하여 3차의 공간정확도를 갖도록 하였다. 시간적분에는 이보성의 DP-SGS를 사용하였다. 해석결과의 분석에는 Time-averaged pressure distribution과 Pressure amplitude distribution 데이터를 사용했다.

  • PDF

Karmarkar법의 속도 제고에 관한 연구

  • 우병오;박순달
    • 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 /
    • v.8 no.1
    • /
    • pp.127-133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Karmarkar법의 변형인 Todd&Burrell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이 알고리즘의 수행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몇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몇가지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안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영행렬의 계산에 QR 분해법과 Cholesky 분해법을 도입함으로써 계산 시간을 줄일 수 있었고, 구내최적화를 위한 개선폭의 결정에 비율검정법과 선형탐색법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횟수 및 총 수행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 수행실험을 통하여 알고리즘을 분석한 결과, 수행시간의 대부분을 사영행렬의 계산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론적으로 계산복잡도를 분석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사영행렬과 개선폭의 결정에 사용된 각 방법들을 실험을 통해 비교 분석한 바로는 사영행렬의 계산에 있어서 Cholesky 분해법이 Gauss소거법이나 QR 분해법을 쓰는 경우보다 우수했으며, 개선폭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는 비율검정법이 속도면에서 가장 우수했다.

  • PDF

수분배기 측면에서 본 진공배기 계산

  • In, Sa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149.2-149.2
    • /
    • 2014
  • 진공용기를 배기하기 시작하면 짧은 시간 동안은 공기의 배기가 주를 이루지만 그 후에는 표면 방출 기체의 배기가 이어지고 표면방출 기체의 대부분은 물이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배기 계산을 할 때는 막상 물 보다는 공기의 일부로 생각하거나 수분을 다른 기체들과 유사하게 다루는 것에 익숙해져 있다. 이런 계산 결과는 실제 상황을 재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배기능력을 과대평가하게 만들어서 공정 계획대로 진공 시스템을 운전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물은 일반적인 기체와는 성격이 아주 다르다. 다른 기 체 분자들의 흡착 에너지가 ~0.3 eV이고 기름분자가 ~1 eV 정도인 것에 반해 물은 0.55 eV 내외로 상온에서도 비교적 흡착을 잘하고 또 적당히 방출도 일어나는 특별한 특성 때문에 용기 압력을 지배하면서도 신속한 배기를 방해한다. 만일 이런 물의 흡착률 및 방출률을 제대로 수치화할 수 있다면 배기 계산을 훨씬 현실화할 수 있다. 물의 흡착률은 물분자의 부착계수가 지배하고 방출률은 체류시간에 의해 결정되지만 표면상태에 따라 천차만별이므로 얼마라고 확정하기 어렵다. 우선 이번에는 물의 부착계수 최대값을 0.1 정도로 잡고 흡착량에 따라 직선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가정하며, 물의 표면 체류시간도 몇 가지 값으로 가정해서 0-D 입자 평형 계산을 수행하여 특정 시스템에서 얻은 실험 결과와 비교하려고 한다. 앞으로 몬테카를로 방법과 연계하여 3차원적 분석을 할 수 있는 코드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 PDF

Calculation of Self-radiation Impedance for a Rectangular Transducer (장방형 트랜스듀서의 자기방사 임피던스 계산)

  • 이기욱;김무준;하강열;김천덕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7
    • /
    • pp.85-89
    • /
    • 2000
  • In this paper, by extending the previously developed self- and mutual-radiation impedance calculation method for a regular-square vibrating surface by using numerical series, we proposed a method to obtain the self-radiation impedance of a rectangular transducer with an arbitrary integer ratio of the length to width. The proposed method exhibits high accuracy and a short computation time. After investigating the accuracy and computation time as the number of elements changes, we have calculated the self-radiation impedance of several rectangular transducers,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in the literature.

  • PDF

Suggestion of A Practical Simple Calculation Method for Safe Transportation Time after Radioactive Iod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갑상선암 환자에서 방사성옥소치료 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실용적인 간편계산법 제안)

  • Park, Seok-G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6
    • /
    • pp.3919-3925
    • /
    • 2015
  • When a patient with thyroid cancer is released from isolation after I-131 treatment and return to home using a vehicle, travel time should be controlled to reduce the amount of radiation to accompanying person. As the calculation of appropriate travel time is difficult, there is no patient-specific guideline until now. If we assume that there is no excretion and no physical decay during the relatively short travel time, calculation become quite simple; total radiation dose = dose rate ${\times}$ travel time. Results of this simple calculation and conventional calculation were compared using datum from 120 patients. Travel time calculated by simple method was 56% of conventional method in 0.3 m, 91% in 0.5 m and 96% in 1 m. Simple method was safe. It can be applied easily and also can be applied to the patients with hyperthyroidism treated by I-131.

A study on seam tracking for robotic arc welding using snapshot visual data (비젼 데이타를 이용한 아크 용접로보트의 용접선 추적에 관한 연구)

  • 김은엽;김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2.04b
    • /
    • pp.91-101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용접선 추출의 방법으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용접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미지를 얻어 처리하는 사전관찰(preview)기법을 개선하여 용접모재를 한번에 촬영(snapshot)하여 화상처리를 거친 후 용접정보가 들어 있는 CAD database와 비교, 매칭시켜 필요한 용접정보를 획득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정확한 꼭지점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직선식이 필요한데 이의 계산에는 허프변환(Hough Transform)이 이용되고 있지만 계산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부정확하다. 계산시간의 감소 및 정확도의 향상을 위해 기존의 허프변환(Hough Transform)을 개선한 수정된 허프변환(Modified HoughTranform)을 개발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a method for estimating rainfall erosivity using scaling Model (강우자료의 시간해상도를 고려한 강우침식능 추정과 스케일링 적용)

  • Jung, Younghun;Lee, Joon-Hak;Kim, Sungh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12-412
    • /
    • 2021
  • 일반적으로 강우자료의 시간 해상도가 높을수록(측정 주기가 짧아질수록) 강우침식능 값이 크게 산정되는 경향이 있다(Yin et al. 2015). 또한, 강우자료의 시간해상도가 서로 다를 경우에 각각 산정된 강우침식능 값을 동일한 값으로 비교하기 위해서는 어떤 변환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에 대한 해석기법이 정립되어야 한다. 강우자료의 시간 해상도가 다를 경우 결과 값이 달라진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이 값을 동일하게 산정된 값으로 간주하고 비교하는 것은 실무적으로 큰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통계적인 방법과 강우의 스케일링 성질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지속기간을 갖는 해상도를 강우자료로 산정된 강우침식능 값을 상호 비교하여 변환할 수 있는 인자를 가진 실험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난 50여 년 동안 전 세계 많은 연구자들이 서로 다른 방법으로 다양한 강우침식능 값을 산정하고 제시하였으나, 국가별로 상이한 자료와 각기 다른 계산방법으로 산정한 값을 동일한 값으로 비교하는 것은 큰 오류가 있으며, 이러한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강우침식인자 계산방법에 대한 적절한 기준을 통한 산정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강우자료의 다양한 시간해상도에 따른 강우침식능 추정기법이 정립되면, 국내외 학계 및 실무자들이 각기 다양한 시간해상도로 산출된 강우침식능을 비교 분석할 수 있는 밑바탕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3D MT Modeling Methods (3차원 MT 모델링 기법의 비교 분석)

  • Han, Nu-Ree;Nam, Myung-Jin;Kim, Hee-Joon;Song, Yoon-Ho;Suh, Jung-Hee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0 no.2
    • /
    • pp.154-160
    • /
    • 2007
  • This paper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three different algorithms for three-dimensional (3D) magnetotelluric (MT) modeling. These methods are developed by Mackie et al. (1994), Sasaki (1999) and Nam et al. (2007). The first and second methods are based on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FDM), while the last one the finite-element method (FEM). MT responses, apparent resistivities and phases, for a COMMEMI 3D-2 model show a good agreement with integral equation solutions and only minor discrepancies are found over the anomalous bodies in the 3D model. The computation time of the two methods based on FDM is short and the static divergence correction contributes to speed up. The FEM modeling scheme is accurate but slow.

The Three-Dimensional Acoustic Field Analysis using the Type C CIP Method (C형 CIP법을 이용한 3차원 음장해석)

  • Lee, Chai-Bong;Oh, Sung-Q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5 no.2
    • /
    • pp.125-132
    • /
    • 2010
  • The authors have investigated the acoustic field analysis using the Constrained Interpolation Profile(CIP) Method recently proposed by Yab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alculation accuracy of the three-dimensional(3-D) acoustic field analysis using the type C CIP method. In this paper we show phase error of type C CIP method and the dependence on the wave-propagation direction in the type C CIP acoustic field analysis, and then demonstrate that it gives less-diffusive results than conventional analysis. Moreover, in comparison between type C-1 CIP, type C-2 CIP, type M CIP and FDTD, reports the memory requirements and calculation time of each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