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산능력

검색결과 1,069건 처리시간 0.038초

간호학생의 약물용량계산능력과 정확도에 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n Ability and Accuracy in Drug Dose Calculations of Nursing Students)

  • 정인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23-131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약물용량계산에서의 취약점을 찾기 위해 학생들의 자기기입식 일반적 사항과 약물계산수업 전 자신감(이하, 자신감), 수업수행도(이하, 수행도) 및 약물용량계산 시험지를 SPSS 19.0 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약물계산능력을 나타내는 서술식 두 문제의 평균 정답률은 72%였고, 단순계산능력은 성별 간 차이가 없었으나 응용계산능력과 계산정확도는 남학생이 유의하게 높았고, 고등학교계열별 계산능력에는 차이가 없었다. 자신감과 수행도 및 수행도와 계산정확도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신감의 수행도에 대한, 수행도의 계산정확도에 대한 설명력은 각각 4.2%와 3.2%였다. 1개 대학 간호학생 대상의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할 수는 없으나,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수학학습으로 수행도를 높이고 약물계산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킴으로써 계산정확도를 높여 투약오류예방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이동통신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상호인증 및 세션키 공유 프로토콜 (Efficient Key Establishment Protocol in Mobile Communication)

  • 이승원;홍성민;윤천수;조유근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1998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57-367
    • /
    • 1998
  • 이동통신 환경에서, 이동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안전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많은 프로토콜들이 제안되어왔다. 그러나 이동단말기 의 부족한 계산능력 때문에 공개키를 이용한 프로토콜은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그 실용성을 검증받기 힘들었다. 본 논문은 이동단말기 의 부족한 계산능력으로도 공개키를 이용해 상호인증 및 세션키 공유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최근 제안된 SASC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이동단말기의 부족한 계산능력을 보충하였다.

  • PDF

초기최대수송능력을 고려한 수송능력산정 알고리즘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ower Transfer Capability Calculation Algorithm Considering Initial Maximum Power Transfer Capability)

  • 김용하;이범;문정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1-67
    • /
    • 2003
  • 전력산업 구조개편시 효율적인 계통운용을 위하여 계산시간이 빠르고 신뢰적인 연계계통에서의 수송능력을 산정하는 알고리즘개발에 관한 연구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수송능력산정문제의 정식화 및 수송능력 산정시 초기 최대수송능력을 계산한 다음, 이로부터 계산된 발전기 출력의 초기값을 이용함으로써 수송능력계산의 수렴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시험계통에 적용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유용한 정보를 도출하였다.

일반화중력모형 파라메터의 새로운 최우추정기법 개발 (New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lgorithms for the Parameters of Generalized Gravity Model)

  • 윤성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5-66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소개된 일반화중력모형(Generalized Gravity Model)파라메터의 최우추정치(Maximum Likelihood Estimates) 계산을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이론적으로 도출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첫째 계산속도, 둘째 정밀도, 셋째 모형변수(예컨데 통행시간, 통행비용 등)들 간에 공선성(multicolinearity)이 존재할 경우의 계산능력, 넷째 대규모 스케일의 기.종점자료(large O-D Matrices)에 적용시의 계산능력, 다섯째 모형변수의 개수에 따른 계산능력의 평가기준에서 그 계산실적이 기존의 알고리즘과 비교 평가 되었다. 제안된 기법중에서 Modified Scoring 기법은 계산속도 및 정밀도등 앞서 나열한 계산능력의 평가기준 중 모든 부문에서 매우 탁월한 계산실적을 보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최선의 추정치를 보장하는 최우추정기법이 대규모 스케일의 교통계획 적용에도 큰 비용(시간)부담없이 손쉽게 적용될 수 있게 되었다. 제안된 새로운 알고리즘의 적용시 교통계획분야에 가져올 수 있는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우추정법이 대규모 O-D 통행표에 쉽게 적용될 수 있고 또한 PC등 소형 컴퓨터에서도 처리가 쉽다. 둘째, 모형설명변수의 자유로운 선택등 통계적실험(experimentation)을 가능케 한다. 셋째, 중력모형이 내재되어 있는 결합모형(Combined Model)의 정산속도를 높인다. 넷째, IVHS(Intelligent Vehicle and Highway System)와 같은 분야에서 온라인(On-line)모형정산을 가능케 할 수 있다.

  • PDF

그래핑 계산기가 고등학교 학생의 탐구에 미치는 영향

  • Hongliang Shi;Shiqi Li
    • 한국수학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학교육학회 2006년도 제11회 국제수학영재교육세미나프로시딩
    • /
    • pp.45-52
    • /
    • 2006
  • 이 글에서 우리는 탐구를 위해 그래핑 계산기를 사용할 때 탐구의 경험과 능력, 태도를 포함한 학생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래핑 계산기가 수학 탐구 과정의 기초를 형성한 이후에, 두 학생이 인터뷰되었고 당시 과정을 수료한 162명의 학생이 조사되었다. 결과는 그래핑 계산기가 학생의 탐구 능력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도구라는 것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그래핑 계산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졌고 그 사용에 흥미를 느꼈다.

  • PDF

자동차에 CAE적용

  • 이재원;김민수
    • 기계저널
    • /
    • 제29권3호
    • /
    • pp.306-316
    • /
    • 1989
  • 최근 자동차 업계의 CAE 방향을 하드웨어 측면에서 보면, 대용량의 계산능력을 갖춘 슈퍼 컴 퓨터와 자체 계산능력을 갖춘 워크스테이션의 활용이 점차적으로 확대 되어가고 있다. 이것을 배경으로 크래쉬 시뮬레이션, 자동차 전체 시스템의 진동 및 소음해석, 공기역학적 특성을 고 려한 형상 최적화 등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해석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우선 사용 소프트웨어 상호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충분히 고려한 체계적인 총합 CAE 시스템의 구축이고,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언어를 이용하여 사용이 용이한 해석 경 험(knowhow)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용 소프트웨어가 지원하지 못하는 분야에 대한 자체 프로그램의 개발도 필요한 것이다.

  • PDF

계산적 사고 향상을 위한 창의적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 (Creative Programming Learning with Scratch for Enhancing Computational Thinking)

  • 이은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9
    • /
    • 2013
  • 최근 계산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초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계산적 사고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크래치를 활용한 창의적 프로그래밍 학습을 설계하고 해당 학습 활동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창의성 잠재력 및 계산적 사고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의 창의성 잠재력은 유의하게 증진되었으며, 계산적 사고 능력의 토대가 되는 프로그래밍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습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창의성 잠재력의 하위 요인 중 창의적 성격 및 아이디어 생성 행동 요인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계산적 사고의 경우 프로그래밍의 기본 개념인 순차, 반복, 조건, 이벤트 처리 및 연산자에 대한 개념 이해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 PDF

데이터와 인공신경망 능력 계산 (Calculating Data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Capability)

  • 이덕균;박지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49-57
    • /
    • 2022
  • 최근 인공지능의 다양한 활용은 기계학습의 딥 인공신경망 구조를 통해 가능해졌으며 인간과 같은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불행하게도 딥 구조의 인공신경망은 아직 정확한 해석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부분은 인공지능에 대한 불안감과 거부감으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 중에서 인공신경망의 능력 부분을 해결한다. 인공신경망 구조의 크기를 계산하고, 그 인공신경망이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계산해 본다. 계산의 방법은 수학에서 쓰이는 군의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와 인공신경망의 크기를 군의 구조와 크기를 알 수 있는 Order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이를 통하여 인공신경망의 능력을 알 수 있으며, 인공지능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수치적 실험을 통하여 데이터의 크기와 딥 인공신경망을 계산하고 이를 검증한다.

소속 함수와 퍼지 논리를 이용한 자기 주도적 학습 내용과 시험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Directed Learning Contents and Examinations Assessment Methods by Using Membership Function and Fuzzy Logic)

  • 정회인;강인주;노영욱;김광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하)
    • /
    • pp.741-74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 능력을 조절하고 학습 내용과 시험 평가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 내용 및 시험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자기 주도적 학습 내용 및 시험평가 방법은 삼각형 타입의 소속 함수와 퍼지 논리를 이용하여 학습 능력과 시험 능력의 소속도를 계산하고 각각에 대해 퍼지 등급도를 부여하였다. 학습 능력의 소속도와 시험 능력의 소속도에 대해서 퍼지 관계의 연산 및 합성에 의해 최종 소속도를 계산하고 퍼지 등급도를 결정하여 학습자가 학습 능력의 소속도와 시험 능력의 소속도 및 최종 퍼지 등급도를 분석하여 스스로 학습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연구 내용을 정보 검색사 필기 과목에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휴머노이드 로봇의 현황과 발전 발향

  • 오준호
    • 기계저널
    • /
    • 제44권4호
    • /
    • pp.44-52
    • /
    • 2004
  • 우리가 상상하는 로봇의 궁극적인 형태는 인간을 닮고 인간의 행위를 모방할 수 있으며 인간의 지적능력을 갖춘 로봇으로서 많은 공상과학 영화나 소설 등에 여러 형태로 묘사 되어있다 이들은 주로 엄청난 물리적 힘과 지적 계산능력을 소유하고 있으며 인간을 주인으로 받들고 봉사하는 모습으로 그려져 왔다 이러한 모습의 로봇을 현실에서 구현한 것이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이다. 다시 말해 휴머노이드 로봇이란 인간의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는 궁극적인 로봇의 한 형태이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