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량 모형

Search Result 35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ombined RP/SP Model with Latent Variables (잠재변수를 이용한 RP/SP 결합모형에 관한 연구)

  • Kim, Jin-Hui;Jeong, Jin-Hyeok;Son, Gi-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4
    • /
    • pp.119-128
    • /
    • 2010
  • Mode choice behavior is associated with travelers' latent behavior that is an unobservable preference to travel behavior or mode characteristics. This paper specifically addresses the problem of unobservable factors, that is latent behavior, in mode choice models. Consideration of latent behavior in mode choice models reduces the errors that come from unobservable factors. In this study, the authors defined the latent variables that mean a quantitative latent behavior factors, and developed the combined RP/SP model with latent variables using the mode choice behavior survey data. The data has traveler's revealed preference of existent modes along the Han River and stated preference of new water transit on the Han River. Also, The data has travelers' latent behavior. Latent variables were defined by factor analysis using the latent behaviour data. In conclusion, it is significan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raveler's latent behavior and mode choice behavior. In addition, the goodness-of-fit of the mode choice models with latent variables are better than the model without latent variables.

Analysis of counts in the one-way layout (일원배열 가산자료에서의 처리효과 비교)

  • 이선호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0 no.1
    • /
    • pp.105-119
    • /
    • 1997
  • Barnwal and Paul(1988) derived the likelihood ratio statistic and $C(\alpha)$ statistic for testing the equality of the means of several groups of count data in the presence of a common dispersion parameter. These tests are generalized to be applicable without the restriction of a common dispersion parameter. And the assumed model of data is also extended from negative binomial to double exponential Poisson model. Monte Carlo simulations show the superiority of $C(\alpha)$ statistic based on the double exponential Poisson family which has a very simple form and requires estimates of the parameters only under the null hypothesis.

  • PDF

Spatial Cluster Analysis for Earthquake on the Korean Peninsula

  • Kang, Chang-Wan;Moon, Sung-Ho;Cho, Jang-Sik;Lee, Jeong-Hyeong;Choi, Seung-Bae;Beum, Soo-Gyu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17 no.4
    • /
    • pp.1141-1150
    • /
    • 2006
  • In this study, we performed spatial cluster analysis which considered spatial information using earthquake data for Korean peninsula occurred on 1978 year to 2005 year. Also, we look into how to be clustered for regions using earthquake magnitude and frequency based on spatial scan statistic.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constructed earthquake map by earthquake outbreak risk and gave a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results of spatial cluster analysis.

  • PDF

An Estimation of Price Elasticity of Electricity Demand with Panel Model (패널모형을 이용한 국내 전력수요의 가격탄력성 추정에 관한 연구)

  • Lee, Jae-Bong;Yoon, Yong-Beum;Ku, Ja-Yeol;Kim, Su-D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642-643
    • /
    • 2011
  • 스마트그리드 구현에 실시간요금제 적용이 핵심으로 등장하고 있다. 실시간요금제 적용 시 전력수요의 변동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2009년의 전자식전력량계 계량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구하였다. 가격탄력성을 산출하기 위하여 시계열 분석과 횡단면 분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패널모형 분석을 적용하였으며, 국내 전기요금에 대하여 계약종별, 산업분류별 가격탄력성을 실시간 요금제에 대비하여 1시간 단위로 구하였다. 국내 전력수요의 가격탄력성은 계약종별 및 산업분류별로 대부분의 경우 -0.1 이내로 산출되어 가격탄력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산업분류별로 가격탄력성을 산출함으로써 통계적 유의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 PDF

해외여건변화(海外與件變化)와 우리나라 국제수지(國際收支)

  • Park, Won-Am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9 no.4
    • /
    • pp.25-58
    • /
    • 1987
  • 본(本) 연구(硏究)는 해외여건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국제수지조정과정(國際收支調整過程)의 특징을 밝히며 아울러 이미 발표된 분기모형(分期模型) 추정기간(推定期間)을 1985년 제4분기까지 연장해 재추정한 결과를 보고하고 이를 이용해 해외여건 변화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국제수지(國際收支)의 변동(變動)을 요인별로 분화(分化)하여 보면 제1,2차 오일 쇼크 초기의 경상수지 악화는 유가급등(油價急騰)에 의한 교역조건 악화에 그 주인(主因)이 있다. 이후 경상수지 적자는 서로 다른 과정을 밟아 줄어들게 되는데 1976~77년의 경우 수출촉진(輸出促進)으로, 1981~82년의 경우 총수요조정(總需要調整)으로 국제수지 개선을 도모하였다. 이와 같이 양기간중 상이한 방법으로 적응한 것은 양기간중 해외여건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며 이 점에서 우리나라 국제수지의 조정도 여타 수출지향적(輸出指向的) 성장국(成長國)과 유사한 과정을 밟았다. 분기계량모형(分期計量模型)을 이용하면 제2차 오일 쇼크 기간에는 제1차 오일 쇼크 기간에 비해 유가(油價)가 상대적으로 덜 상승하였으나 해외수요(海外需要) 부진(不振), 달러강세(强勢) 및 고금리(高金利)로 해외여건은 전반적으로 우리 경제에 보다 불리하게 작용하였다. 1986년중 경상수지 흑자는 대부분 해외여건의 호전으로 설명되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Defense Simulation Model for Ground Weapon System Effectiveness Analysis (지상군 무기체계 효과분석 모형 개발 방향)

  • 이민형;문형곤;박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31-136
    • /
    • 2002
  • 최근 전장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고도화된 과학기술로 인해 무기체계의 성능은 매우 발전되었으며 세계 각국은 고성능, 고효율의 최신 무기체계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개별 무기체계에 대응하여 새롭게 개발된 무기체계는 기존 무기체계에 대한 패러다임을 뛰어넘어 새로운 개념과 운용방식을 요구하고 있다. 무기체계의 효과를 규명하고 검증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실제전장에 무기체계를 투입한 실기동 실험을 통해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러나 무기체계 효과분석을 위해 실기동훈련을 계획하고 실시하는 것은 비용 뿐 아니라 군사력 동원면에 있어서 비효율적이고 부담이 높은 단점이 있으므로, 국방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하여 저비용 고효율의 모의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계량적인 효과분석을 수행하고 수치화된 판단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고는 대대급 이하 소부대의 전장상황에서 지상군 단위무기체계의 효과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국방 시뮬레이션 모형의 개발 방향을 제시한다.

  • PDF

Development of a Prototype Expert System for Intelligent Operation Aids in Rod Consolidation Process (핵연료 밀집공정의 지능적 조업을 위한 전문가시스템 모형의 개발)

  • Kim, Ho-Dong;Kim, Ki-Joo;Yoon, Wan-K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5 no.1
    • /
    • pp.1-7
    • /
    • 1993
  • This paper describes a prototype expert system to aid operation in rod consolidation process. The knowledgebase is composed of three database groups and 60 rules with production, and object oriented techniques that correlates database groups. The expert system is designed to track the transitions of nuclear materials through the operation areas of the rod consolidation process, to diagnose current status in any operating conditions, normal and off-normal, and to advise operators to properly recover off-normality. The expert system can give efficient management of nuclear material accountability and process operation in the rod consolidation.

  • PDF

Seasonal Unit Roots in Stock Prices (계절적 변동과 주가의 형성 : 계절적 단위근)

  • Rhee, Il-Ki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6 no.1
    • /
    • pp.171-191
    • /
    • 1999
  • 시간의 흐름에 걸친 주가시계열의 행동양식에 대한 연구에서는 선형성, 비선형성, 장기기억, 항상성분 등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내리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주가 시계열과정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한 여러 모형들에 대한 실증연구에는 설명력과 예측력을 완벽하게 갖추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다. 계절적 변동을 주가시계열에 적용하지 않는 관계로 이와 같은 결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분기별 종합주가지수의 수익률에 계절적 단위근이 존재하고 있음이 실증분석을 통하여 밝혀졌다. 이 시계열에서는 계절적 단위근을 제거하기 위하여서는 제4계 시차 작용소가 적절한 필터임이 인정되었다. 월별 종합주가지수의 수익률에서도 계절적 단위근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제12계 시차 작용소를 사용하여 계절적 단위근을 제거하여야 할 것이다. 분기별 수익률에는 제4차 시차 작용소를, 월별수익률에서는 제12차 시차 작용소를 필터로 사용하여 이 시계열들을 차분화하고 이 차분화를 통하여 계절적 단위근을 제거한 후에 이 시계열들의 시계열적 성질과 특성을 탐구해야 할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할 때 시계열 과정에 대한 계량경제학적 모형에 대한 정확한 추론이 가능하게 된다.

  • PDF

탄소세 부과가 전력가격 및 전력수요에 미치는 효과분석

  • Lee, Man-Gi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6 no.1
    • /
    • pp.23-43
    • /
    • 1996
  •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배출규제에 대한 논의가 지구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세의 도입이 우리나라의 전력부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력수요와 공급을 연계하는 계량경제학적 "시뮬레이션"모형을 수립하였다. 모형의 운용 결과, 탄소세의 부과는 특히 전력가격 상승에 큰 효과를 주고 있는 반면 전력수요의 변화에는 비교적 적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외생적 시나리오 설정에 의하여 탄소세 부과시 연료원 간의 대체효과를 분석하였는데 원자력이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시나리오는 전력가격의 안정화에 약간의 도움을 주고 있으나 LNG가 유연탄 화력을 대체하는 시나리오는 전력가격의 변화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발전 연료간의 대체를 고려한다고 하더라고 탄소세 충격의 완화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A Study on the Diffusion Prediction Model of COVID-19 (COVID-19 확산 예측 모형에 관한 연구)

  • Yun, Seok-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05a
    • /
    • pp.413-416
    • /
    • 2020
  • COVID-19(Coronavirus Disease 2019)는 RNA 형 바이러스로써 점막감염(粘膜感染)과 비말전파(飛沫傳播)로 전염되는 급성 호흡기성 질병이다. 2019 년 12 월 중국 후베이 우한에서 처음 감염이 보고된 후 빠르게 글로벌로 확산되었고, 현재 여러 국가와 지역이 Lockdown 상태에 있다. COVID-19 의 치사율은 국가별, 연령별 차이는 있으나 사스(SARS-CoV), 메르스(MERS-CoV) 등과 비교하여 높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COVID-19 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써 아직 백신(Vaccine)과 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되지 않았고 다른 질병과 비교하여 빠른 감염 속도때문에 의료 공백, 사회적 혼란, 경제적 손실을 크게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바이러스의 확산 양상을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예측할 수 있다면 사회·경제적인 폐해를 줄일 수 있어 Bass 모델과 R 패키지를 이용하여 COVID-19 확산 예측 모형을 계량적으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