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량정보학

Search Result 25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Transition of Informetrics and Its Application : With Relation to Information Service (계량정보학의 변천과 응용에 관한 고찰 -정보서비스를 중심으로-)

  • 장우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6.08a
    • /
    • pp.101-104
    • /
    • 1996
  • 학문은 다양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시대적 환경에 적응하여 발전한다. 즉, 서로의 영역을 공유하면서 새로운 이론을 창출하고 실제로 이를 응용하고 있는 것이다. 계량서지학, 계량과학학, 문헌과학학등으로 일컫고 있는 계량정보학은 문헌의 분석을 위해 수량학적 방법으로 적용하여 연구하는 학문으로, 활발히 연구되어 응용되고있는 분야는 텍스트검색시스템, OPACs, 비디오텍스시스템, 하이퍼텍스트시스템, CD-ROM, 온라인 정보서비스, 전자출판, 전자우편, 케이블 TV 등의 전자정보서비스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계량정보학의 사적변천과 연구영역, 그 응용과 실제를 고찰하였다.

  • PDF

A Study on Markov Chains Applied to Bibliometric (마코프모형의 계량정보학적 응용연구)

  • 문경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8.08a
    • /
    • pp.97-100
    • /
    • 1998
  • 계량정보학 연구영역의 하나인 운영연구(Operation Research, OR)중, 미래예측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마코프모형(Markov chains)의 통계기법을 활용한 두가지 실험사례를 살펴보고, 최근의 연구경향을 분석함으로써, 도서관 시스템 운영과 설계에 마코프모형을 응용할 수 있는 네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계량정보학의 한분야로 적용되고 있는 마코프모형에 관한 국내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상태이므로, 국내 계량정보학에서의 마코프모형 연구의 필요성과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 PDF

Intellectual Structure and Infrastructure of Informetrics: Domain Analysis from 2001 to 2010 (계량정보학의 지적구조 분석 연구: 2001-2010년 연구영역 분석)

  • Lee, Jae-Yun;Choi, Sa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8 no.2
    • /
    • pp.11-36
    • /
    • 2011
  • Since the 1990s, informetrics has grown in popularity among information scientists. Today it is a general discipline that comprises all kinds of metrics, including bibliometrics and scientometrics. To illustrate the dynamic progress of this fiel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e and infrastructure of the informetrics literature using statistical and profiling methods. Informetrics literature was obtained from the Web of Knowledge for the years 2001-2010. The selected articles contain least one of these keywords: informetrics', bibliometrics', scientometrics', webometrics', and citation analysis.' Noteworthy publication patterns of major countries were identified by a statistical method.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shows major research areas, authors, and journals.

A Study on Markov Chains Applied to informetrics (마코프모형의 계량정보학적 응용연구)

  • Moon, Kyung-Hwa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0 no.2
    • /
    • pp.31-52
    • /
    • 1999
  • This paper is done by studying two experimental cases which utilize the stochastic theory of Markov Chains, which is used for forecasting the future and by analyzing recent trend of studies. Since the study of Markov Chains is not applied to the Informetrics to a high degree in Korea. It is also proposed that there is a necessity for further study on Markov Chains and its activation.

  • PDF

Values and Future Research Issues In Bibliometrics (도서관/정보학적 측에서 본 계량서지학의 가치와 중요성 및 연구방향 제시)

  • Jeong Dong Yo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9
    • /
    • pp.243-261
    • /
    • 1990
  • 계량서지학이 도서관 정보학 분야에 응용된 지 20년이 지난 지금, 이론 및 실무에 남긴 발전적 기여를 고찰함과 동시에, 컴퓨터를 비롯한 정보기술의 발달로 계량서지학의 가치와 중요성은 한층 더 폭넓게 인지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의 개념 정리와 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이론적 근거 및 장$\cdot$단점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방향 설정에 기초를 제시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문헌구조를 분석하는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동시인용분석(co-citation analysis), 인용문맥분석 (citation context analysis), 다차원축적기법(multidimensional scaling technique) 등에 대한 최근의 연구 동향 및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도서관 실무 혹은 정보시스팀에 계량서지학의 실제 응용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계량서지학의 3대법칙-Lotka's law, Brandford's law, Zipf's law-의 발달 단계, 상관관계 및 응용분야를 연구함으로써 전반적인 도서관 관리와 이론정보학의 연구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 PDF

Analysis of Research Topic Tren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Using Dynamic Topic Modeling (다이나믹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문헌정보학 분야의 토픽 변화 분석)

  • Kim, SeonWook;Yang, Kiduk;Lee, HyeKyu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3 no.2
    • /
    • pp.265-284
    • /
    • 2022
  • This study applied dynamic topic modeling on titles and abstracts of 55,442 academic papers in 85 SSCI journals from 2001 to 2020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topic tren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analysis revealed four major themes of library management, informatics, library service, and library system in 10 major topics. The results also showed subtopics in information science and library management topic areas to change over time, while library service remained stable over 20 years to establish itself as a robust topic. In addition, medical information emerged as a significant sub-topic of informatics, thus exemplifying the interdisciplinary characteristic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Collaboration Networks and Document Networks in Informetrics Research from 2001 to 2011: Finding Influential Nations, Institutions, Documents (계량정보학분야의 협력연구 네트워크 및 문헌네트워크 분석 : 국가, 기관, 문헌단위 분석)

  • Lee, Jae Yun;Choi, Sa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0 no.1
    • /
    • pp.179-191
    • /
    • 2013
  • Since information scientists have begun trying to quantify significant research trends in scientific publications, '-metrics' research such as 'bibliometrics', 'scientometrics', 'informetrics', 'webometrics', and 'citation analysis' have been identified as crucial areas of information science. To illustrate the dynamic research activities in these area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jor contributors of '-metrics' research for the last decade at three levels: nations, institutions, and documents. '-metrics' literature of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the Science Citation Index for the years 2001-2011. In this analysis, we used Pathfinder network, PNNC algorithm, PageRank and several indicators based on h-index. In terms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USA and England were identified as major countries. At the institutional level, Katholieke University, Leuven and the University of Amsterdam in Europe and Indiana University and the Office of Naval Research in the USA have led co-research projects in informetrics areas. At the document level, Hirsch's h-index paper and Ingwersen's web impact factor paper were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work by two methods: PageRank and single paper h-index.

Factors Influencing Research Collaboration in the Field of Informetrics (연구자 협업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계량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 Nam, Eunkyung;Park, Ji-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1 no.4
    • /
    • pp.201-227
    • /
    • 2014
  • The collaboration is becoming ever more widespread in scientific research. Unlike collaboration in other areas such as in a company, research collaboration has an unique feature that it is reflected by scholars' characteristic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research collaboration, five major factors are identified. We propose five hypotheses from them and examine these by using both in-person questionnaire survey and relational bibliometric analysis. The survey analysis informs individual choice factors and the bibliometric analysis informs collective consequenc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have implications for science policies and digital collaboration services.

An Informetric Analysis on Intellectual Structures with Multiple Features of Academic Library Research Papers (복수 자질에 의한 지적 구조의 계량정보학적 분석연구: 국내 대학도서관 분야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 Choi, Sa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8 no.2
    • /
    • pp.65-7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opic areas of academic library research using two informetric methods; word clustering and Pathfinder network. For the data analysis, 139 articles published in maj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s from 2005 to 2009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n Science Citation Index database. The keywords that represent research topics were gathered from two sections: an and titles in references. Results showed that reference titles usefully represent topics in detail, and combinings and reference titles can produce an expanded topic map.

과학기술정책 수립을 위한 계량정보분석방법론 포트폴리오 구축: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Yun, Byeong-Un;Ha, Hyeon-Hak;Son, Gyeong-Won;Kim, So-Jeong;Kim, Mun-Su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391-412
    • /
    • 2009
  • 국가의 신성장 동력을 찾고 국가 연구개발과제를 기획 평가하는 것은 국가 경쟁력에 직결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것은 해당 기술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토대로 정확한 기술궤적 (technology trajectory)을 도출할 수 있을 때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기존에는 이러한 과정이 직관에 의한 판단이나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았으나, 최근에는 기술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과 정보에 대한 정량적인 수치화, 즉 계량화를 기반으로 분석하려는 시도가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계량정보분석은 과학기술정책 수립에 주요 방법론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계량정보분석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방법론 적용 및 활용 프로세스 등과 관련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선진국의 계량정보분석방법론의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방법론의 유형 및 활용영역을 분석함으로써 활용목적에 맞는 계량정보분석방법론 포트폴리오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는 계량정보분석방법론 적용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활용 목적에 맞는 적용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망 기술 영역과 핵심 기술을 탐색하고 모니터링하는 방향으로 계량정보분석방법론의 활용영역이 확장될 수 있는 토대가 되며, 기술 지능(technology intelligence)적인 정보를 창출하여 실질적인 업무 지원 역할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