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곡수

Search Result 42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stimating Volume of Martian Valleys using Adaptive TIN Filtering Algorithm (Adaptive TIN 필터링을 이용한 화성 계곡의 체적 추정)

  • Jung, Jae Hoon;Heo, Joon;Kim, Chang Jae;Luo, Wei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3
    • /
    • pp.3-10
    • /
    • 2012
  • The investigation of valley networks and their volume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past water activities on Mars. As an alternative of conventional image processing methods, terrain filtering algorithm using pointcloud data is suggested in this study. First, the topography of pointcloud is inverted so that the valleys become positive features and the algorithm is then applied to distinguish the valleys from the surface. Ground DEM and object DEM are generated from both the valleys and the surface pointcloud then the volume of valleys is estimated by multiplying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with valleys and the area of valleys based on grid cellsize. In the test of valleys adjacent to Tuscaloosa crater, the total volume of valleys was estimated to be $1.41{\times}10^{11}m^3$ with the difference of 12% and 16% compared with the infill volume of Tuscaloosa crater and BTH result respectively.

Development of the field survey technique on the slope hazards mitigation method and its application (급경사지재해 대응공법의 조사기법 개발 및 적용)

  • Song, Yeong-Seok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2
    • /
    • pp.90-9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자연사면을 대상으로 적용되는 급경사지 대응공법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였다. 급경사지재해 대응공법을 합리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자연사면에 설치된 급경사지 대응공법의 특징을 기록할 수 있는 현장조사 양식을 개발하였다. 자연사면에서 급경사지재해 대응공법은 사면부 적용공법과 계곡부 적용공법으로 분류한다. 따라서 개발된 조사양식도 사면부과 계곡부로 구분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무주 및 장수지역에 설치된 50개소의 급경사지재해 대응공법에 대한 현장조사결과 사면부의 경우 비탈다듬기와 표면보호를 위한 선떼붙이기, 비탈덮기 등이 주로 보강되어 있다. 계곡부의 경우 대부분 콘크리트 사방댐과 기슭막이가 시공되어 있으며, 슬랫댐과 콘크리트 사방댐 및 기슭막이가 복합적으로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Forest at Sanggyesa Chirisan national Prark (지리산국립공원 쌍계사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 서영권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4
    • /
    • pp.340-347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의 쌍계사지의 불일폭포-성불재 계곡부(해발 600-1.1200m)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교목층의 산림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라 42개 조사구를 설정하였다 교목상층의 밀도 평균흉고직경 흉고단면적의 범위는 각각 545-1,700본/ha 11.0-23.5cm, 19.1-27.8m2/ha 이었다 교목상층의 평균흉고직경과 흉고단면적 교목층 전체의 흉고단면적은 계곡중부에서 가장컸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신갈나무 소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굴참나무 졸참나무, 비목나무 등이었다 사면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중요치가 증가하는 수종은 굴참나무 쇠물푸레 철쭉꽃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노각나무 비목나무 느티나무 당단풍 때죽나무 등이었다 해발고와 사면부위가 높을수록 종수와 종다양도는 감소하였으며 해발고대별 종다양도는 0.626-1.320 의범위를 보였다 계곡정부를 제외한 해발고대간 유사도지수는 36.1-60.6% 사면부위간 유사도지수는 59.2-74.4% 로서 사면부위보다 해발고에 따른 종구성 상태의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중요치에 의한 Cluster 분석결과 계곡하부의에 위치한 서어나무-활엽수군집 계곡상부의 사면중 하부에 위치한 신갈나무-활엽수군집 계곡정부와 계곡상부의 사면상부에 위치한 신갈나무-소나무군집 등 4개 유형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종상관 분석결과 소나무 신갈나무 쇠물푸레 철쭉꽃 등 4개 수종간 비목나무 산뽕나무 생강나무 등 3개 수종간에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 있었다. 신갈나무, 쇠물푸레 철쭉꽃 등은 졸참나무와 소나무 쇠물푸레 등은 비목나무 서어나무와 유의적인 부의 상관이 있었다.증가에 따라 250 g/L까 지 증가하여 최대 51.0%의 수율과 0.63 g/L-h의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방법이 일단 생산성 향상을 위한 세포의 고농도 배양에는 조사한 여러 배양 시스템 중에 가장 효율적인 시스템임올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시스템 에서 포도당을 낮은 level로 유지할 수 있었으나, 초산의 과도한 축적으로 항체 생산성의 향상은 예상에 비해 크지 않았다. 81%), C18 0(12.38%), C18: 1(25.93%), C22:6(9.95%)이며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은 C14 : 0(11.60%), C16 : 0(18.94%), C16: 1(10.42%). C18 : 1(10.89%), C22 : 6(23.44%)이었다. 총필수지방산(總必須脂肪酸) 함량(含量)은 극성지방질(極成脂肪質)$(20.14{\sim}31.12%)$이 비극성지방질(非極成脂肪質)$(6.97{\sim}11.13%)$보다 훨씬 높았고,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이 유리지방질(遊離脂肪質)보다 높았으며 부위별(部位別)로는 피부(皮部)$(15.18{\sim}15.41%)$가 육질부(肉質部)$(6.97{\sim}11.13%)$보다 높았다. 또${\omega}3$고도부포화지방산(高度不飽和脂肪酸) 함량(含量)은 육질부(肉質部)$(15.15{\sim}28.32%)$가 피부(皮部)$(6.77{\sim}18.18%)$나 내장부(內臟部)$(8.35{\sim}9.74%)$보다 높았으며, 육질부(肉質部)에서는 극성지방질(極成脂肪質)

  • PDF

희귀식물 무주나무(Lasianthu japonicus Miquel)의 특성과 자생지

  • 이은주;문명옥;강영제;김문홍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11b
    • /
    • pp.76-76
    • /
    • 2002
  • 무주나무(Lasianthus japonicus Miquel)는 일본, 대만, 중국 등에 분포하고 열대 및 아열대의 상록활엽수림에서만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제주도 남쪽계곡에만 분포하는 희귀식물이다. 무주나무는 현재 환경부 지정 보호야생식물로 보호되고 있으나 개체특성 및 자생지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다. 본 연구는 무주나무의 자생지 현황과 생육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무주나무의 자생지는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하례리 해발 250m의 계곡 동사면과 서귀포시 돈네코 계곡의 해발 350 m 계곡의 서사면 등 2개소로 확인되었다. 자생지별 개체수는 남원읍 하례리 4개체, 서귀포시 돈네코계곡 5개체 등 총 9개체에 불과하였다. 자생지는 계곡의 상록수림 하부에 바위 위 부엽토나, 습한 계곡 사면이었으며, 교목층에는 구실잣밤나무, 비쭈기나무, 황칠나무, 동백나무 등이 우점하고, 관목층에는 사스레피나무, 백량금, 산호수 등이 우점하는 상록활엽수림이었다. 분포 개체의 수고는 최소 0.4 m, 최대 1.55 m로 평균 1.5 m 였다. 생장특성을 조사한 결과 줄기는 어릴 때는 사각형이지만 점차 원형으로 되며, 일정한 마디가 있고 털이 없으며, 잎은 대생하고, 혁질이며, 중륵과 측맥이 뚜렷한 특성을 갖고 있었다. 열매는 장과형으로 성숙 시에는 남색이며 털이 없으며, 직경 약 6-7 mm, 4-5개의 종자가 들어 있었다. 종자는 반달형이며, 3개의 홈이 지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현재의 자생지는 자연적인 요인으로서 토양유실이 심하게 일어나고 있는 지역이었으며, 교목 또는 다른 관목에 의한 피압으로 무주나무의 생장에 부적절한 환경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자생지의 적절한 식생관리와 지속적인 자생지 조사 및 자생지외 보존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I_{NO}$ 가 죽절초를 제외한 3종에서 여름철 낮시간에 증가하였다. 겨울철의 O-J-I-P곡선은 모든 종에서 낮시간에 다소 낮아지지만 큰 변화는 없었다. 그리고, 문주란, 박달목서, 파초일엽에서 $\psi$o/(1-$\psi$o)가 낮시간에 다소 증가하였다. 이로부터 P $I_{NO}$ , SF $I_{NO}$ , $\psi$o/(1-$\psi$o)등의 변수는 식물의 활력도를 검정하는 지표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irc}C$) 까지 동시에 냉각된 사실을 지시한다. 각섬석 편암내의 각섬석들은 복잡한 40Ar/39Ar 연대를 보여주며 일부가 평형연대를 보여주지만 특별한 의미 부여가 힘들다.해예방행동을 촉구하는 등의 효과도 높은 것으로 예방의학적인 유용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대두 단백질로 코팅된 golden delicious는 상온에서60일 동안 보관하였을 경우, 사과표피의 색도 변화를 현저히 지연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control과 비교하여 성공적으로 사과에 코팅하였으며, 상온에서 보관하여을 때 사과의 품질을 30일 이상 연장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대두단백질 필름이 과일 등의 포장제로서 이용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ents)로 가정한다. 즉,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동일한 구성

  • PDF

임기광산 주변 수질특성 변화연구

  • 임길재;정영욱;지상우;홍성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385-389
    • /
    • 2004
  • 임기납석광산 폐석적치장 상부의 계곡수로부터 폐석적치장 하부인 수영강 합수지점까지 수계를 따라 물시료 12개 지점을 대상으로 수질 및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폐석적치장으로부터 pH가 2.83이고 Fe, Al, Mn 등으로 심하게 오염된 산성배수가 유출되어 계곡수를 오염시키며 수계의 수질은 $Ca^{2+}$-SO$_{4}$$^{2-}$ 형태로 변화되고 폐석적치장 주변 수로에 적화현상을 유발하고 있다. 또한 안정동위원소 분석결과 임기납석광산 인근 수계에 가장 큰 오염부하를 유발하는 요소인 침출수(산성배수)의 기원은 강수기원으로 판단된다. 이는 폐석침출수 오염원 평가 및 처리에 유용한 자료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Forest at Chuwangsan Area (주왕산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 박인협;문광선;류석봉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8 no.2
    • /
    • pp.154-159
    • /
    • 1995
  • The Chuwang valley-Kumunkwangi valley forest in Chuwangsan area was studied to investigate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Forty eight quadrats were set up in the valley forest along altitude of 470m to 780m and part of the slope. Density and basal area of trees in tree strata decreased as increasing elevation. With increasing elevation the importance values of Quercus mongolica, Fraxinus rhynchophylla increased, while those of Pinus densiflora, Lindera obtussiloba decreased. As going from lower part to upper part of the slope, the importance values of Quercus valiabilis and Lindera obtussiloba increased while those of Fraxius rhynchophylla, Acer mono decreased. Species diversity tended to decreased as going to upper parts of the slope. The range of similarity indices between elevation belts, and parts of the slope were 74.4~84.2% and 68.0~96.3%, respectively. According to importance value and cluster analysis, the studied valley forest was classified into three forest communities of Pinus densiflora-deciduous tree species community of lower part of slope, Pinus densiflor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of middle and upper part of slope, Pinus densiflora community of the top area.

  • PDF

Forest Stnl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forest at Sangbuun, l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상부운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 Park, In-Hyeop;Choi, Yun-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6 no.4
    • /
    • pp.457-464
    • /
    • 2003
  • A valley forest in Sangbuun area at Jirisan National Park was studied to investigate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the slope. Forty-eight quadrats were set up in the valley forest along altitude of 726m to 1,090m and part of the slope, and vegetation analysis for the woody species in the tree and subtree layers were carried out. With increasing elevation belt, mean DBH, height and basal area of the trees in the tree layer increased while their density decreased. This trends may be caused by the disturbance which was relatively severe in the low elevation area. As elevation increased, the importance percentages of Fraxinus rhynchophylla,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mongolica increased while those of Styyax japonicus, Carpinus laxiflora and Pinus densiflora decreased. The importance percentages of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increased as going from lower part to upper part of the slope. However, the opposite trend was found for the importance percentages of Acer mono and Cor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Number of species and species diversity decreased as increasing elevation and going from lower part to upper part of the slope. According to importance percentage and cluster analysis, the valley forest was classified into three forest communities of Quercus serrata-broad-leaved tree species community in lower part of the slope at low elevation belt, middle elevation belt and middle and upper parts of the slope at high elevation belt, Pinus d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in middle and upper parts at low elevation belt, and Quercus mongolica-broad-leaved tree species community in lower part of the slope at high elevation belt and top area.

산지소유역의 일유출량 산정

  • Park, Gi-Beom;Park, Seon-Hwa;Kim, Ji-H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207-21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산지 소유역에 대하여 수자원 개발과 이용을 위한 일 유출량 산정을 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유역은 충주댐 유역중에서 비교적 산지의 분포가 많은 농촌 계곡 유역이며, 특히 덕주골, 만수골, 고무서리골과 같은 유역은 유량계측 시설이 없는 미계측 유역으로 수자원 계획수립시 유출량 산정에 어려움이 있는 곳이다. 이러한 미계측 계곡 소유역에 대하여 강우자료와 지형특성을 이용하여 기존의 유사한 유역이나 기수립된 모형의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산지계곡 유역에 탱크모형을 구축하여 저수유출 해석을 실시하여 유출량을 산정함으로써 수자원계획 수립에 이용할 수 있도록 모형을 구축하였다. 탱크모형에 의하여 유출량을 산정한 결과 비유량법과 면적비에 의한 유량이 모두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계측 산지 계곡의 유량을 산정하는 데 있어 실측한 자료의 부정확성을 탱크모형에 의해 모의하여 보완하여 유출량을 산정하여 수자원 계획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맑은 물 계곡의 토종 4총사

  • Song, Ho-Bok
    • 한국상하수도협회지
    • /
    • s.4
    • /
    • pp.136-137
    • /
    • 2003
  • 필자는 때때로 물고기를 관찰하기 위해 산으로 간다. 차도 들어가지 못하는 험한 산길을 굽이굽이 돌아 산간 계곡에 이르면, 한 여름에도 발을 담그지 못할 만큼 찬 물이 흐르는 곳에서 세찬 물살과 함께, 시퍼런 웅덩이와 깨끗하게 닦인 돌들이 나타난다. 그리고 그런 곳을 터전으로 삼아 살아가고 있는 우리의 토종 친구들을 만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