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화시간

검색결과 661건 처리시간 0.026초

GMA용접용 콘택트팁의 신뢰성 평가 기준 제정 (standard enactment of Reliability testing for contact tip during GMA welding)

  • 김남훈;김희진;유회수
    • 한국신뢰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뢰성학회 2004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139-145
    • /
    • 2004
  • 용접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가스메탈아크 용접에서 고내마모성의 콘택트 팁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현재 국내외에서는 콘택트팁에 대한 수명평가 기준이 없으며, 일부 업계에서 자체 규격을 제정하여 운용하고 있지만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팁의 신뢰성 평가기준을 제정하고자 하였다. 팁의 주요 파손기구로는 고온 마찰마모, 전기적 에로존, 번백 등이 있다. 신뢰성 평가는 경도 시험, 열처리 후 경도, 용접 마모, 전기전도도를 시험으로 구성되었다. 팁의 수명은 마모가 45%에 도달했을 경우 송급된 와이어 총 길이로 하였으며, 4시간까지 마모시험 한 결과를 근거로하여 한계수명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조성의 다섯 가지의 콘택트팁에 대하여 4시간동안 내마모성 실험을 하였으며, 마모정도는 1시간 단위로 면적비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가공경화형팁은 1시간이내에 재결정 및 입자성장에 의한 경도 저하로 가공경화가 팁 수명에 지속적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반면, 석출경화형팁은 석출경화 효과가 지속되어 가공경화형팁보다 수명이 향상 되었다.

  • PDF

Mold내의 에폭시 수지 경화시 시간에 따른 내부 온도의 변화 (Temperature-time Profile during Epoxy Cure in a Mold)

  • 김득수;김종현;이종근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44-250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산무수물계에 경화촉진제를 첨가한 시료를 몰드(mold)내에서 등온 경화시킬 때 시료 내부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여 얻어진 온도-시간 곡선(temperature-time profile)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경화촉진제의 종류는 1-cyanoethy1-2-ethy1-4-methy1 imidazole(1E4MZ-CN), N,N-dimethy1 benzy1 amine(BDMA), 2,4,6-tris(dimethy1-aminomethy1)-phenol(DMP-30)이며 그들의 농도(c)는 1.0,1.5,2.0,2.5,phr그리고 경화온도(T$_{cure}$ )는 65,70,85,95$^{\circ}C$로 하였다. 경화가 진행되는 동안 시료내부의 온도는 초기에 경화온도로 상승한 후 본격적인 경화 반응이 일어나기 시작하여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였다가 다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온도-시간 곡선상에 나타나는 온도가 최고로 상승되는 시점(t$_{peak}$ )과 그 때의 온도(T$_{peak}$ )는 촉진제의 종류와 농도 그리고 경화온도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사용한 경화촉진제중에 DMP-30이 가장 짧은 t$^{peak}$ 값을 가져 가장 우수한 촉진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_{peak}$ 는 촉진제의 농도와 경화온도가 증가할수록 상승하였다. 그리고 경화촉진제의 농도와 경화온도의 변화에 따른 t$_{peak}$ 과 T$_{peak}$ 의 변화를 보면 촉진제 농도와 경화온도가 낮을 때 그 변화가 민감하여 2E4MZ-CN 이 가장 민감한 촉진제로 나타났으며 또한 T$_{peak}$ 에 영향을 주는 여러가지 요소들을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로부터 자세히 살펴보았다.

  • PDF

HTPB 바인더를 이용한 미 경화 추진제의 연소 특성 (Burning Properties of Uncured HTPB Propellant)

  • 김낙현;김정은;홍명표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4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HTPB를 적용한 고체추진제의 공정간 검사를 위해 경화제를 넣기 전과 넣은 후의 미 경화 추진제의 연소속도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경화제를 넣기 전 미 경화 추진제의 연소속도는 압력 1000 psi에서 약 9.7 mm/s 정도이며, 시간에 따른 연소속도 변화는 없었다. 경화제가 들어간 미 경화 추진제의 연소속도는 약 8.1 mm/s로 시간에 따라 느려지는 경향을 보였다. 경화반응 속도가 느린 미 경화 추진제는 시간에 따라 연소속도가 서서히 느려졌으며, 경화반응 속도가 빠른 미 경화 추진제는 연소속도가 빠르게 느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완전히 경화된 추진제의 연소속도는 약 6.8 mm/s 정도로 가장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페놀 수지의 경화 공정 (Curing Process of Phenolic Resin)

  • 이윤배;성시창;신은정
    • 공업화학
    • /
    • 제16권2호
    • /
    • pp.292-295
    • /
    • 2005
  •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만들 때 페놀 수지의 경화 시간은 원가 질감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 경화 시간은 페놀수지와 경화제인 Hexamethylenetetramine의 반응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이 반응 시간은 적외선 분광법(FT-IR), 열치사 주사법(DSC) 및 열중량 분석법(TGA)에 의하여 화학 반응의 완결을 추적하여 알아낼 수 있었다.

자동차 도료 경화용 고효율 적외선 방사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frared Emitter with High Efficiency for Curing Car Paints)

  • 강병철;최정진;황선;김기호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4-114
    • /
    • 2008
  • 자동차 보수도료 경화는 주로 열풍방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적외선 가열방식을 사용하면 품질이 향상 되고 에너지 절약 등의 이점이 있다. 따라서 자동차 보수도료의 경화용으로 사용할 적외선 방사체를 개발하였다. 자동차 보수도료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과 적외선 방사체 방사 스펙트럼이 일치해야 도료의 경화효율이 우수해짐을 알 수 있었고 열풍방식과 비교하여 경화된 도막의 품질 및 경화시간에 대한 실험데이터를 분석하였다.

  • PDF

저온 경화형 에폭시 매트릭스 수지의 경화거동 및 화학유변학에 대한 연구 (Cure Behavior and Chemorheology of Low Temperature Cure Epoxy Matrix Resin)

  • 나효열;염효열;윤병철;이성재
    • 폴리머
    • /
    • 제38권2호
    • /
    • pp.171-179
    • /
    • 2014
  • 우수한 성능을 지닌 대형 구조의 섬유강화 고분자(FRP) 복합재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저온 경화형 프리프레그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온 경화형 프리프레그 제조에 적합한 매트릭스 수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경화제, 경화 촉진제로 구성된 저온 경화형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경화거동 및 화학유변학을 고찰하였다. 경화반응 특성은 시차주사열량분석법과 유변물성측정법을 활용하여 승온 및 등온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매트릭스 수지로 제안된 저온 경화형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80^{\circ}C$에서 3시간에 경화시킬 수 있었고, 80과 $90^{\circ}C$에서의 젤화 시간은 각각 120분과 20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킨 수지 경화물의 열적, 기계적 물성은 고온 경화형 수지 경화물의 물성과 거의 동등하였다.

치근단 역충전용 포틀랜드 시멘트 신복합재료의 물리적 성질 고찰 (Physical properties of novel composite using Portland cement for retro-filling material)

  • 이상진;조옥인;염지완;박정길;허복;김현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6호
    • /
    • pp.445-452
    • /
    • 2010
  •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근단 역충전 재료를 개발하기 위해 MTA, MTA와 AH-plus 혼합물 (AMTA), 그리고 실험적 개발재료인 Portland cement-Epoxy resin composite (EPPC)의 미세 누출 및 물리적인 성질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발거 치아 49개를 근관 성형하고 gutta-percha와 sealer로 충전하였다. 각 치아의 치근을 근단부 3 mm에서 절단하고 3 mm 깊이의 역충전 와동을 형성하였다. 15개씩 무작위로 분류한 치근을 세 군으로 나누어 각각 MTA, AMTA, EPPC로 충전하였고 네 개의 치근은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각 군의 재료로 역충전이 완료된 모든 실험군을 젖은거즈로 덮고 24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경화 후 72시간 동안 1% methylene blue 염색액에 담근 후, 치근단을 수직 절단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미세 누출을 평가하였다. Vicat apparatus를 사용하여 실험군 별로 경화시간을 측정하였으며, aluminum step wedge를 사용한 디지털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각 군의 방사선 불투과도를 평가하였다. 미세누출과 경화시간에 대해 각 군간의 차이를 일원배치분산분석 및 Scheffe 사후 검증으로 유의수준 95%에서 평가하였다. 결과: AMTA와 EPPC는 MTA군에 비해 적은 미세누출량을 보였다 (p < 0.05). AMTA는 가장 높은 방사선 불투과도를 보였으며 개발 재료인 EPPC군은 5 mm aluminum 두께의 방사선 불투과도를 보였다. MTA가 가장 긴 경화시간을 나타낸반면 EPPC군은 다른 군에 비해 초기경화와 최종경화 모두 가장 짧은 경화시간을 나타냈다 (p < 0.05). 결론: 이 연구 조건하에서, 신개발 재료인 EPPC는 치근단 역충전 재료로서 기존의 MTA보다 양호한 밀폐능력과 방사선 불투과성 및 짧은 경화시간 등의 역충전 재료로서 적절한 물리적 성질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실리콘 고무인상재의 물성에 미치는 충전제의 영향 (Effect of Filler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Silicone Rubber Impression Material)

  • 정경호;강승경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1권3호
    • /
    • pp.157-163
    • /
    • 2006
  • 침전실리카와 친수성 및 소수성 흄실리카를 사용하여 첨가량에 따른 실리콘 고무인상재의 젖음성과 기계적 물성 향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무인상재의 경화시간에는 흄실리카 종류보다는 입자크기가 영향을 미쳤으며, 입자크기가 가장 작은 A300을 사용할 경우 약 9분 정도의 경화시간 지연을 초래하였다. 소수성 흄실리카인 R972를 대체 사용할 경우 고무인상재의 젖음성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침전실리카와 A300 흄실리카를 85:15로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인열강도가 약 1.5N/mm 정도 증가하지만 경화시간의 과도한 지연과 더불어 점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흐름성 및 기계적물성 측면에서 침전실리카와 흄실리가(A300)를 90:10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최적이었다.

열경화성 액정 에폭시 수지의 액정상 변화를 포함한 시간-온도-전이 다이어그램 (Time-Temperature-Transition Diagrams with Liquid Crystalline Phase Changes of Liquid Crystalline Epoxy)

  • 조승현
    • Composites Research
    • /
    • 제37권3호
    • /
    • pp.215-218
    • /
    • 2024
  • Diglycidyl ether of 4,4'-dihydroxy-α-methylstilbene (DGE-DHMS)에 aniline을 2:1의 비율로 첨가한 액정에폭시올리고머인 DD-A를 합성하고 촉매성 경화제인 1-Methyl Imidazole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며 겔화 및 유리화 시간을 측정하여 액정 변화가 포함된 Time-Temperature-Transition Diagram을 작성하였다. 경화제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겔화 및 유리화 시간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유리화 곡선은 전형적인 S-형태를 보였다.

수용성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열안정성 및 경화거동 (Thermal Stability and Cure Behavior of Waterborne Phenol-Formaldehyde Resin)

  • 윤성봉;김진우;조동환
    • 접착 및 계면
    • /
    • 제7권1호
    • /
    • pp.16-2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페놀수지 SMC 제조에 사용되는 수용성 레졸형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열안정성과 경화 발열반응 피크의 변화에 미치는 경화온도 및 경화시간의 영향을 열중량분석기와 시차주사열량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용성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중량감소는 주로 $200^{\circ}C,\;400^{\circ}C$ 그리고 $500^{\circ}C$ 부근에서 세 단계로 발생하였다. 경화된 수지의 $750^{\circ}C$에서 탄화수율은 약 62%~65%이었다. 수용성 페놀수지의 열안정성은 경화온도와 경화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경화시 발열반응은 약 $120^{\circ}C{\sim}190^{\circ}C$ 사이에서 진행되며, 발열피크의 최대점은 약 $165^{\circ}C{\sim}170^{\circ}C$ 사이에서 관찰되었다. 발열반응 곡선의 형태와 발열피크의 최대점은 주어진 경화온도와 경화시간에 의존하였다. 경화되지 않은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H_2O$ 및 휘발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경화 또는 성형 전에 적어도 $100^{\circ}C$ 이상에서 약 60분 이상의 열처리가 요구되었다. $130^{\circ}C$에서 120분 동안의 경화는 수용성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의 발열피크를 사라지게 하며, $180^{\circ}C$에서 60분 동안이 후경화는 수지의 열안정성을 더욱 향상시켜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