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화수축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3초

광원 경화형 소재의 수축률평가를 통한 광경화 거동 평가 (Curing behavior of Photo-Curable Materials by Photo-Shrinkage Test)

  • 박지원;배경열;김판석;임동혁;김현중;조진구;김백진;이상협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2호
    • /
    • pp.57-62
    • /
    • 2010
  • 광원경화형 소재는 UV, 가시광선 등에 의해 반응하여 분자간의 가교가 일어나고 이러한 가교반응에 의해 물성이 제어되는 소재를 의미한다. 광원경화거동과정에서 수축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수축현상으로 인해 재료의 구조가 변하고 내부의 응력이 발생하는 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열경화에 의한 수축현상을 분석하는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광원경화에 대한 수축현상을 연구하는 분야는 현재 경화 수준이나 경화속도 등을 분석하는데 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축률 측정기를 통해 광원경화에 대한 수축현상을 실시간으로 살펴보고 재료의 차이에 따른 경화거동과 수축현상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관능기의 숫자가 변화함에 따라 수축률과 수축 속도의 변화가 생겼으며 분자량의 사슬길이에 따라 수축정도의 차이가 발생했다. 이러한 결과가 이론적인 결과 값인 양의 상관관계와는 반대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짐을 분석하였다. 이는 수축률이 단순히 분자량과 관능기 숫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분자구조에 따른 혼합물 내에서의 유동성 등에도 영향을 받음을 확인 할 수 있는 결과이다.

경화도에 따른 고분자 기지 복합재의 경화 수축률 거동 (Cure Shrinkage Behavior of Polymer Matrix Composite according to Degree of Cure)

  • 권혁;황성순;최원종;이재환;김재학
    • Composites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90-95
    • /
    • 2014
  • 복합재료의 경화 시 발생하는 수축 변형률은 복합재료 구조물 내에 잔류응력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잔류응력은 spring-in, spring-out, warpage와 같은 구조물 변형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Hexcel사의 "Hexply M21EV/34%/UD268NFS/IMA-12K" prepreg를 사용하였다. 시험편의 경화에 따른 cure shrinkage 변화를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와 TMA(thermomechanical analyz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지의 수축률은 $140{\sim}240^{\circ}C$ 구간에서 $20^{\circ}C$ 간격으로 질소 분위기에서 측정하였다. 경화도는 dynamic과 isothermal DSC scanning을 통하여 측정된 반응열을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DSC 시험은 Argon 분위기에서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열경화성 수지는 27~80% 경화도에서 급격한 수축이 일어났으며, 경화온도가 높을수록 더 낮은 경화도에서 수축이 시작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발포 폴리스티렌 수지를 수축저감제로 이용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모르타르의 특성 (Properties of Unsaturated Polyester Mortar Using Expanded Polystyrene as a Shrinkage-Reducing Additive)

  • 조영국;최낙운;소양섭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30-3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열경화성인 UP 수지에 열가소성 스티렌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UP 수지의 경화기구 중 스티렌 수지가 수축보완 효과를 일으켜 UP 모르타르의 경화수축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역학적 성질의 변화를 함께 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 폐 스티로폴 용해액을 첨가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점도는 EPS/PS비가 30% 미만일 경우는 PS/UP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시공성 면에서 EPS/PS비가 30%이내에서 적절하였다. 또한 휨 및 압축강도는 EPS/PS비보다는 PS/UP비에 따른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PS/UP비 30%이하에서 감소 정도가 작았으며, EPS/PS비와 PS/UP비가 증가함에 따라서 경화수축은 전체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적절한 시공성과 휨 및 압축강도 특성 그리고 경화수축 시험의 종합적인 결과, EPS/PS비 30%, PS/UP비 30%일 때 최적의 배합 조건으로 나타났다. 이로서 폐 스티로폴을 UP 모르타르이 수축저감제로서 사용함에 있어 역학적 성질의 큰 변화 없이 경화수축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어 실제현장에서의 사용성이 기대되며,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스티렌 수지는 폐 발포 폴리스티렌을 스티렌 모노머에 액화시킨 것으로서 폐기물로 발생되는 폐 스티로폴의 자원재활용의 측면에도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UP-MMA 폴리머 콘크리트의 경화수축, 열팽창계수 및 탄성계수 (Setting Shrinkag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and Elastic Modulus of UP-MMA Based Polymer Concrete)

  • 연규석;연정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91-498
    • /
    • 2012
  • 이 연구는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보수나 프리캐스트 제품용으로 사용되는 UP-MMA 폴리머 콘크리트의 경화수축, 열팽창계수 및 탄성계수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UP-MMA비, SRA 첨가량, 시험온도 등을 변수로 하여 경화수축 시험과 UP-MMA비에 따른 열팽창과 압축응력-변형률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화수축은 29.2~$82.6{\times}10^{-4}$으로 UP 비율과 시험온도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열팽창계수는 21.6~$31.2{\times}10^{-6}/^{\circ}C$, 탄성계수는 2.8~$3.3{\times}10^4MPa$, 극한변형률은 0.00381~0.00418이었으며, 이는 UP-MMA비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UP-MMA 폴리머 콘크리트의 적용을 위한 설계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Packable resin의 미세경도와 경화수축 (A STUDY OF MICROHARDNESS AND POLYMERIZATION SHRINKAGE OF PACKABLE RESINS)

  • 손덕일;남순현;김현정;설효정;권용훈;김형일;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34-540
    • /
    • 2004
  • Packable resin은 아말감을 대신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상용화되었다. 이런 packable resin은 종래의 hybrid resin과는 달리 필러함량이 높고 분포가 더 조밀하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필러함량이 packable resin의 미세경도와 경화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그 결과들을 hybrid resin에서 얻은 것들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packable resin은 hybrid resin에 비하여 보다 높은 미세경도를 보였는데 본 실험에 사용된 레진들은 종류에 관계없이 그들의 미세경도가 필러함량(vol%)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packable resin은 hybrid resin에 비하여 훨씬 적게 경화수축 하였는데 관찰된 경화수축과 필러함량 사이에는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에폭시 수지 콘크리트의 경화수축 및 크리이프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Hardening Shrinkage and Creed of Eporxy Resin Concerte)

  • 허남철;연규석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9-119
    • /
    • 1990
  • 이 연구는 충진재의 유무에 따른 철근 콘리크트의 경화수축과 초기 크리이프 특성을 실험적으로 구명한 것이다. 그 결과, 경화수축은 보관온도가 높아질수록 커졌고, 충진재를 사용한 경우가 온도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기 크리이프는 재하시간과 응력일강도화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고, 강성변형이 클수록 컸는데, 이는 충진재를 첨가한 경우가 더 크게 나타났다.

충전재와 수축저감제가 MMA개질 폴리머 페이스트의 경화수축 및 강도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lter and Shrinkage Reducing Agent Influencing on Setting Shrinkage and Strength Properties of MMA-Modified Polymer Paste)

  • 연규석;백종만;김성기;이지원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27-232
    • /
    • 2006
  • 본 연구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수 및 코팅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충전재 및 수축저감제가 MMA 개질 폴리머 페이스트의 경화수축 및 강도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한 것이다. 그 결과 수축저감제를 30% 첨가하였을 경우 경화수축이 평균 $14.9{\times}10^{-4}$으로 수축저감제를 사용치 않았을 경우에 비해 약 82%의 수축저감효과를 나타냈으며, 충전재로서 탄산칼슘만 사용했을 경우보다 이를 수산화 알루미늄으로 완전히 대체하였을 때, 휨 및 압축강도는 각각 29%, 27% 증가하였다. 그리고 수축저감제를 30% 사용하면 수축저감제를 사용하지 않은것에 비해 휨 및 압축강도는 약 29% 감소하였다. 한편, 부착강도는 휨 및 압축강도와 마찬가지로 충전재로서 수산화 알루미늄의 비율이 클수록 증가하였으며, 수축저감제를 많이 사용할수록 감소 하였다. 그리고 건조한 바탕 콘크리트를 기준으로 할 때, 습윤한 바탕콘크리트에서의 부착강도는 약 $30{\sim}40%$ 높게 나타났다.

Lens 성형시 UV경화 반응에 따른 수축 및 변형 대한 해석적 접근 (Analysis of the shrinkage and warpage of Wafer lens during UV curing)

  • 박시환;문종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464-6471
    • /
    • 2014
  • 웨이퍼 단위의 렌즈를 성형 시 일반적으로 UV경화 방식을 사용한다. 이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은 크게. 경화후 이형과정에서 성형 렌즈의 금형 고착문제, 경화 공정 중 발생하는 소재의 수축 현상으로 렌즈간의 형상 오차 발생 및 웨이퍼 단위의 변형, 위치별 렌즈 형상 편차 발생, 웨이퍼 양면의 렌즈 형상 및 센터 정렬 오차 등이다. 이중 UV경화 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은 형상 오차 및 변형으로 그 요인은 UV 조사 균일성, UV 강도에 대한 경화도, UV 경화 소재의 수축 특성이다. 따라서 소재에 대한 경화 모델링 수립 및 경화 반응에 따른 수축율과 물성 변화에 대한 이론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모델링을 해석에 구현할 수 있는 해석 툴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omsol을 이용하여 수립된 모델링을 반영하고 이를 통하여 웨이퍼 단위 렌즈의 성형 공정에 대한 해석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7.2mm에 대한 누적 공차값을 실제 성형 공정 후 결과($0.149{\mu}m$)과 비교하여 제안한 해석 방법에 의한 결과($0.215{\mu}m$)을 비교,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UV경화 공정 후 변형에 대한 해석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유전 센서 및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EMC 유효 경화 수축 측정 (Measurement of effective cure shrinkage of EMC using dielectric sensor and FBG sensor)

  • 백정현;박동운;김학성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83-87
    • /
    • 2022
  • 최근 반도체 패키지 두께가 점점 얇아짐에 따라 휨(warpage)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휨(warpage)은 패키지 구성요소들 간의 물성 차이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휨(warpage)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주된 구성요소인 EMC(Epoxy molding compound)의 정확한 물성 파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EMC는 경화 공정 중 경화 수축을 보이는데, 겔점 이후에 발생하는 유효 경화 수축은 휨(warpage) 발생의 핵심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 센서를 이용해 측정한 소실 계수로부터 실제 반도체 패키지 경화 공정 동안 발생하는 EMC의 겔점이 정의되었다. 유전 센서로부터 얻은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시험과 rheometer 시험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유전 측정법이 EMC 경화상태 모니터링에 효과적인 방법임이 검증되었다. 유전 측정과 동시에 광섬유 센서를 이용해 EMC의 경화 공정 중 변형률 변화 추이가 함께 측정되었다. 위 결과들로부터 경화 공정 중 발생하는 EMC의 유효 경화 수축이 측정되었다.

퓨란수지를 이용한 유리질 탄소의 제조 (Fabrication of Glassy Carbon from Furan Resin)

  • 임연수;김희석;정윤중;김명수;김지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643-647
    • /
    • 2001
  • 퓨란수지로부터 유리질 탄소를 제조하였다. 유리질 탄소의 제조시, 사용된 수지가 경화 및 탄화 단계에서 많은 양의 가스를 방출하면서 큰 수축이 발생하여 크랙을 형성하고 휨 현상을 일으킨다. 이런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경화단계에서 압력을 가하고, 가열속도를 매우 느리게 하였다. 또한, 경화단계에서 무게감소와 수축율을 억제하고,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궁극적으로는 시편의 크랙 및 휨 현상을 방지하고자 필러와 알콜을 첨가하였다. 그 결과, 무게감소와 수축을 억제하고 밀도의 증가를 가져왔고 유리질 탄소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었으나 알코올을 첨가한 경우 필러의 양이 증가할수록 높은 비저항 값과 낮은 강도값을 나타내었다. 이런 현상은 알코올이 경화단계에서 분해 증발하면서 미세한 기포를 형성하고 이것들이 기공으로 전이하여 최종 제품에까지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