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화단계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6초

퓨란수지를 이용한 유리질 탄소의 제조 (Fabrication of Glassy Carbon from Furan Resin)

  • 임연수;김희석;정윤중;김명수;김지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643-647
    • /
    • 2001
  • 퓨란수지로부터 유리질 탄소를 제조하였다. 유리질 탄소의 제조시, 사용된 수지가 경화 및 탄화 단계에서 많은 양의 가스를 방출하면서 큰 수축이 발생하여 크랙을 형성하고 휨 현상을 일으킨다. 이런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경화단계에서 압력을 가하고, 가열속도를 매우 느리게 하였다. 또한, 경화단계에서 무게감소와 수축율을 억제하고,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궁극적으로는 시편의 크랙 및 휨 현상을 방지하고자 필러와 알콜을 첨가하였다. 그 결과, 무게감소와 수축을 억제하고 밀도의 증가를 가져왔고 유리질 탄소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었으나 알코올을 첨가한 경우 필러의 양이 증가할수록 높은 비저항 값과 낮은 강도값을 나타내었다. 이런 현상은 알코올이 경화단계에서 분해 증발하면서 미세한 기포를 형성하고 이것들이 기공으로 전이하여 최종 제품에까지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 PDF

잔류응력 완화를 위한 극저온 열처리 시 7075 알루미늄 합금의 기계적 특성 및 미세조직의 변화

  • 김회봉;고대훈;정은욱;이종우;조영래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9.2-39.2
    • /
    • 2011
  • 7075알루미늄 합금은 기계적 강도가 가장 높은 고강도 합금으로 열처리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열처리 공정 중 재료의 두께에 따른 내부 온도의 차이로 인한 잔류응력이 발생하여 최종 제품의 치수에 변화를 일으켜 제품 생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극저온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야기되는 7075알루미늄 합금의 기계적 특성 및 미세조직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7075 알루미늄 합금은 석출경화를 통한 강화가 이루어지며, 석출경화를 위해서 용체화 처리를 하여 인공시효를 하는 기존 공정과 비교하여 극저온 열처리 공정은 두 개의 추가적인 단계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단계는 -196도의 액체 질소 속에 샘플을 극저온 ��칭을 하는 단계이고, 두 번째 단계는 샘플의 온도를 급격하게 올리는 up-hill quenching이다. 잔류응력은 X-ray diffraction을 이용한 $sin2{\psi}$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극저온 열처리 후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vickers hardness를 측정하였으며 미세 조직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EBSD와 TEM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 PDF

다이접착필름의 조성물이 1단계 경화특성과 열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Die Attach Film Composition for 1 Step Cure Characteristics and Thermomechanical Properties)

  • 성충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261-267
    • /
    • 2020
  • 휴대용기기에 대한 경박단소 및 빠른 속도에 대한 요구는 반도체 패키징 기술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대한 대응의 하나로 stacked chip scale package(SCSP)가 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다. SCSP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소재 중의 하나가 die attach film(DAF)이다. 특히, 다이와 기판을 접착하거나 다이와 다이를 접착하는 경우, DAF의 접착필름은 기판의 단차나 본딩 와이어 사이를 기공의 발생 없이 채우기 위해 우수한 고온 유동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 경우 경화 크랙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2단계 경화가 종종 요구되나, 공정시간 단축을 위해서는 1단계 경화가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DAF 접착필름의 조성물을 경화 성분(에폭시 수지), 유연 성분(고무성분), 딱딱한 성분(페녹시수지, 실리카), 3개 군으로 분류하고, 조성물의 변화에 따른 1단계 경화시 경화 크랙, 고온 유동성, die attach (DA) 기공발생에 대한 영향을 혼합물 실험 설계법를 통해 살펴보았다. 경화 크랙은 딱딱한 성분 함량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함량이 증가할수록 경화 크랙이 감소하였다. DA 기공의 발생은 딱딱한 성분의 함량이 감소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특히, 딱딱한 성분의 함량이 적은 경우는 경화 성분의 함량이 감소할수록, 기공의 발생이 억제되었다. 고온 유동성은 100℃ 저장탄성 계수와 120℃에서의 블리드 아웃(BL-120)으로 평가되었다. 100℃의 고온 저장탄성률은 딱딱한 성분의 감소가 중요하였고, 유동성 지표인 BL-120의 경우는 경화 성분의 함량의 증가와 딱딱한 성분의 감소가 동시에 중요하였다.

개별진공압밀공법이 적용된 점성토의 단계진공압에 따른 압밀특성 (The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Soft Clay by Stepped Vacuum Pressure in Individual Vacuum Method)

  • 한상재;김종석;김병일;김도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11호
    • /
    • pp.41-52
    • /
    • 2012
  • 석션드레인공법은 연직배수재를 통해 연약지반에 직접 진공압을 가하게 되므로 진공압에 의해 배수재 주변의 경화영역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화영역은 지반의 투수성을 저하시켜 간극수 배출 효율이 급격히 저하된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인 경화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계 진공압을 고려하였다. 단계 진공압(-20kPa, -40kPa, -60kPa, -80kPa) 적용 기간이 경화영역과 지반개량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부산 해성 점토를 대상으로 단계별로 진공압 적용일자를 달리하여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강도(CPT) 및 함수비 시험과 이론적 검증을 통해 경화영역의 범위는 약 7.0cm 이내이고, 경화영역 내에서의 투수계수 저하비는 약 2.0~4.0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일괄적인 진공재하방식보다는 단계재하방식이 최종침하량 측면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계별 진공압의 적용기간도 대상 점토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함을 보였다. 수치해석 결과 경화영역을 고려하는 것이 실측값에 유사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경화단계에서의 1성분형 실리콘 실란트의 거동대응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the Joint Movement Responsiveness Performance to the One-Component Silicon Sealants at Curing Phase)

  • 손종원;오노 타다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3-64
    • /
    • 2014
  • In this study, we has a purpose to estimate the joint movement responsiveness performance for the domestic products of one-component structural silicon sealants. For this purpose, we make a comparative study for the four domestic products focused on tensile properties after allowed the cyclic-movements for three days at initial step of curing phase. A joint movement range ±10% and the rate of compression and extension 3.2mm/h were assumed in those tests. As a result, the large space were induced inside the sealant by rupture, and then adhesion and cohesion failures were caused by stress concentration. The tensile properties were reduced by 15~60% in comparison with physical properties. In this case, the generating defect was caused and the service-life was decreased. Thus, further researches as relationship of test condition and products properties on this behavior would be studied.

  • PDF

불포화 폴리에스터/비닐에스터 블렌드의 경화 거동, 열안정성 및 굴곡 특성 (Cure Behavior, Thermal Stability and Flexural Properties of Unsaturated Polyester/Vinyl Ester Blends)

  • 이종문;조동환
    • 폴리머
    • /
    • 제27권2호
    • /
    • pp.120-128
    • /
    • 2003
  • 불포화 폴리에스터(UPE), 비닐에스터(VE) 및 그 블렌드의 경화 거동에 미치는 촉매 반응촉진제 그리고 블렌드 조성의 영향을 시차주사열량(DSC) 분석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이들 수지의 DSC 열분석도는 각 변수에 크게 의존하였다. 115$^{\circ}C$에서 나타나는 작은 발열 피크는 주로 UPE/VE 블렌드를 구성하고 있는 UPE 성분에 의한 것이며, 134~138$^{\circ}C$ 사이에서 나타나는 큰 피크는 주로 VE 성분에 기인한 것이다. 또한 각 블렌드를 고온 18$0^{\circ}C$와 수십초의 빠른 경화 조건에 노출시킨 후 측정한 DSC 열분석도 결과는 고속에서 블렌드의 열성형 공정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준다. UPE에 대한 이전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수지 흐름시간의 측정 결과는 UPE/VE 블렌드에서도 세 영역치 경화 단계가 존재하고 있음을 제시해주었다. 즉, 유도단계, 전이단계, 거대 젤 형성단계, 경화된 UPE의 열안정성과 굴곡 특성은 UPE에 VE측 블렌딩함으로써 조성비에 따라 두드러지게 향상되었다.

등방단일경화구성모델에 의한 모래의 3차원거동 예측 (Prediction of Three -Dimensional Behavior of Sand by Isotropic Single Hardening Constitutive Model)

  • 홍원표;남정만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0권1호
    • /
    • pp.103-118
    • /
    • 1994
  • 세주응력을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입방체형삼축시험기를 이용하여 모래시료에 대한 일련의 배수삼축시험이 실시되었다. 그리고 Lade에 의해 제안된 등방단일경화구성모델을 사용하여 입방체형삼축시험시와 동일한 응력경로에 대한 응력-변형률 거동을 해석하였다. 등방단일경화구성모델에 의한 거동 예측치는 초기재하단계(primary loading)시 입방체형삼축시험결과와 좋은 일치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반복재하단계(unloading과 reloading)의 경우 거동예측치는 시험결과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등방단일경화구성모델의 소성일경화계수가 시험결과의 경화부분을 근거로 하여 결정되었기 때문에 연화부분에서 많은 오차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8종 root canal sealers의 경화 전, 후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 (Antimicrobial activity of eight root canal sealers before and after setting)

  • ;이우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2호
    • /
    • pp.207-211
    • /
    • 2002
  • 항균 활성도는 Root canal sealer가 갖추어야 할 필수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최근 임상술식에 사용되고 있는 8종의 root canal sealer의 근관내 혐기성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혼합직후의 경화되지 않은 sealer와 경화 7일 후 sealer의 항균효과도 비교하였다. 항균효과 측정을 위해 사용된 균주는 최근 실패한 근관치료 증례에서 배양되어 보고된 바 있는 Enterococcus faecalis와 근관내 주요 감염균인 그램음성 혐기성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를 대상으로 하였고, Agar diffusion test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2개의 paper disk에 신선하게 혼합한 각각의 sealer를 도포하여 한개의 disk는 즉시 실험에 사용하고 다른 한개의 disk는 일주일간 혐기성 배양기에서 경화시킨 다음 사용한다 각각의 균주를 Brucellar blood agar plate에 접종한 다음, sealer가 도포된 paper disk를 plate상에 올려놓는다. 대조군으로는 식염수에 침윤시킨 disc를 같은 방법으로 각 실험단계에 사용한다. 각 plate를 혐기성 배양기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한 뒤 실험에 사용한 sealer의 항균효과를 6mm paper-disk를 둘러싼 inhibition zone을 측정하여 평가한다. Fisher's PLSD분석방법 결과 E. faecalis에 대하여 경화 전과 후의 AH26모두 경화 전과 후의 Roth 801, Dentalis, Apexit, AH Plus, RSA그리고 경화 후의 MCS보다 유의성 있게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경화 후의 AH26은 경화 전의 AH 26, 경화 전의 Ketac Endo, 경화 전의 MCS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항균작용을 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p<0.05). 경화 후 Roth 801, 경화전과 후의 Dentalis, AH plus, Apexit, RSA는 E. faecalis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S. aureus에 대하여 경화후의 AH26이 경화 전과 후의 Roth 801, Apexit, AH Plus, RSA보다 유의성있는 항균효과를 보이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고, 경화 전의 AH 26이 경화 후의 AH plus보다 나은 항균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 경화 전과 후의 Apexit, 경화 후의 AH Plus, 경화 전과 후의 RSA에서는 S. aureus에 대한 항균작용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 AH26이 가장 강한 항균 작용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각 sealer의 경화 전과 후의 항균효과는 AH26이 경화 전보다 경화 후에서 더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 이외에는 효과의 차이가 없었다.

황산염침식을 받은 실리카 퓸 혼합 시멘트 경화체의 성능 평가 (Evaluation on the Performance of Silica Fume Blended Cement Matrix Exposed to External Sulfate Attack)

  • 이승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21-128
    • /
    • 2007
  • 본 연구는 실리카 퓸을 사용한 시멘트 경화체의 황산염침식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리카 퓸을 시멘트 중량에 대하여 0, 5, 10 및 15%의 4단계로 대체한 모르타르 및 0 및 10%의 2단계로 대체한 페이스트를 제조하여 침지실험을 실시하였다. 황산나트륨용액에 510일 동안 모르타르 및 페이스트를 침지한 후 재령별 외관조사, 팽창, 압축강도 감소율 및 공극특성을 조사한 결과, 실리카 퓸 대체율에 관계없이 실리카 퓸을 대체한 시멘트 경화체는 황산염침식에 대하여 저항성이 매우 우수하였으나, 보통포틀랜드시멘트 모르타르 및 페이스트는 황산염침식에 의한 극심한 성능저하 현상이 관찰되었다.

100 MPa급 수축보상 초고강도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를 사용한 인장부재의 인장강성 및 균열특성 (Tension-Stiffening and Cracking Behavior of 100 MPa Shrinkage-Compensated Ultra High-Strength Strain-Hardening Cement Composite (UHS-SHCC) Ties)

  • 송영재;윤현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371-379
    • /
    • 2013
  • 이 논문에서는 100 MPa 수축보상된 초고강도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 및 보통 콘크리트를 사용한 인장부재의 단조 및 반복재하시 인장강성 및 균열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재하단계별 인장부재의 전체 변형률 및 표면균열 특성은 인장부재의 양측에 설치된 두 개의 변위계와 50배율 확대 가능한 계측기에 의해 측정되었다. 시멘트 복합체의 특성에 따른 인장부재의 인장 강성 및 균열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보통 콘크리트, 수축보상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 및 보통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 등 세 종류의 시멘트 복합체가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 초고강도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의 시멘트 중량의 10%를 팽창재로 대체 시 초기 수축량은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인장부재의 초기균열강도도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수축보상된 초고강도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를 사용한 인장부재는 재하 단계별로 균열이 부재길이 전면에 확산되고 균열폭이 감소되어 인장강성 특성을 개선하였다. 반복재하시 인장부재의 인장거동 특성은 단조재하시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