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험 공유

검색결과 708건 처리시간 0.027초

온라인 비디오 공유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소속 욕구, 자기성장주도성, 계획된 행동이론 모델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Behavior of Sharing Online Video : Focusing on Need to Belong, Personal Growth Initiative,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유수민;노기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213-223
    • /
    • 2019
  • 본 연구는 사용자들의 공유행위의도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계획된 행동이론 모델 변인(주관적 규범, 태도, 자기효능감)과 소속 욕구, 자기성장주도성의 관계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온라인 비디오 공유 경험이 있는 959명의 참가자들을 표본으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소속 욕구는 온라인 비디오 공유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성장주도성 역시 온라인 비디오 공유에 대한 태도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계획된 행동이론 모델의 3가지 변인 모두 온라인 비디오 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온라인 비디오 공유에 대한 태도는 주관적 규범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소속 욕구, 자기성장주도성과 함께 계획된 행동이론 모델의 구성 변인을 통해 사용자의 온라인 비디오 공유 의도에 대한 설명력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디지털 경험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플로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igital Experience Factors on Purchase Intention and Loyalty in Online Shopping Mall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Flow -)

  • 정상희
    • 벤처혁신연구
    • /
    • 제3권2호
    • /
    • pp.147-175
    • /
    • 2020
  • 4 차 산업 혁명과 Covid 19 바이러스는 패션 산업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시키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경험 요인이 구매의도 및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디지털 경험 가치가 강한 온라인 쇼핑몰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모형은 기존의 마케팅 믹스의 확장된 디지털 마케팅 믹스를 기반으로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독립 변수, 매개 변수에 온라인 쇼핑몰 산업의 맥락에 맞게 변수를 추가해서 모형을 도출 하였다. 독립 변수는 디지털 마케팅 믹스의 다양성 추구(Product variety), 가격 효율성(Price efficiency), 편의성 추구(Convenience), 소통과 공유(Conversation)를 사용하였다. 온라인 쇼핑몰에 있어서 개인화(Personalization)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이를 추가하였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에서 중요한 요소인 매개 변수로 플로우(Flow)를 추가하였다. 종속 변수는 구매 의도(Purchase intention)뿐만 아니라 구매(Purchase)를 변수로 활용하였다. 설정된 연구 모형의 실증적인 검정과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서 디지털이 경험 속성이 중요한 온라인 쇼핑몰(Online Shopping Mall)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쇼핑몰 기존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취된 350부 중 총 307부의 유효한 응답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통계 분석은 SPSS 24, Process 3.4 등의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 가설을 검정하였다. 인과 관계 검정에서 다양성 추구, 편의성 추구, 소통과 공유 모두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가격 효율성, 개인화의 경우 통계적인 유효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특히 다양성 추구 및 소통과 공유 변인이 구매 의도에 가장 큰 영향에 미치는 요인으로 검정되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플로우가 다양성 추구(Product variety)는 구매 의도(Purchase intention) 간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개인화(Personalization)는 구매 의도(Purchase intention) 간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화 경우는 즐거움과 몰입이라고 하는 플로우 경험이 있을 경우만 구매 의도에 유의한 여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즉 플로우 경험 상태에서는 기업이 제공하는 개인화에 대하여 개인정보 보호 등의 부정적인 반응을 하지 않고 구매 의도에 긍정적으로 느끼고 있음이 검정되었다. 이것은 온라인 특성상 오프라인과 상이하게 영업사원, 점원 등의 인적인 도움 없이 소비자 스스로가 전반적인 구매여정을 수행해야하기 때문에 플로우 경험이 매개변수로 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이를 토대로 학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최적의 협업 환경을 제공하는 LG건설의 eWorks21 시스템

  • 박종국
    • 건설관리
    • /
    • 제4권3호
    • /
    • pp.19-24
    • /
    • 2003
  • 일반적으로 건설 프로젝트는 발주처로부터의 완벽한 주문생산이라는 특성과 서로 다양한 직종의 전문 작업자들 간의 협동이 필수적인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프로젝트 참여자의 긴밀한 의사소통과 자료 공유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들 참여자가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존재한다는 사실이 비효율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개발되어진 eWorks21은 그 특징상 공동 작업을 요구하는 건설 업무 환경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eWorks21은 프로젝트 참여자간의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Collaboration 기능, 의사 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Communication 기능, 각종 업무 협조 및 상호간의 의견 교환을 목적으로 하는 Coordination 기능, 프로젝트 별로 강한 특성을 지닌 현실에 적용하기 위하여 시스템의 광범위한 설정을 목적으로 하는 Customization 기능의 4가지 큰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LG건설은 현재 진행하고 있는 모든 프로젝트에 eWorks21시스템을 다수의 프로젝트 이해관계자들 간 활용하고 있으며, 많은 프로젝트에서 다양한 성과를 경험하고 있어 이러한 성공 사례를 공유하고자 한다.

모바일 기반 해양레저스포츠 정보 공유 및 쇼핑 플랫폼 개발 (A Development of Mobile based Information Sharing and Shopping Platform in Marine Leasure Sports)

  • 이석인;정연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99-100
    • /
    • 2016
  • 2020년 우리나라의 바다낚시 인구는 481만 여명으로 10년 전에 비해 46% 증가가 예상된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모바일 기반의 바다낚시 앱(App)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기존의 바다낚시 앱들은 정보 제공 커뮤니티 기능이 대부분이고 예약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낚시 용품 쇼핑 기능을 제공하는 앱들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경쟁 앱 분석, 낚시 경험자 대상 설문조사, 선주 대상 인터뷰 등을 통해 사용자 요구 맞춤형 앱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통해 이를 통해 바다낚시 정보 공유 확대 및 거래의 투명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공유 링크들을 가진 스위치를 위한 세션 할당 알고리즘 (A Session Allocation Algorithm for a Switch with Multiple Shared Links)

  • 안성용;이정아;심재홍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409-141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다중 공유 링크를 가진 스위치를 위한 세션 연결 설정 시 이를 어떤 링크에 할당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경험적 세션할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새로운 세션이 소속된 서비스 클래스의 각 링크에 할당된 세션들의 예측된 지연들 중 가장 작은 예측 지연을 가진 링크에게 그 세션을 할당한다. 다른 세션할당 알고리즘에 비해 제안 알고리즘은 부클래스들의 예측지연 특성을 직접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서비스 클래스들에게 사전에 예약된 대역폭을 제공하고, 동일한 서비스 클래스에 속한 세션들에게는 서로 다른 공유 링크를 통해 전송되어도 가능한 비슷한 지연을 제공한다는 것을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 PDF

인스타그램 사진 공유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과 충족 이론을 중심으로 (Predicting Photo-sharing Behavior on Instagram: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 김효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52-263
    • /
    • 2017
  •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을 기반으로 인스타그램 사진 공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을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 3개월 이내에 인스타그램에 사진을 공유한 경험이 있는 356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19.0과 AMOS 21.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 확인적 요인 분석, 구조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통이 인스타그램 사진 공유 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락 추구가 인스타그램 사진 공유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 표현이 인스타그램 사진 공유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서비스 이용자 신뢰가 인스타그램 사진 공유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전문점 직원의 팔로워십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지식공유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ollowership of Coffee Speciality Members on LMX, Knowledge Sharing, and Job Attitude)

  • 김리경;박봉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73-8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커피전문점에서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팔로워십 특성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지식공유,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317부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팔로워십 특성에서는 두 요인, 목표일치성, 능동적 참여로 도출하였으며 두 요인 모두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에 정(+)의 영향이 검증되었다. 또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지식공유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지식공유 역시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공유가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커피전문점의 직원들 간의 지식공유가 조직 내에서 중요한 변수임을 나타내고 있다. 시사점으로 본 연구에서의 팔로워십,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및 지식공유 등의 관계는 직원의 직무에 대한 만족을 가져올 수 있도록 유도하고 커피전문점 조직의 경험과 기술이 축적된 인력의 이탈을 막아 유능한 인적자원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소매점포의 고객경험관리를 통한 점포몰입 증대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ing Commitment toward Store through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in Retail Stores)

  • 신종국;오미옥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1호
    • /
    • pp.103-12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소매점포 내 고객경험을 개인적 차원에서 획득되는 쾌락적 경제적 경험과 타인과의 공유를 전제로 하는 사회적 차원의 상징적 관계적 경험으로 구성하고, 경험의 각 구성개념들과 경험의 결과로 형성되는 점포에 대한 태도 및 애착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점포태도에는 개인적 차원의 경험과 사회적 차원의 경험이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점포애착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경험의 구성개념들 중에서 사회적 차원의 상징적 관계적 경험이 개인적 차원의 쾌락적 경제적 경험보다 점포 애착에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점포몰입에 있어서도 점포태도보다 점포애착의 영향이 더 큰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탁월한 고객경험의 제공을 통해 고객애호도를 구축하고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고자 하는 소매업자라면 단순히 경제적 경험, 쾌락적 경험만이 아니라 고객에게 사회적 차원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기고 - 인쇄미디어의 새로운 도전 JGAS 2013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제12권11호
    • /
    • pp.88-89
    • /
    • 2013
  • 일본국제종합인쇄기자재전 JGAS 2013이 지난 10월 2일부터 5일까지 나흘 간 약 3만1000 여명의 관람객이 참가한 가운데 막을 내렸다. 국내에서도 한국후지제록스를 비롯한 다양한 프린팅 기업들이 일본 동경을 방문해 일본 및 전 세계 인쇄 시장의 트렌드를 공유하고 새로운 인쇄기기와 솔루션을 경험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 PDF

호주국립대학(ANU) 도서관 견학기

  • 김숙찬
    • 도서관문화
    • /
    • 제45권5호통권348호
    • /
    • pp.46-52
    • /
    • 2004
  • 2004년 1월 5일부터 30일까지 4주간 호주 캔버라에 위치한 호주국립대학(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내 ANUTECH에서 해외어학연수의 기회가 주어졌다. 연수장소가 대학내 위치하고 있어서 틈틈이 ANU 대학도서관(http://anulib.anu.edu.au/lib_home.html)을 견학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경험을 공유하고자 ANU 대학도서관에 대한 간단한 안내자료를 만들어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