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험 공유

Search Result 67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제 15회 세계 에이즈 회의 _스케치 -'ACCESS FOR ALL(모두에게 접근권을 보장하자)'

  • 유은주
    • RED RIBBON
    • /
    • s.60
    • /
    • pp.16-17
    • /
    • 2004
  • 세계 에이즈 회의는 UNAIDS, IAS(국제에이즈협회)가 주관하는 행사로서 개최 초기에는 에이즈라는 질병 자체에 대한 새로운 별견을 공유하는 데 주력했지만, 점차 에이즈 자체에 대한 지식이 축적됨에 따라 사회, 공공 보건, 공동체 기반 사회, 지역별, 국가별로 전개된 특수한 경험을 공유하고 함께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개되고 있다. 단일한 질병을 주제로 한 국제 행사로는 최대 규모라는 점에서 에이즈가 전 인류에게 미치고 있는 심각한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 PDF

Effects of an Experiences Sharing Self-management Program for Hypertension and Diabetes Patients in Primary Public Health Center (보건진료소 중심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경험공유 자가관리 프로그램 효과)

  • Im, Jeong Ja;Yun, So 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7
    • /
    • pp.331-341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n Experience Sharing Self-management Program (ESSP) on physiological indexes, knowledge, and self-management implementation among hypertension and diabetes patients in a primary public health center in G city.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n=30) participated in a 12-week ESSP, and the control group (n=25) received only general services of a primary public health center between May 1 and October 31 in 2018. Data were analyzed with x2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test, and Ranked ANCOVA using SPSS/WIN 22.0 program.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stolic blood pressure (F=14.56, p<.001), diastolic blood pressure (F=7.05, p=.012), knowledge (F=14.30, p=.001), self-management implementation (F=29.73, p<.001) of hypertension patients, knowledge (F=7.92, p=.010), and self-management implementation (F=4.54, p=.044) of diabetes patient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the ESSP was effective for reducing the blood pressure of hypertension patients and improving the knowledge and self-management implementation among hypertension and diabetes patients in a primary public health center.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and Future Job Recognition of Resource Provider in the Gig Economy (긱 경제 자원 공급자의 경험과 미래 일자리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 Park, Soo Kyung;Lee, Bong Gyou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9 no.1
    • /
    • pp.141-154
    • /
    • 2018
  • As the sharing economic market grows, the subject of sharing is expanding to intangible resources such as time, experience, and expertise. The phenomenon that an individual temporarily participates in the platform by utilizing own intangible resources is defined as a 'gig economy'. The gig economy has a positive expectation that can create new jobs, but also has negative warnings that it is only a temporary job based on low wages. The gig economy market is growing rapidly in Korea, however there are very few academic discussions.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s of resource providers in the Korean gig economic platform, and then explores future job changes based on the perception of resource providers. This study selected the subject of research as a talent sharing platform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6 resource provid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presented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were classified into six themes. This study implies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in exploring in depth the overall experience of resource suppliers and in suggesting proposals for desirable successful market growth.

A Design of Web based Sharing Screen Service Platform (웹 기반 공유 스크린 서비스 플랫폼 설계)

  • Kim, Geu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736-1738
    • /
    • 2012
  • 광대역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과 컴퓨팅 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 TV, 스마트 폰,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단말의 등장으로 사용자가 여러 단말을 가지게 되었으며, 상황에 따라 가장 적합한 단말을 사용하거나 보유한 여러 단말을 함께 사용하여 새로운 멀티미디어 사용 경험을 하게 되었다. 또한 W3C은 웹 환경에서 다양한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기반이 되는 HTML5 표준과 개방형 웹 플랫폼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단말에서 지원하고 있는 웹 기반 플랫폼을 기반으로 웹 콘텐츠와 웹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스크린 서비스 플랫폼의 기능을 도출하고 플랫폼을 설계한다.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learning through knowledge sharing live streaming - Based on live streaming platform in China (지식 공유 라방 학습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 중국 라이브 방송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

  • Liu, Yi;Pan, Young-Hw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2
    • /
    • pp.197-211
    • /
    • 2021
  • The emergence of knowledge-sharing live streamers provides more diversified content to the live streaming platform.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knowledge sharing live streaming users can allow the live streaming platform to understand better the adoption characteristics of users who follow this type of content. Help platform operators provide better services and help live streaming platforms innovate. Based on the TAM model, this research uses questionnaire survey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to construct a conceptual model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users' intentions in the knowledge sharing live streaming and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influencing factor model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 that a significant influence of users' attitudes of knowledge sharing live streaming is perceived usefulness, followed by flow experience; perceived value has a positive impact on users' attitudes and intention to use, and the positive influence of users attitude significantly affect the user's intention.

A Study on the Role of Library for Realizing Sharing Value in a Sharing Economy Era (공유경제시대에서 도서관의 공유가치 실현을 위한 역할 도출에 관한 연구)

  • Noh, Younghee;Jeong, Dae-Keun;Ro, Ji-Yoo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9 no.3
    • /
    • pp.133-168
    • /
    • 2018
  • The study aims to present function and role of the library in the age of sharing economy. For this purpose,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 and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and benefits of the sharing economy, the potential and value of a sharing economy were analyzed and the role of libraries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value of a sharing economy. In this study, the values created from the sharing economy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Economic value, Social value, Community value, Technical value, and Environmental value, showing that the potential value of a sharing economy is similar to the role, function and value of a library. Based on this, it presented a function and role to realize the sharing value of a library in the era of a sharing economy.

Provision of the Social Radar Management System for the Social Media Service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소셜 레이더 관리 시스템)

  • Lee, Hoon-Ki;Paik, Eui-Hyun;Kim, Hyeo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510-1512
    • /
    • 2011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모바일 단말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즉시적으로 문제(Needs) 해결에 필요한 사용자들간의 경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기존의 커뮤니티들은 특정 의도로 형성된 공동체로써 사용자의 위치 및 사회적 관계 보다는 단순히 카폐 개념의 공동체를 형성한다.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 사용자의 장소/사회적 관계를 고려하여 즉시적으로 필요한 커뮤니티를 추천 검색하거나 신규 커뮤니티를 생성하여 사용자들의 참여를 통한 정보 공유 및 사용자 위치에서 발생되는 여러 이벤트를 수집할 수 있는 소셜 레이더 기능이 필요하다. 또한 형성된 공동체를 통하여 서비스 실행에 필요한 실행환경을 공유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공간 내에서 서로 공유될 수 있는 정보를 추적/검색/추천/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 위치 기반 소셜 레이더 관리 시스템에 관한 구성 방법을 제공한다.

UCC Sharing Motives and their effects of UCC Sharing Intention

  • Park, Do-Hyeong;Lee, Seong-Uk;Han, In-Gu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03-108
    • /
    • 2007
  • 인터넷 사용자들의 증가와 여러 기기들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 사용자들은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을 스스로 발전시킬 수 있었고, 이러한 흐름이 최근 UCC의 폭발적인 증가로 이어졌다. 하지만 최근까지 사용자들이 왜 자신이 스스로 노력을 들여서 UCC를 공유하는 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은 부재한 상황이다. UCC공유동기는 기존에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던 가상커뮤니티나 온라인구전활동의 참여동기를 상당부분 가지고 있으나 이들로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참여동기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UCC 공유 동기를 파악하기 위해 UCC 공유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고, 요인분석을 통해 UCC공유동기가 '자가 창조의 즐거움', '커뮤니티에 대한 책임감', '자아표현 욕구', '타인과의 교제', '보상'의 동기로 요인화될 수 있음을 밝혀냈다. 그리고 이들 동기가 UCC 공유 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 UCC공유의도를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앞에서 요인화 된 5가지 UCC동기가 각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UCC를 공유하는 사용자들을 좀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UCC를 비즈니스모델로 하는 온라인기업들에게 UCC참여 및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SNS Tourism Information Service Quality and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SNS 관광정보 서비스품질과 정보공유의도 간 영향관계)

  • Kwak, Dae-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1 no.2
    • /
    • pp.229-236
    • /
    • 201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suggest useful directions for promotion of SNS tourism information service to the service providers through investigating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SNS tourism information service quality and the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To achieve the objectives, as a conceptual framework of the study, the literature on SNS tourism information service quality and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were reviewed, and the empirical studies on the perception of the service users about the services was conducted.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easy acquisition' and 'interactivity' factors of SNS tourism information service quality have an effect on the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Accordingly, the service providers are required to enhance the service quality related to the information acquisition and interaction between us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