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침습 수술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8초

췌장 양성 종양의 내시경적 치료 (Endoscopic Therapy for Pancreatic Benign Neoplasms)

  • 황준성;고성우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25-32
    • /
    • 2021
  • 내시경초음파가 1980년대에 개발된 이후, 내시경초음파는 췌장 종양 관리에 있어서 진단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치료적인 역할로 그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 췌장 양성 종양에 대한 전통적인 치료방법은 수술적 절제를 시행하거나 주기적인 경과관찰을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내시경초음파는 그 대안으로 췌장 양성 종양을 가진 환자에게 최소 침습적인 치료법을 제공한다. 본고에서는 췌장 양성 종양치료에 있어서 내시경초음파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재발된 전종격동 부신경절종 치험 1례 (A Case of Recurred Paraganglioma of the Anterior Mediastinum A Case of Recurred Paraganglioma of the Anterior Mediastinum - A Case Report -)

  • 김주현;김두상;성숙환;김영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198-202
    • /
    • 1998
  • 악성 간엽종은 유아와 태생기에서 매우 드문 종양이다. 악성간엽종은 성인에서 극히 드물고 섬유조직이외의 둘 또는 그 이상의 간엽성분으로 구성된 종양으로 결체조직의 어떤 형태로도 분화할 가능성이 있는 태생기 간엽에서 기원한다고 생각된다. 환자는 61세 남자로 2개월 전 가래를 동반한 기침을 주소로 검사를 받던 중 우폐상부에 매우 큰 종괴를 보이는 암종으로 입원하였다. 환자는 우폐상부 미세침윤조직검사상 편평상피세포암 의심하에 우전폐절제술을 받았다. 수술장 소견상 종괴는 흉벽과 심하게 유착되었으며 우폐하부까지 침습된 소견을 보이는 악성간엽종으로 진단되었다. 환자는 수술후 5,000rad의 방사선 조사를 받고 수술후 6개월째인 현재까지 재발징후없이 경과 관찰중이다.

  • PDF

악성 기관-기관지 종양에 대한 냉동 수술법 (Cryosurgery for Malignant Endobronchial Tumor)

  • 조종호;김광택;이성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8
    • /
    • 2012
  • 냉동 치료의 장점은 비침습적이며 통증이 없고 재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술 고위험군, 재발환자 등에서 국소암 치료로서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외부영상과 굴곡내시경을 통하여 위치를 파악하고 내시경으로 표적부위만을 냉동하기 때문에 주변조직의 손상이 거의 없으며 심폐 기능에 큰 위험을 주지 않는다. 처음 치료 후에도 치료를 한 부위나 다른 부위에도 여러 번의 추가적 치료가 가능하므로 치료로 불완전한 부분을 추가적으로 치료를 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냉동 수술의 특성을 잘 이용하여 적절한 환자에게 적용한다면, 기관-기관지의 폐색을 일으키는 악성 종양 환자들에게 좋은 치료방법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 PDF

관상동맥우회술 후 CT 조영술을 이용한 이식편의 조기 열림의 판정 (Determination of Early Graft Patency Using CT Angiograph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이미경;류대웅;최순호;최종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7호
    • /
    • pp.570-577
    • /
    • 2004
  • 관상동맥우회술 후 이식편의 조기 열림을 판정하기 위한 CT 조영술은 비침습적이고 간단하며 안전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관상동백 우회술 환자들에서 수술 후 퇴원 전에 CT 조영술을 시행하여 이식편의 조기 열림의 판정에 대한 여부와 영상에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은 50예에서 수술 후 퇴원 전에 4개의 검출기를 가진 CT기로 조영술을 시행하고 내흉동맥 이식편(50편), 요골동맥편(18편), 대퇴정맥편(56편)의 조영상해로 이식편의 열림을 조사하고 이식편의 조영상태와 문합혈관의 직경, 부행혈류 및 협착정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좌관상동맥계에 문합되는 정맥편(24편, 32문합부)은 모두 잘 조영되었으나, 우관상동백계에 문합된 정맥편(30편, 35문합부) 중 3편 (4.7%)은 CT 조영술에서 조영되지 않았고 대퇴동맥을 통한 침습적인 관상동맥 조영술에서도 폐쇄된 소견을 보였다. 내흉동맥편 중 39편(78%)은 CT 조영술에서 잘 조영되었고 8편(16%)은 일부 좁아지거나 끊기는 불완전한 조영을 보였으며 3편(6%)은 조영되지 않았으나 동맥을 통한 침습적인 관상동맥 조영술에서는 모두 정상적인 열림 소견을 보였다. 결론: 관상동맥조영술 후 CT 조영술에서 조영되지 않는 정맥편은 페쇄를 의미하나, CT조영술에서 조영되지 않는 동맥편은 폐쇄가 아닌 관상동맥과 이식편 사이의 상경혈류 때문에 일어날 수 있으므로 조영이 안 되는 동맥편의 열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침습적인 관상동맥조영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삼차신경통의 정위적 방사선수술: 증례보고 (Linear Accelerator Radiosurgery for Trigeminal Neuralgia: Case Report)

  • 윤형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44-148
    • /
    • 2006
  • 삼차신경통은 삼차신경의 안면피부 분포를 따라서 일시에 생기는 전기적 쇼크와도 같은 강한 통증이다. 약물치료로서 통증을 제어할 수 없게 되면 여러 가지 시술로 통증제어를 시도하게 된다. 정위적 방사선수술은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부작용이 거의 없이 유의한 통증완화를 이루어 내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그동안 삼차신경통의 방사선수술에 감마나이프가 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 선형가속기도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저자는 삼차신경통 환자 1명에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방사선수술을 시행하였다. 뇌간으로부터 나온 삼차신경 기시부에 5 mm collimator를 이용하여 85 Gy를 조사하였다. 환자는 치료 후 20일 경부터 통증이 거의 소실되었으며 6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약물복용 없이도 통증이 없는 상태이다. 환자는 안면 무감각증 등 부작용이 없었다.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적 방사선수술로 삼차신경통을 치유한 예는 아직 국내에서 보고된 적이 없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식도암 환자에서 da Vinci 로봇을 이용한 식도암 수술 (흉골하 통로를 통한 식도-위 문합술) - 1예 보고 - (da Vinci Robot-Assisted Esophagectomy for Esophageal Cancer: A Case of Esophago-gastrostomy through the Retrosternal Route - A case report -)

  • 정상석;최필조;우종수;김시호;방정희;박권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3호
    • /
    • pp.396-400
    • /
    • 2009
  • 다빈치 로봇수술은 현재 다양한 외과영역에서 시행되고 있으나 폐, 식도 외과영역에서는 아직까지 널리 이용되지 않고 있다. 본원에서는 74세 남자환자가 딸꾹질과 연하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검사에서 식도암으로 진단되어 da Vinci 로봇을 이용하여 식도절제술을 시행한 후, 복강경으로 위장튜브를 만들어 흉골하 통로를 통해 경부에서 위장-식도 단단 문합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특별한 합병증 없이 완쾌 퇴원하였다. 향후 다빈치로봇을 이용한 최소 침습수술이 식도암을 비롯한 폐, 식도외과 영역에의 활용에 있어서 좋은 결과가 기대되므로 보고하는 바이다.

근육형 심실중격결손에 대한 하이브리드 수술법 -2예 보고- (Hybrid Procedure for Muscular Ventricular Septal Defects -2 case reports-)

  • 최선우;양지혁;전태국;박표원;민선경;강이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6호
    • /
    • pp.747-750
    • /
    • 2008
  • 근육형 심실중격결손의 표준적 치료로 알려져 있는 수술적 폐쇄는 시야확보가 어려울 경우 여러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으며 심실절개를 요하는 경우도 있다. 다른 접근법으로는 카테터 기구를 기반으로 하는 중재술이 있지만 이 또한 제한점이 있다. 수술적 치료와 중재술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수술은 이러한 경우에 있어 침습성을 줄일 수 있다. 저자들은 근육형 심실중격결손에 대한 하이브리드 수술을 2예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비글견에서 복강경을 이용한 위관삽입술의 유용성 평가 연구 (Feasibility Study of Laparoscopic Gastrostomy Tube Placement in Beagle Dogs)

  • 이재웅;박지영;이해범;정성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8-35
    • /
    • 2015
  • 본 연구는 개에서 복강경 위관삽입술(LG)을 시행, 수술시간, 합병증, 유착부를 평가하여 수의분야에서 LG의 유용성을 내시경 유도하 경피 위관삽입술(PEG)에 준하여 확인하였다. 정상 비글견 8마리를 두 군으로 나누어 Tri-Funnel Replacement Gastrostomy tube (Bard Inc., USA, 20 Fr.)와 PEG kit (Ponsky "Pull" PEG Kit$^{(R)}$, Bard Inc., USA, 20 Fr.)를 이용하여 LG 및 PEG를 실시하였다. 위관을 통한 영양 공급은 유지 열량 요구량(MER)을 1일 3회로 나누어 2주간 진행하고 LG와 PEG의 수술 중, 수술 후, 사후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모든 개체에서 위관삽입은 성공적이었고, PEG 군에서의 평균 수술 시간이 LG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짧았다(p < 0.05). 위-복막간 유착은 군간 모든 개체에서 양호하게 형성되었으나 평균 유착 길이(AL)와 너비(AW)의 수치가 LG군에서 PEG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평균 유착 거리(AD)는 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182). 본 연구를 통해 개에서 LG는 최소 침습적이면서 쉽고 안전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장관 영양 공급을 실시할 수 있는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디지털 임플란트 플래닝을 통한 최소침습 보철수복 증례 (Prosthetic rehabilitation with digital implant planning for a minimally invasive surgery approach)

  • 정아름;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283-292
    • /
    • 2022
  •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 치료를 위해서는 보철 치료에 적합한 위치에 임플란트가 식립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guided implant surgery와 CAD-CAM을 활용한 보철물 제작이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수술 시에는 surgical guide를 이용해 flapless 방식으로 최소침습 보철수복이 가능 하다. 본 증례의 환자는 86세 남성 환자로 기존 의치 사용 시 불편함으로 치료를 원하였다. 환자는 전신질환으로 인해 가철성 국소의치 사용이 어려워 상악은 총의치, 하악의 경우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수복하였다. 전신질환으로 인해 높은 출혈 위험성을 가지므로 surgical guide를 사용해 flapless 방식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최종적으로 상악 총의치 및 하악 나사 유지형 지르코니아를 보철물을 제작하였으며, 만족스러운 기능 및 심미 회복을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Budd-Chiari Syndrome 하공정맥 폐색의 Gore Tex Patch로의 성공적인 재확장술 (The Successfully Redoaugmentation of Budd-Chiari Syndrome with Using Gore-Tex Patch of the IVC Obstruction)

  • 지행옥;이재훈;전순호;정태열;신성호;전양빈;손상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호
    • /
    • pp.75-79
    • /
    • 1999
  • Budd-Chiari syndrome은 하공정맥에서 우심방으로의 혈류장애로 인한 간부전증이다. 본 증례의 남자 45세 환자는 1987년 선천적인 막의 하공정맥 폐쇄로 인한 하공정맥 폐색막 제거와 확장술을 자가심낭으로 이용하여 수술을 받았다. 술후 10년이 경과한 후 하공정맥이 재협착되어 비침습적인 방법인 Gianturco stent 확장술을 받았으나 치료적인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재수술은 Gore-Tex 인조 혈관의 일부를 오각형으로 재단하여 하공정맥의 협착 부위를 절개한후 부착 봉합후 손가락 두행지가 통과할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수술후 출혈이나 합병증없이 양호한 경과를 보였으며 항응고제 사용없이 수술 2주 경과후 퇴원 하였다. Gore-Tex 인조혈관을 일부 제단한 patch를 수술에 사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Budd-Chiari syndrome의 재수술의 경우로 인공심폐기하에도 수술시야에 심한 출혈이 발생 하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지혈 수기가 요구된다고 할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