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추

검색결과 561건 처리시간 0.028초

요추 지지대에 의한 노인의 요추만곡 조절이 머리와 목 자세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Lumbar Spine Adjustment using the Lumbar Roll Support on Head and Neck Posture in Older Adults)

  • 고승현;김유신;윤범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800-806
    • /
    • 2011
  • 본 연구는 요추 지지대가 노인의 머리와 목 자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0명의 신체 건강한 노인(평균 나이 71.32세)을 대상으로 측정하였으며, 앉은 자세에서 모니터를 시청하는 동안 요추만곡을 요추 지지대 사용 유무에 따라 조절하였다. 측정은 측면에서 사진을 촬영하였다. NIH ImageJ 1.3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부경추 굴곡 각도와 하부경추 굴곡 각도를 측정하였고 분석은 대응 t 검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상부경추 굴곡 각도와 하부경추 굴곡 각도는 요추 지지대 적용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상부경추 평균 굴곡 각도는 요추 지지대 적용할 때가 적용하지 않을 때보다 약 $2.83^{\circ}$ 증가하였다(p<0.005). 하부경추 평균 굴곡 각도 역시 요추 지지대를 적용할 때 약 $4.44^{\circ}$ 증가되었다(p<0.0001). 이는 요추 지지대를 적용하였을 때 상부경추와 하부경추 굴곡을 증가시킴으로 머리와 목 자세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노인의 머리와 목 자세 개선시 요추만곡 조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CBCT를 이용한 소아청소년의 정중구개봉합 성숙도 평가 (Evaluation of Midpalatal Suture Maturation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이연주;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9-146
    • /
    • 2019
  • 본 연구는 7세부터 15세사이의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촬영하여 획득한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CBCT) 영상을 이용하여 정중구개봉합의 성숙도를 평가하고 골 성숙도 및 연령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Rapid maxillary expansion(RME) 적용 시 적절한 치료계획 수립의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남아 240명, 여아 240명, 총 480명의 CBCT 수평면 영상에서 정중구개봉합의 성숙도를 5단계로 평가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경추골 성숙도 측정법에 의해 평가된 골 성숙도 및 연령에 따라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정중구개봉합 성숙도와 골 성숙도는 0.602의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정중구개봉합 성숙도 A - C단계의 예측을 위한 경추골 성숙도 1 - 3단계의 양성 검정우도비는 44.79로서 예측을 위한 타당한 지표임을 나타내었다. 정중구개봉합 성숙도와 연령의 상관관계는 남아에서 0.499, 여아에서 0.560으로 나타나 경추골 성숙도 보다는 낮으나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경추골 성숙도 측정법은 정중구개봉합의 성숙도 예측을 위한 신뢰할 만한 지표라고 할 수 있으며, 연령은 경추골 성숙도 측정이 어려운 경우에 한하여 임상에서 간편하고 직관적인 지표로 쓰일 수 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RME 사용 시 골격성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는 것으로 기대 할 수 있는 시기는 경추골 성숙도 1 - 3단계, 남녀 모두 연령 12세 이하이며 경추골 성숙도 4단계 혹은 여아 연령 13세 및 남아 연령 15세까지는 conventional RME의 사용은 가능하나 골격성 효과는 감소하고 치성 효과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추골 성숙도 5, 6단계 혹은 여아 연령 14세 이상에서는 RME 필요 시 사용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 정중구개봉합 성숙 단계 평가 시 CBCT 촬영이 고려되어야 한다.

스키와 스노우 보드에서 헬멧의 착용이 경추부 손상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wearing helmet and cervical spine injury in skiers and snowboarders)

  • 김성훈;김태균;전근철;황재선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4-99
    • /
    • 2011
  • 목적: 겨울철 스포츠로서 스키와 스노우 보드를 즐기는 인구가 점차 증가하여 대중화 되고 있다. 안전 장비에 대한 인식도 발전하여 스키나 스노우 보드에서 헬멧의 착용도 늘었고, 이 영향으로 두부나 안면부 손상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헬멧의 착용이 경추부 손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경추부손상의 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보호장비의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2월부터 2010년 3월까지, 2010년 12월부터 2011년 3월까지 2시즌 동안 국내 대형 리조트에서 스키 및 스노우 보드 손상으로 의무 시설에 내원한 환자 14,538명 중 경추부 손상으로 내원한 65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 432명, 여자 226명이 내원하였고, 상급자 273명 초급자 385명 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헬멧을 착용 한 군과 착용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경추 손상 비율, 수상 기전, 손상의 정도 및 진단된 질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각각의 군은 SPSS 12.0(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여 통계학적으로 처리 하였다. 결과: 스키 손상으로 인한 환자는 312명, 스노우 보드 손상은 346명 이었으며, 헬멧을 착용한 수상자는 스키 143명, 스노우 보드 140명 이었다. 각 질환 별 분류는 단순 염좌 292명, 타박상 359명, 경추부 골절 6명, 탈구 1명이며, 수상 원인 별 분류에서 대인 충돌 287명, 대물 충돌 212명, 혼자서 넘어진 경우 108명, 낙상 39명, 기타 12명으로 나타났다. 헬멧을 쓴 경우 스키 78명/스노우 보드 70명에서 단순 염좌 였고, 스키 64명/스노우 보드 68명에서 타박상으로 나타났으며, 스키 1명/ 스노우 보드 2명에서 경추부의 골절이나 탈구가 발생하였다. 헬멧을 쓴 경우 헬멧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경추부 염좌의 빈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헬멧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 헬멧을 착용한 경우에 비하여 좌상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러나 골절, 탈구에서는 헬멧을 쓴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였을 때 수상빈도의 유의한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결론: 본 연구에서 헬멧이 스키와 스노우 보드에서 공히 추가적인 경추 손상의 발생과 심각도를 증가시키지 않았고, 대인 손상시에 헬멧의 사용은 경추부 염좌의 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좌상의 빈도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추가적인 생체 역학적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만성 경추 동통 환자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후관절 차단술의 진단 및 치료적 유용성 (Diagnostic and Therapeutic Utility of Ultrasonography-guided Facet Joint Block in Chronic Cervical Spinal Pain)

  • 김태균;심대무;오성균;최병산;한상수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4-58
    • /
    • 2010
  • 목적: 만성적으로 경추 동통을 호소하는 환자의 통증의 근원은 대부분 후관절인데, 증상을 일으키는 관절의 정확한 위치 확인의 어려움과 합병증 및 위약효과의 가능성으로 인해 임상에서의 적용에 의구심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경추 동통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후관절 동통의 유병율을 평가하고 진단 및 치료적 목적의 초음파를 이용한 후관절 차단술의 유용성에 대해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 만성적이면서 비특이적인 경추 동통을 6개월 이상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통을 동반한 추간판 탈출 관련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그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며, 물리 치료나 척추 교정 요법, 약물 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 요법에 실패한 환자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추 동통에 대한 진단적 후관절 차단술은 1% 리도카인(lidocaine)을 사용하여 시행하였으며, 리도카인에 양성 반응을 보인 환자에 대해서는 2주 뒤 0.25% 부피바카인(bupivacaine)을 사용하였으며, 후관절 차단술 시행 이후 경추 운동시 75% 이상의 통증 감소를 보일 경우를 양성 반응으로 고려하였다. 결과: 만성 경추 동통을 호소하는 환자 160명 가운데 리도카인을 이용한 후관절 차단술에 96명, 60%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리도카인에 음성반응을 보인 환자 64명 가운데 부피바카인에 48명, 75% 양성반응을 보였다. 리도카인에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부피바카인에 음성반응을 보인 가양성 환자는 48명, 50%에 해당하였다. 총 160명의 환자들의 시술 전 VAS는 평균 8.5이었으며, 2주 추시시 2.7 (p=0.001), 4주 추시시 3.6 (p=0.001)로 감소하였다. 초기 시술로 증상의 호전이 만족스럽지 않았던 8명과 경과 관찰 도중에 악화되었던 3명은 4주째 후관절 차단술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통증의 완화를 보였다. 결론: 만성 경추 동통을 호소하는 환자에 대해 초음파를 이용한 단일 차단술은 가양성 반응이 높아 진단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후관절에 시행한 두 번의 차단술은 만성 경추 동통 환자의 중재적 통증 조절에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경추 초음파 영상에서 흉쇄유돌근 추출 (Extraction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for Ultrasound Images of Cervical Vertebrae)

  • 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2321-2326
    • /
    • 2011
  • 경추는 머리와 몸통을 이어주는 중요한 요충지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기관이며 매우 복잡한 구조로 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추 초음파 영상에서 경추 부분에 존재하는 흉쇄유돌근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경추 초음파 영상에서 촬영 정보나 눈금자 등의 필요 없는 부분을 제외한 ROI(Region of Interest)영상을 추출하고 Ends-In Search Stretching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명암 대비를 강조한다. Stretching된 영상에 20 이상의 명암도를 가지는 픽셀을 대상으로 평균 이진화를 적용한 후, 잡음을 제거한다. 잡음이 제거된 영상에 흉쇄유돌근을 둘러싸고 있는 근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근막을 추출한 후, 근막의 객체 수에 따라서 각기 다른 방법을 적용하여 근육을 추출한다. 근막 객체가 하나인 경우에는 위에서 아래로 탐색하여 1차 근육 영역을 추출하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탐색하여 2차 근육 영역을 추출한 후, 1차와 2차 근육 영상을 하나로 합쳐 최종 근육 영역을 추출한다. 근막 객체가 두 개인 경우에는 근막 객체의 상단과 하단까지의 영역을 모두 추출한 후, 근막 객체 영역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근육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근육 영역 중에서 두께가 가장 두꺼운 부분을 근육의 두께로 측정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을 경추 초음파 영상 30장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물리치료사가 분석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흉쇄유돌근을 정확히 추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경추 골절의 원인과 형태에 따른 위치와 빈도의 비교 (The Cervical Spinal Fractures: Comparison of the Sites and Incidences According to the Causes and the Types of the Injuries)

  • 조재호;조길호;변우목;김선용;박복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14-126
    • /
    • 1993
  • 최근 6년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병원에서 경추골절로 진단받은 1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및 수술소견과 방사선학적 소견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장 흔히 침범되는 곳은 하부 경추중 $C_5$$C_6$, 상부경추중 $C_2$였다. 2. 가장 흔히 침범되는 부위는 몸체, 추궁판, 치상돌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3. 경추골절을 일으키는 손상의 기전으로는 과굴곡 손상에 의한 경우가 53%로 가장 많았고 부위별로는 과굴곡 손상때는 몸체, 골극돌기, 부횡돌기의 골절이 많았고 과신전 손상때는 상대적으로 추궁근의 골절이 많았다. 4. 과신전(1.68 fractures/patients)때보다는 과굴곡(2.26 fractures/patients) 때 좀더 심한 손상을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추궁판만의 단독골절은 드물었고 대부분이 다른 부위의 골절과 동반되어 나타났으며 이중 70%는 과굴곡 손상때 나타났다. 6. 몸체골절은 50% 이상에서 다른 부위의 골절을 동반하고 있었는데 이들 다른 부위의 골절 중에서는 추궁판골절이 가장 많았다. 7. 두개 이상의 여러 경추를 동시에 침범한 경우의 40%가 인접하지 않은 다른 부위의 골절을 보여 어떤 한 부위의 골절이 발견되었다 하더라도 반드시 전 경추에 대한 세심한 관찰로 또 다른 골절의 유무를 살펴야겠다. 8. 골전과 동반된 전위는 대부분 과굴곡 손상에서 나타났으며 약 70%가 전방전위를 보였으며 $C_{5-6}$$C_{6-7}$ 사이에 가장 많았다.

  • PDF

스마트 폰 사용에 따른 경추부 근육의 생체역학성 (Bio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ervical Muscles Depending on Using of a Smartphone)

  • 김용우;김맹규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3호
    • /
    • pp.543-551
    • /
    • 2016
  • 본 연구는 스마트 폰을 사용(≥ 60분/일)하는 건강한 20대 남성 50명을 대상으로 두부의 움직임에 직접 관여하는 경추부 근육(두판상근, 흉쇄유돌근, 상부승모근)에 연부조직 측정기 Myoton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 사용정도와 경추부 근육의 기계적 속성의 관련성을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스마트 폰 사용정도는 전용의 중독 척도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경추부 근육의 기계적 속성은 Myoton을 이용하여 근 긴장도(frequency), 동강성(stiffness), 점탄성(decrement), 근변형률(creep) 및 회복시간(relaxation)의 반영지표를 각각 산출하였다. 스마트 폰 사용에 의한 중독 점수와 경추부 근육의 기계적 속성을 반영하는 각 지표와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계적 속성을 반영한 모든 parameters의 변동계수는 각각 2% 미만이었으며, 측정자 신뢰도인 급내상관계수 역시 높은 신뢰성이 도출되었다(ICC>.9, p<.01). 스마트 폰 중독점수는 상부승모근의 근 긴장도(r=.353, p<.05)와 동강성(r=.346, p<.05), 흉쇄유돌근의 점탄성(r=-.284, p<.05)과 근 변형률(r=.288, p<.05)과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고, 특히 두부 통증과 관련된 두판상근의 근 긴장도(r=-.368, p<.01), 점탄성(r=-.405, p<.01), 동강성(r=-.424, p<.01)과의 높은 상관계수로 스마트 폰 과사용과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젊은 남성들에 있어서 스마트 폰 과사용은 경추부 근 손상과 통증 및 두통에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며, Myoton은 경추부 근육 성질을 예측 및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기기임을 알 수 있었다.

만성요통 여성 환자들에서 발생되는 자세의 변화 (Postural Aberrations in Femal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 오덕원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7
    • /
    • 2000
  • 이 연구의 목적은 만성요통 여성 환자들에서 나타나는 자세 이상을 평가하고 방사선적 변수들과 임상적인 변수들과의 상관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만성요통 여성 환자 38명과 대조군 32명이었다. 변수의 측정은 모든 대상자들이 이완된 자세로 기립한 상태에서 방사선 검사를 실시한 후 경추전만각, 흉추후만각, 요추전만각, 그리고 요추경사각을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의 연령과 통증기간은 의무기록지를 참고하였다. 자료분석은 요통군과 대조군의 방사선적 변수들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된 t-검정을 시행하였고, 방사선적 변수들과 임상적 변수들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만성요통 환자군과 대조군사이의 경추전만각(p<.05), 요추전만각(p<.001), 그리고 천추경사각(p<.01)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였다. 통증기간은 요추전만각과 통계적학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5), 경추전만각은 흉추후만각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또한 흉추후만각, 요추전만각, 그리고 천추경사각은 각각 상호간에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만성요통은 요추만곡의 변화를 초래하여 흉추부 및 경추부의 자세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요통으로 인하여 올 수 있는 신체 전반적인 자세이상을 미리 예측하고 이를 교정하여야만 장기적으로 올 수 있는 합병증들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경추체 전방에 발생한 골연골종으로 인한 연하곤란: 증례 보고 (Dysphagia Caused by Osteochondroma of the Cervical Vertebral Body: A Case Report)

  • 민학진;김진수;김종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2-36
    • /
    • 2012
  • 56세 여자 환자로 약 8주 전부터 시작된 연하곤란과 2주 전부터 발생한 발성 장애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방사선 및 연하 검사상 제 4-5 경추체 전방에 위치한 종괴로 인한 식도 및 후인두 후벽의 압박 소견이 관찰되었다. 수술적 치료로 종괴의 완전 절제를 시행하였고 술 후 임상 증상에서 완전히 회복되었다. 본 증례는 골연골종이 비교적 발생이 드문 경추체 전방에 발생하여 연하 곤란 및 발성 장애를 유발한 예로 저자들은 문헌고찰과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융복합적 기술이 적용된 성문위기구들의 삽관용이성 비교 (Comparison of Three Supraglottic Airway Devices in Neutral and Cervical Neck Collar Position)

  • 탁양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369-375
    • /
    • 2016
  • 본 연구는 환자의 경추보호대 착용 여부에 따른 후두마스크기도기(LMA)와 I-gel, Streamlined Liner of the Pharynx Airway(SLIPA) 등 3가지 성문위기구의 삽관 용이성을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응급의료현장에서 활동 중인 119 구급대원 39명에게 3가지 성문위기구에 대한 짧은 교육을 시행한 후 삽관시간과 삽관시도횟수를 측정하였다. 삽관시간은 중립위와 경추보호대 착용 시 모두 I-gel($10.5{\pm}2.2$, $11.4{\pm}5.7$), SLIPA($12.3 {\pm}5.1$, $12.0{\pm}6.8$), LMA($17.2{\pm}3.2$, $18.5{\pm}5.5$) 순으로 빨랐다 (p<0.05). 각 기도기별 중립위와 경추보호대 착용 시 삽관시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I-gel과 SLIPA가 LMA보다 중립위와 경추보호대 착용 시 모두에서 삽관시간이 더 빠른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