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제적 시공

Search Result 839,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the Economical Installation of Ground Electrodes for Distribution Line (경제적 배전설비 접지극시공 방안에 대한 연구)

  • Kim, Chang-Wan;Seon, Sang-Jin;Wong, Yoon-Chan;Kim, Sang-Gy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418_419
    • /
    • 2009
  • 경제적 배전설비 접지시공을 위해 직렬시공 및 병렬시공에 대한 접지저항 특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배전설비 접지시공의 개선점을 살펴 보았다. 접지저항감소를 위해 병렬로 시공하는 경우 5P이상 시공하는 것은 비경제적임을 알 수 있었고, 접지저항측정값과 계산값이 일치함을 통해 접지설계시 계산식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제적이며 계절의 변화특성이 좋은 직렬시공의 우수성과 현장실증결과 4S이상 직렬시공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장여건에 의해 부득이 하게 병렬 시공을 하는 경우 접지시공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장실증을 통한 접지극간 이격거리 선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물성과 응용

  • 이차돈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7 no.4
    • /
    • pp.4-9
    • /
    • 1994
  •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내에 강섬유를 임의로 투입함으로써 취성의 콘크리트 물성을 연성적으로 향상시킴과 동시에 압축, 인장, 휨 강도를 증가시킨 새로운 구조 신소재라고 할 수 있다. 과거 70년대가 SFRC의 재료적 물성에 대한 실험적 시기였던 반면 현재는 현장에 SFRC를 시공하는 응용단계라 할 수 있다. SFRC의 우수성은 선진 외국의 경우 일반적으로 기업, 정부, 계약관계자 등에게 잘 인식되어 있어 이미 많은 시공현장에서 응용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외국(미국, 일본, 유럽 등)의 경우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경제적인 구조물을 실현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는 안타깝게도 SFRC에 대한 인식이 아직 일반화되어 있지 않으며 시공현장도 매우 드문 실정이다. SFRC에대한 연구는 국.내외 학회에서 꾸준히 연구, 개발하고 있으며 이들 연구결과가 경제적이고 우수한 구조물을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PHC말뚝의 경제성에 대한 연구

  • 임성한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2.06a
    • /
    • pp.57-86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PC말뚝과 PHC말뚝의 시공성과 지지력에 대한 비교확인 시험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PHC말뚝의 시공상의 장점, 특성 및 경제성을 파악하였으며, SIP공법에 의하여 PHC말뚝을 사용시 기존 PC말뚝이나 강관말뚝보다 경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PHC말뚝은 압축강도와 지지혁이 기존 PC말뚝보다 높을 뿐만아니라 강관말뚝과 같이 용접이음이 가능하고 말뚝의 심도가 깊은 경우에도 강관말뚝과의 대체시공이 가능하여 PHC말뚝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적절한 항타장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혁신적인 원가절감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Girth Welding Proced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Gas Pipeline (가스배관 원주자동용접 공정 개발 및 기계적 특성 평가)

  • Kim, Woo-Sik;Kim, Young-Pyo;Kim, Choel-Ma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84-84
    • /
    • 2009
  • 파이프라인을 건설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술이 배관 용접기술이다. 즉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작업이 공사 진척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이를 얼마나 경제적으로 신속하게 수행해 나가느냐하는 것은 건설기간 및 건설비용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다. 가스배관 시공 원주용접 방법은 여러 가지 있는데, 현재 국내에서는 전량 수동용접을 채택하고 있다. 이 방법은 국내 가스배관을 건설한 초기부터 적용해온 것으로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취약한 국내 자동화기술과 열악한 도로 매설 시공여건에서 적용하기 용이한 방안이다. 그러나 우수한 용접기량을 보유한 용접사가 점차 부족해지고, 배관시공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줄이기 위한 필요성이 점차 커지면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서 자동원주용접방안이 있다. 이 기술들은 해외 가스배관에 이미 오래전부터 적용되어 용접부위 신뢰성과 품질 우수성을 확보하고 시공비용절감을 달성하고 있다. 자동용접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용접절차를 수립하여 절차인증시험을 수행하고, 기존방안과 동일이상의 품질이 확보되며 효율성을 겸비해야만 한다. 국가 기본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적기 시공이 필요하고, 1 km당 10 억원 이상이 소요되는 배관시공비용 중 약 1/3이 용접비파괴검사 비용인 점을 감안할 때 품질이 확보되면서 경제적인 시공방안이 있다면 이를 적용하는 것이 국가 산업 경제적 측면에서 필요한 일이다. 이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국내 가스배관 원주용접에 적용 가능한 용접공정을 검토하고, 용접절차를 수립하여 절차인증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추가로 배관 원주 자동용접부위에 대한 기계적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현재 국내 건설여건과 비파괴검사 기준을 만족시키고 안전성과 효율성을 겸비한 방법으로는 초층과 2층은 수동 GTAW를 적용하고 나머지 층은 반자동 FCAW를 적용하는 방안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 층을 자동 GTAW로 용접하는 방안은 품질은 확보되지만 효율성측면에서 대형배관에는 적용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해외에서 많이 사용되는 자동 GMAW 방안은 국내 비파괴검사기준을 만족시키기 어려워 검토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용접방법에 대한 용접공정개발과정과 원주용접부위 기계적 특성을 검토하여 최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ase History of Vibration-controlled Reckmass Breakage Method by Rock Splitter (할암기를 이용한 무진동 암반 파쇄공법의 현장 적응 사례)

  • 최영천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2 no.3
    • /
    • pp.71-78
    • /
    • 2004
  • Explosive blasting, hydaulic power unit and rock splitter are typically utilized for rockmass breakage and cutting in reconstruction of building structures and other construction site. Hydraulic rock cutting method, that can be utilized any weather conditions, has been applied mainly by experience for controling damages caused by vibration, noise and rock cuttings, and reducing damage claim by protecting adjacent structures. However,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ockmass to improve operation efficiency. Although every cutting method has its own advantage, but it should be applied by considering site circumstance and rockmass properties in details to maximize the operation efficiency and economic feasibility.

Improving Construability by Analyzing Influencing Factors of Core-Wall Construction (코어월 선행공법의 영향 요소 분석을 통한 시공성 향상에 관한 연구)

  • Ku Seong-Hun;Ahn Byung-Ju;Kim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606-609
    • /
    • 2003
  • The need of high-rise building is increased, because population is concentrated and the building site is limited in the city. Owing to this request buildings in downtown become more high rise. Therefore, we must develop the design, structure, high technology and materials. The core wall construction is one of the method of construction preferred because it cut down the cost and decrease the schedule. According to research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selection process of core wall system form is focused on the schedule and cost. the construability is relatively failed to notice. As a result, the problem of construability is happened under the construction, it lead to delay the schedule and increase the co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 to decision making process of core wall system form considered improv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 PDF

해저 배관 설계 및 시공 기술 동향

  • Kim, Yeong-Pyo
    • Journal of the KSME
    • /
    • v.54 no.1
    • /
    • pp.48-52
    • /
    • 2014
  • 배관 설계 및 시공은 경제적이고 안전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자료에 근거하여 기술적 검토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가스배관을 해저에 건설할 때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 및 시공기술에 대한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renchless Construction Method For Small Diameter Cable Conduits (소구경 비개착 관로건설 기술연구)

  • Seo, Dong-Seob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217-221
    • /
    • 2005
  • 도시의 기능이 날로 커져가고 땅속 지하매설물은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또한 시민들의 의식 수준이 높아가면서 도시에서의 굴착시공은 민원유발과 교통소통장애 문제로 날로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KT에서는 무인 및 유인 통신구를 건설할 수 있는 장비를 이미 개발한바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도심지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관로 ${\Phi}50mm,\;{\Phi}150mm,\;{\Phi}300mm$를 시공할 수 있는 장비를 개발하게 되었다. 도시는 복잡하기 때문에 비개착 시공에 있어서 시공 점용면적이 상대적으로 많을 경우 어려움을 겪게된다. 소구경 비개착 장비인 XS-300은 길이 1.45m 폭 0.8m 높이 0.97m 이며 중량은 700kg인 소형장비인 것이 특징이다. XS-300은 도심지에서 통신맨홀 터파기 부분을 압입구로 활용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비용으로 개착식 시공이 불가한 구간에 대한 인입관로 구성과 지하장애물 하월시공, 도로횡단 시공 시에 적합한 장비이다. 특히 타 시설물을 관통한 불량통신시설과 재해에 취약한 통신시설에 대해 안전하고 경제적인 비용으로 이설시공을 할 수 있으며 통신인프라 기초시설 안정화 및 품질고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금속 용사를 통한 정수장 착수정 유입밸브의 방식에 관한 연구

  • Oh, Min-Hwan;Mun, Suk-Ju;Kim, Eun-Yeong;Kim, Byeong-Ch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d
    • /
    • pp.1941-1946
    • /
    • 1999
  • 본 연구는 우리 나라 물공급의 60% 이상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 수자원 공사의 수자원 관리 설비의 방식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수자원 관리 시설의 대부분이 철구조물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거나, 해수와 담수에 동시에 접해있기도 하며 끊임없이 화학약품에 영향을 받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매우 열악한 환경 하에 있는 대부분의 설비 및 철구조물들은 부식이 쉽게 되어 부식으로 인한 시설관리 및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수자원 공사는 여러 해 동안 설비 보전을 위해 부식에 관한 많은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중 도장을 통한 설비의 방식을 주로 시행하고 있으나 이런 도장 방식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고 또한 도장 방식의 수명이 길지 못하므로 주기적으로 재시공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알루미늄 코팅 방식은 알루미늄이 철 보다 부식 전위가 낮아 부식이 잘 진행되어 철 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하는 희생 양극 특성이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도장의 경우 시공 단가가 비싼 단점이 있어 시공비를 줄이기 위하여 알루미늄 도장전에 철 구조물의 표면을 전처리하는 공정을 개선하여 총 시공비의 80%를 점하는 전처리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적인 도장 방법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