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제관

Search Result 67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The Effects of Municipalities' Cultural Industries on the Regional Economy in Korea (시.군.구의 문화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 Yeom, Seung-Il;Lee, Hee-Ye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3
    • /
    • pp.307-324
    • /
    • 2011
  • The culture industry is viewed as a driving industry in the 21th century. Korea has experienced the rapid growth rate of the cultural industry in terms of sale amounts for the period of 2004-2009.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spatial pattern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of municipalities' cultural industries on regional economy using SUR model.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ultural industries are concentrated in the capital region and several metropolitan areas. Secondly, the estimated result of SUR model shows that there is inter-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ndustry and regional economy. The effect of the cultural industry on GRDP is that the cultural industry increased 1%, GRDP increased by 0.46%. In turn, GRDP increased 1%, cultural industry increased by 0.75%. Thirdly, the elasticity of the cultural industry on GRDP is much higher than that of labor or capital stock, showing that the cultural industry has a more powerful influence on its regional economy. Fourth, the elasticity of the cultural industry on GRDP of Gun is higher than that of shi, indicating that it is rational for Gun to develop strategies to promote competitive power of the cultural Industry for regional economic growth.

  • PDF

A Study on Philosophy-based Human Resource Model in the Service Economy Era (철학기반의 서비스경제시대 인재상 연구)

  • Kim, JeaYoung;Kim, Hyunsoo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10 no.3
    • /
    • pp.119-138
    • /
    • 2020
  • Unlike the era of manufacturing-oriented industrial economy in the past, the era of service economy has characteristics intangible goods center, knowledge universalization, and expansion of needs, and many things that are of the economy are changing. In the past, the change in the environment was not fast, so even after analyzing the changed environment and deriving the talent needed for the company, it was possible to maintain a talent for the organization for a long time, so it is not proactive to build and apply talent. It became difficult to manage effectively. Therefore, in this paper, we conducted a normative study for deriving a desirable talent model rather than a descriptive human resource model. Human resources image suitable for the modern service economy era, the modern economic society and modern spirit were analyzed and reflected. The model in which the two opposing members of the organization, managers and employees, interact intensely and balance dialectically. A desirable talent in a modern organization must play the role of a manager, and the management and talent models in a modern organization can be sai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like the front and back sides of a coin. The philosophy of human resources was presented in five dimensions: human, historical, social, economic, and management. The human resource model from eight factors: mastery, rationality, wisdom, customer orientation, innovation, flexibility, autonomy, collabora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general talent model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pany's type, empirical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he talents in each company in the future.

Minimum Velocity of Sewer Line (오수관의 최저유속)

  • Kim, Tae-Won;Park, Jong-Pyo;Lee, Kil-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84-1188
    • /
    • 2007
  • 하수관거는 장기간 사용에 의해 오염물질 퇴적 현상이 발생하여 관거 유하능력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관내 오염물질 제거 방법 중 관거 Flushing 방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유입유량, 유입시간, 관경사 변화에 따른 유속 및 수위 변화를 분석하여 하수관거 내 부유물질의 퇴적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유속기준을 만족하는 관거 유하 길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관거 내의 수리학적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서 SWMM 및 FLOW-3D 모형을 이용하여 관거 내 수리학적 거동 현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수리모형실험 자료를 이용하였다. $5\;{\textperthousand}$ 관경사에 대하여 유입유량 $0.16\;m^3/min$을 3 분 동안 Flushing 하였을 경우 최대유속은 0.58 m/s로 최소유속 0.6 m/s를 만족하는 관의 누가거리는 확보할 수 없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또한 관경사가 증가함에 따라서 최대유속 및 최대유량도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관 내 부유물질의 퇴적을 방지하기 위해 Flushing 방법을 수행하였을 경우, 보다 효과적이며 경제적으로 Flushing 방법을 수행할 수는 설계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Numerical study on the behavior of seabed under wave-load (파랑작용에 의한 해저지반의 거동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Yun, Seong-Kyu;Yun, Jong-Lik;Lee, Yeong-Jun;Kim, Jong-Seong;Choi, Seong-Jun;Kim, Tae-Hyu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114-117
    • /
    • 2010
  • 에너지자원(석유, 천연가스, 전기) 이송과 정보전달(해저광케이블)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해저 매설관이 해저면에 설치되어 운영이 되고 있다. 이들 매설관은 지진 또는 해저사면의 유실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파괴되는 일들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그 외 태풍 등에 의해 발생되는 파랑하중에 의해서도 이들 매설관이 종종 파괴되는 일이 발생되기도 한다. 태풍 등에 의한 파랑하중은 해저지반에 과다한 과잉간극수압을 발생시켜 지반 액상화를 유발 세굴을 발생시키는데 이로 인해 매설관 하부에는 과도한 인장응력이 유발되어 매설관의 파괴 문제가 야기된다. 만약 석유수송 해저매설관이 파괴되면 경제적?산업적 측면에서 직접적인 피해 이외에도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파랑하중에 의한 해저매설관 주변 지반의 거동 분석 및 안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A Study on Acquiring Specialty for Bird-watching Science Museum (조류 탐사관의 특성화에 관한 연구)

  • Kim, Jin-Hy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45-4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히 건설이 진행되고 있는 세 곳의 조류 탐사관의 건축 및 전시 디자인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조류탐사관은 그 전시물의 내용상 자연사 박물관에 가까운 형식을 갖는다. 그러나 주로 조류의 관찰과 생태에 그 초점을 두는 전문화된 전시관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조류 탐사 시설은 최근의 지역주의와 관광 자원 개발의 유행에 따라 난개발의 우려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초 조사를 통해 지역의 문화유산을 보다 잘 보존하고 지역 문화 발전과 지역경제에 이바지하는 시설로 자리 잡는데 필요한 특성화의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철학의 시각에서 본 환경문제

  • Song, Yeong-Bae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Journal
    • /
    • no.6 s.124
    • /
    • pp.68-70
    • /
    • 1991
  • 이 자료들은 지난 5월 17일 서울대 문화관에서 열린 한국자원경제학회 학술세미나에서 발표된 논문을 옮긴 것이다. <편집자 주>

  • PDF

정부공공정책기능(政府公共政策機能)의 한계(限界)와 시장질서(市場秩序)의 역할(役割)에 대한 고찰(考察)

  • Jwa, Seung-Hui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6 no.1
    • /
    • pp.175-194
    • /
    • 1994
  • 본고(本稿)는 최근 경험하고 있는 경제자율화의 부진 이유가 '경제과학(經濟科學) 만능사상(萬能思想)'에서 나오는 경제관료나 경제학자들의 "시장(市場)보다 더 많아 안다"는 자만과 이에 따른 정부(政府)의 시장역할(市場役割)에 대한 불신(不信)에 있다고 보고, 시장질서(市場秩序)에 대한 신뢰회복과 경제학의 한계에 대한 인식이 앞서야 실질적(實質的)인 경제자율화(經濟自律化)가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Hayek의 사회철학관(社會哲學觀)과 최근의 내생적(內生的) 경제제도론(經濟制度論)에 의하면 시장질서의 본질은 그 자생성에 있으며, 그 일부로서의 경제제도와 조직은 내생적으로 보다 나은 구조로 진화해 나간다. 그리고 이러한 진화를 촉진시키는 힘은 바로 경제주체(經濟主體)들간의 자유(自由)로운 경쟁(競爭)에서 나온다. 경쟁(競爭)은 미지(未知)의 가능성(可能性)을 찾아내는 발견과정이기 때문이다. 경제학은 경제현상(經濟現象)의 미래에 대한 대체적인 윤곽을 그리는 것(mere pattern prediction) 이상의 구체적인 청사진을 예측할 수는 없다. 구체적인 모습은 바로 경쟁을 통해 찾아갈 수밖에 없다. 자율화(自律化) 이후의 미래모습은 경제학자나 경제관료들보다도 시장경쟁(市場競爭)의 발견력(發見力)에 의해 찾아가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바람직하다. 이러한 인식하에 본고(本稿)는 앞으로의 정부경제정책(政府經濟政策)의 바른 방향은 시장개입(市場介入)을 통해 경제모습을 세세하게 그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시장경쟁에 의한 발견과정이 원활해지도록 자율화를 통해 경쟁(競爭)을 창달함으로써 경제질서(經濟秩序)의 진화(進化)를 도모해 주는 데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 PDF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 Industries and the Linkages with the Local Economic Landscape (공연예술 산업의 입지 특성과 지역 경제경관의 연계성)

  • Lee, Sooyoung;Lee, Keumsoo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3
    • /
    • pp.437-45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 industries and to investigate the linkages with local economy. For the purpose, we examine the spatial concentr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in Korea first, and than focus on Seoul where the resources of performing art industries are concentrated to the utmost. To distinguish the distribution aspect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 industries, we apply the Kernel density analysis and LISA (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on the address data of performing art theater, gallery, and movie theater. In contrast to galleries and movie theaters.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performing art theaters reveals a unique local cluster centered on the Daehakro area. We confirm that the Daehakro area constitutes a performing art industry cluster in their dense distribution of various related activities making up the value chain of the performing art industr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obes the related economic activities to explain the distribution of performing art theaters as well as the linkages with the local economic landscape.

  • PDF

A Convergence study on the happiness and participating desire of economic activity among elderly living alone (독거노인의 행복과 경제활동의 참여욕구에 대한 융합 연구)

  • Lee, Byunglim;Kim, Doo Ree;Lim, Hyo Nam;Kim, Kwang-Hw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8
    • /
    • pp.109-116
    • /
    • 2018
  • The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re for economic activity and happiness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as a research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were either go to the elderly community wellness center or volunteer at the center. The results were: First, it turned out that enjoying different programs and socializing with others at the community wellness center and the health of family were the factors of happiness to the elderly living alone. Second, the difference on the desire on economic activity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significant. Three groups could be categorized: the elderly who wants economic income through jobs, others who were wealthy, and others who do not struggle with their finance but wanted to continue their economic activity through part-time jobs. In average, the desire for economic activity was high but they wanted 2 - 3 hours of labor per day, considering their physical condition. In case of income, there were two groups, who desperately wants more income, and others who feel their income is sufficient. This study suggested a virtuous cycle of government support policies to the elderly living alone in economic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