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의선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4초

실시간 3차원 검안경의 광학설계 (Optical System Design for Real-Time 3-Dimension Ophthalmoscope)

  • 이숙희;양연식;최오목;심상현;두하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5-39
    • /
    • 2003
  • 본 연구는 안과 실명 질환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망막을 실시간으로 3차원 영상화하기 위한 장치의 광학설계에 관한 것이다. 3차원 망막 영상을 얻기 위해 광원으로 He-Ne 레이저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초점 조절을 위한 슬래지부, 안구의 망막을 스캔하는 2차원 평면 주사선을 위한 scan system부, 그리고 망막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반사 선을 센서로 보내주기 위한 반사 광학계부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된 시스템들은 레이저빔의 입사각과, 망막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반사 가상선의 출사각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했으며, 또한 망막에서 레이저빔의 입사와 반사가상선의 출사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일치시키도록 하였다. 이렇게 구성되어진 각 부운을 광학설계 프로그램인 Code-V를 이용하여 설계하였고, 최적화하였다. 결론적으로 3차원 망막 영상을 얻기 위한 장치의 최적 시스템을 다시 구성 하기전, 해상력이 높은 망막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광학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광학설계 프로그램인 Code-V를 이용하여 초기설계를 하고 최적화를 하였다. 그 결과 광학 수차가 적고 높은 해상력을 갖는 광학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광학적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씨감자 “대지” 품종의 휴면타파와 생리활성에 미치는 저선량 방사선 효과 (Effect of Low Dose ${\gamma}$ Radiation on the Dormancy Breaking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Dejima" Seed Potato (Solanum tuberosum L.))

  • 김재성;김동희;백명화;정혁;이영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6-121
    • /
    • 2001
  • 저선량 ${\gamma}$선 조사가 기내 유기한 감자 소괴경에서 생산한 "대지 (Solanum tuberosum L. cv. Dejima)" 품종 씨감자의 맹아발생과 포장에서의 생육과 수량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효과 등을 알아보고자 저온 저장한 감자 괴경에 ${\gamma}$선을 $0.5{\sim}30$ Gy 까지 조사하여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선량 ${\gamma}$선 조사한 감자 괴경의 맹아 출현율은 저장 기간에 관계없이 대체로 1 Gy와 2 Gy 조사구에서 높았고 맹아 길이는 2 Gy와 4 Gy 조사구에서 유의성있는 증가효과를 보였으며 맹아수에서는 15일 저장구의 4, 8, 16 Gy 조사구에서 유의성있는 증가효과를 보였다. 포장생육에서는 45일 저장구가 모든 선량에서 유의성있는 생육 및 수량 증가효과를 보였는데 특히 4 Gy 조사구에서 뚜렷한 증가효과를 보였다. 항산화효소 활성은 저선량 조사와 생육에 따라 어떠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catalase는 모든 저선량 조사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고, peroxidase는 생육이 양호하였던 45일 저장구의 4 Gy 조사구에서 증가하였다.

  • PDF

중심성 폐암 발견에 있어 협대역 내시경의 임상적 유용성 (Clinical Benefits of Narrow Band Imaging Bronchoscopy in Central Lung Cancer)

  • 박진경;조영선;장세진;박영수;최창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8권1호
    • /
    • pp.16-21
    • /
    • 2010
  • Background: Lung cancer is usually diagnosed at an advanced stage, resulting in a poor prognosis. The detection of these lesions at an earlier stage would be a clear benefit to patients. However,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detect carcinomatous lesions in the bronchial mucosal sites during a routine bronchoscopy.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novel optical technique, known as narrowband imaging (NBI), which allows noninvasive visualization of the microvascular structure of an organ's surface using reflected light. Results: Narrow band imaging was performed on 10 patients who were radiologically suspicious or had a high risk of lung cancer.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57.5 years (range, 44~81 years), and 80% of the patients were male. All lesions showed a microvascular proliferation pattern (dotted, tortuous and abruptly ending vessel) on the magnified NBI. Two lesions were confirmed histologically to be adenocarcinoma and the remaining lesions were squamous cell carcinomas. Two lesions were confirmed histologically to be a carcinoma in situ. Conclusion: NBI is a promising and potentially powerful tool for identifying carcinomas at an earlier stage or a central lesion during a routine bronchoscopy examination.

LACBED 패턴으로부터 전자빔의 파장 측정 방법 (A Method to Determine the Wavelength of Electron Beam from LACBED Pattern)

  • 김황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3호
    • /
    • pp.179-185
    • /
    • 2003
  • 일반적으로 전자현미경에 계기상 나타내는 가속전압에 의한 전자 빔의 파장은 실재로 시료 위에 입사되는 빔의 파장 값과는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적어도 한번은 계기상 나타난 전압에 대한 파장 값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QCBED 기법에서는 가능한 한 정확한 파장 값의 결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알려진 결정시료의 LACBED 패턴들로부터 정확하게 이 파장을 측정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이미 보고된 Kikuchi 패턴을 이용하는 기법과 유사하게 LACBED 패턴에서 같은 평면에 있지 않은 3개의 회절벡터에 의한 회절선이 거의 같은 점을 교차할 경우를 이용한다. 이 방법 적용 실험 예로써 알루미늄 결정시료를 사용하여 JEM2010전자현미경의 계기상 200 kv 가속전압에 대한 파장 값이 측정되었다. 측정된 파장과 대응되는 가속전압은 0.002496(3) nm과 $201.5{\pm}0.4$ kv이며 파장 값은 0.12%의 불확실성을 갖고 있다.

1kW급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 설계 및 스택 성능 예측 모델 개발 (1kW RPG design and its stack performance model development)

  • 김민진;손영준;이원용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7-287
    • /
    • 2009
  • 연료전지는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동시에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높고 유해 배기물이 거의 없으므로 친환경적이다. 따라서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오늘날, 고효율 친환경의 연료 전지는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보일러와 계통선에서 열과 전기를 공급받는 기존방식에 비해 연료전지 코제너레이션 시스템의 경우 20%이상 에너지 절감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존 10kW이하의 소용량 발전설비의 경우 대형 발전소와 같은 수준인 30%이상의 전기 효율을 기대할 수 없으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를 적용할 경우 1kW급에서도 35%의 전기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열회수까지 고려할 경우 80%에 가까운 열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4)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 이외에, 연료변환장치, 급기설비, 열 및 물관리 설비, 전력변환장치 그리고 제어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연료전지 시스템 성능은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에 가장 의존적인데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은 같은 스택이라도 운전 및 제어 방법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실제로 연료전지 스택 자체의 전기 변환 효율은 최대 40% 까지로 매우 높으나, 다양한 운전 조건에 따라 효율이 30~40% 수준에서 변화는 것이 현실이다. 때문에 시스템을 설계할 때에는 종합화된 시스템 측면에서의 운전까지 고려한 설계와 성능 해석이 필요하다. 그간 연료전지를 활용한 가정용 열병합 발전분야에서는 시스템 설계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성능 해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연료전지 스택의 경우 간이화된 성능 모델식을 사용하여 이로 인한 성능 예측모델의 오차가 크게 발생하여 전체 시스템 최적화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여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연료전지 열병합 발전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설계 개발하였으며 이 중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모델을 실험기반으로 구축하였다. 먼저 가정용 연료전지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설계는 크게 네 단계로 구분되며 이는 1) 시스템 개념 설계, 2) 연료전지 스택 설계, 3) 주변장치 설계, 4) 제어시스템 설계로 이뤄진다.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 모델은 고분자연료전지의 성능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미치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스택 성능을 예측 가능하도록 개발하였으며 이는 간단한 이론 모델의 구조에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기법으로 이뤄졌다.

  • PDF

유방암에 있어서 초음파 소견의 분석 (The Analysis of Ultrasonographic Findings in Breast Carcinoma)

  • 이진욱;황미수;박복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269-274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1992년 3월부터 8월까지 유방 병소로 본원에 내원하여 유방암으로 확진된 12명을 대상으로 초음파 소견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즉 종괴경계의 불규칙적인 분엽성(12/12), 종괴 내부의 저 echo(11/12), 종괴음영의 비균질성(11/12), 후방음영의 감소(7/12), 변연 echo의 증강(9/12), 표재층의 분열(11/12), 종괴의 전후경에 대한 횡경의 비율(T/AP<1.4 : 9/12), 소석회화(2/12), 피부의 비후(2/12) 등의 소견들이 유방암을 감별 진단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이들 소견들은 반드시 유방암에서만 관찰되는 소견들은 아니고, 유방암외의 다른 양성병변들에서도 그 빈도는 낮지만 관찰될 수 있는 소견들로서, 유방 초음파검사상의 이들 소견만으로 유방암을 정확히 감별진단하기는 힘들며,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X-선 유방촬영법같은 다른 영상진단법과의 상호보완을 통한 종합적인 검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Front-Jacking공법에 의한 대전역사 하부 관통사례 (A case study on perforation under Daejeon station building by Front-Jacking method)

  • 김용일;황낙연;정두석;차종휘;이내용
    • 한국암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암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5-203
    • /
    • 2006
  • 철도지하횡단공사는 횡단구조물 축조시 개착식과 비개착식 공법으로 구별되는데 개착식 공법은 열차의 비운행시간을 고려하여 시공하는 극히 제한적인 공법인데 반하여 비개착식은 열차의 속도 및 운행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안전하고 신속한 시공의 장점을 갖고 있다. 비개착식 공법 중 Front Jacking 공법은 소구경의 강관을 압입하여 구조물과의 마찰력과 토압을 최소화시킨 후 현장에서 제작한 전단면 Precast Box 선단부에 PC강연선과 유압Jack을 이용하여 박스를 지중에 견인하는 공법으로 시공시 안정성과 열차의 정시성 확보가 유리하여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 공법은 박스단면의 크기 및 연장, 지반조건에 관계없이 시공가능하며 친환경적인 시공을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Front Jacking 공법이 적용된 대전동서관통대로의 철도횡단 시공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대전 동서관통도로 Front-Jacking공법 시공사례 (A Case Study on Construction of Front-Jacking method in Daejeon E.W. perforate Road Project)

  • 김용일;황낙연;차종휘;장성욱;이내용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46-654
    • /
    • 2005
  • 철도지하횡단공사는 횡단구조물 축조시 개착식과 비개착식 공법으로 구별되는데 개착식 공법은 열차의 비운행시간을 고려하여 시공하는 극히 제한적인 공법인데 반하여 비개착식은 열차의 속도 및 운행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안전하고 신속한 시공의 장점을 갖고 있다. 비개착식 공법 중 Front Jacking 공법은 소구경의 강관을 압입하여 구조물과의 마찰력과 토압을 최소화 시킨 후 현장에서 제작한 전단면 Precast Box 선단부에 PC강연선과 유압Jack을 이용하여 박스를 지중에 견인하는 공법으로 시공시 안정성과 열차의 정시성 확보가 유리하여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 공법은 박스단면의 크기 및 연장, 토질조건에 관계없이 시공가능하며 친환경적인 시공을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Front Jacking 공법이 적용된 대전동서관통대로의 철도횡단 시공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고집적 플립 칩용 극미세 58Bi-42Sn 솔더 범프와 Au/Ni/Ti UBM의 계면 반응 (Interfacial Reaction between Ultra-Small 58Bi-42Sn Solder Bump and Au/Ni/Ti UBM for Ultra-Fine Flip Chip Application)

  • 강운병;정윤;김영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1-67
    • /
    • 2003
  • 고집적 플립 칩 기술을 위한 $50{\mu}m$ 직경의 극미세 58Bi-42Sn 솔더 범프와 Au/Ni/Ti UBM의 계면 반응에 따른 금속간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증발증착법과 lift-off 방법으로 극미세 Bi-Sn 솔더 범프를 형성하고 급속열처리 장비를 이용하여 리플로 공정을 실시하였다. 리플로 공정에서의 냉각속도를 변화시키면서 제작한 솔더 범프의 표면과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Au(0.1{\mu}m)$/Ni/Ti UBM 위의 극미세 58Bi-42Sn 솔더 범프의 표면과 내부에서 facet 특성을 갖는 다각형의 금속간 화합물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주사전자현미경의 EDS 분석과 X-선 회절분석으로 확인한 결과 이 금속간 화합물은 $(Au_xBi_yNi_{1-x-y})Sn_2$상임을 확인하였다.

  • PDF

급성 저압.저산소 노출에서의 유산소성 운동이 면역기능 및 호흡기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Immune Function and Respiratory System on Aerobic Exercise by Exposed Acute Hypobaric Hypoxic Environment.)

  • 이동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25-83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저압.저산소환경의 노출을 시켜 30분간의 유산소성 자전거운동이 호흡기계 반응 및 면역기능의 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몇 가지 지견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첫째로 75 $%HR_{max}$ 강도에서 30분간의 유산소성 운동 중에 저산소성 환기억제 또는 저하(hypoxic ventilatory depression or decline)라고 하는 현상은 평지뿐만이 아니라 3,000 m 고도에서도 나타나고 있고, 둘째 호흡기계의 반응은 축구선들이 특히 고소에서 적응과 감수성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으며, 셋째 면역기능의 항목인 단구(monocyte)는 운동습관의 유무 및 3,000 m의 고도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상호작용)으로 변화를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