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사 분배관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Experimental study on flow distribution in manifolds by a tapered header (경사 분배관에 의한 다지관내의 유속분포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윤영환;이상헌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0 no.1
    • /
    • pp.1-10
    • /
    • 1998
  • A header is the device that makes uniform flow distribution in all branches from header of heat exchangers, pipe burner or chemical equipments. In this study, experimental tests have been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low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a straight header and tapered header which have 6 and 11 glass pipe branches. The experimental equipment consists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where the fluid velocity in each glass pipe is measured by Ar-ion LDV system. From the experiments and the theoretical equation, it could be recommended that tapered header should be determined so that its internal velocities inside the header become uniform according to taper of the header and number of attached branches for uniform flow distribution in energy systems.

  • PDF

Study on Applying of Unsteady Analysis in ToSS(Total Sewer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Optimal Management of Sewer System (하수관망 최적관리를 위한 통합하수관거 시스템의 부정류 해석적용에 대한 연구)

  • Choi, Gye-Woon;Lee, Ho-Sun;Jho, Hyung-Gue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148-1153
    • /
    • 2005
  • 하수관거는 국민의 정맥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도시의 환경관리와 치수, 쾌적한 환경조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시설이며 그 규모가 광범위하고 복잡한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수관망을 통해 이송되는 물은 지저분하고 냄새가 심하기 때문에 지하에 관의 형태로 대부분 시공되어 왔으며, 상수관망처럼 압력관이 아니라 대부분 중력에 의한 이송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문제 발생 시 원인파악과 대처를 힘들게 하는 요인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하수관거의 관리 소홀은 곧바로 토양오염과 인근 환경오염으로 직결되며 장기적으로는 상수를 오염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체계적인 방법과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명확한 분석을 시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가지고 최적으로 유지관리 되어야 한다. 최근 들어 이러한 하수도 시설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개선하기 위해 대도시를 중심으로 근거 조사와 정비 사업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사업효과를 검증하거나 관로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국내 실정에 맞지 않는 외국하수관망 흐름 해석 프로그램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고 정확한 해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수관망해석이나 하수관망 정비시 필요한 불명수산정이 가능하고 국내실정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아울러 프로그램을 효율적 운영하고 관리하는 제어관리 기술을 개발,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의 부정류 해석 기능을 활용하여 대상구역의 해석을 실시하여 기존분석방법의 I/I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최적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준편차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 CFD모형인 FLOW-3D를 계획 중인 하수처리장의 침전지 유입부 설계에 적용하였으며 저류벽의 위치와 폭, 유공정류벽의 유공율에 따른 유입하수의 분배효과를 분석하였다. 실험을 수행하여 보다 정밀한 공식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10,924m^3/s$ 및 $10,075m^3/s$로서 실험 I의 $2,757m^3/s$에 비해 통수능이 많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함을 알 수 있다. 상수관로 설계 기준에서는 관로내 수압을 $1.5\~4.0kg/cm^2$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6kg/cm^2$보다 과수압을 나타내는 경우가 $100\%$로 밸브를 개방하였을 때보다 $60\%,\;80\%$ 개방하였을 때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대상지역의 밸브 개폐는 $100\%$ 개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 PDF

A Preservation of Traditional Landscape through Co-Prosperity in Local Communities - In Case of "Terraced Paddy Fields of Gacheon Village, Namhae", Scenic Site - (지역공동체 상생을 통한 전통경관 보전방안 - 명승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을 사례로 -)

  • Kim, Do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2
    • /
    • pp.14-23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rve the sustainable traditional landscape of the "Terraced Paddy Fields of Gacheon Village, Namhae". To this end, the changes in the traditional landscape and its factors were analyzed, and a conservation plan was sought to coexist with local commun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scenery of "Terraced Paddy Fields of Gacheon Village, Namhae" is characterized by stonework built on a steep topography to secure cultivated land and narrow rice fields. To this end, local communities have maintained the traditional landscape through their long-established traditional knowledge, but after the designation of cultural heritage, the unique landscape of the "Terraced Paddy Fields of Gacheon Village, Namhae" changed as standardized stone construction methods were applied. Recentl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recognized these problems and returned to the direct repair system of local communities, so cultivated land is regaining the scenery of the past. Second, the factors that changed the traditional landscape of the "Terraced Paddy Fields of Gacheon Village, Namhae" were largely found to be a decrease in voluntary conservation consciousness, a limited management range of preservation society, a decrease in agricultural population, and a lack of skilled traditional skills. After the designation of cultural heritage, expectations for policy support by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accelerated the damage as existing farmland was neglected, and the lack of agricultural population also resulted in the same result. The preservation society is making efforts to preserve it, but the phenomenon of excessive and insufficient management personnel is intensifying. Conflicts between residents due to profit polarization have spread to the problem of escalating. In addition,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loss of traditional knowledge such as step farming technology and stone construction functions. Third, to suggest a win-win plan with local communities for preserving the traditional landscape, it is necessary to seek the ways to expand farming participants and generate profits through the placement of professional careers and public-private linkage system.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improve the profit distribution system through the preservation society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authority and induce participation. And a support system is required for education on the transmission of terraced farming technology and stone construction fun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