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reservation of Traditional Landscape through Co-Prosperity in Local Communities - In Case of "Terraced Paddy Fields of Gacheon Village, Namhae", Scenic Site -

지역공동체 상생을 통한 전통경관 보전방안 - 명승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을 사례로 -

  • Kim, Dong-Hyun (Natural Heritage Divisi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김동현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 Received : 2022.06.03
  • Accepted : 2022.06.19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rve the sustainable traditional landscape of the "Terraced Paddy Fields of Gacheon Village, Namhae". To this end, the changes in the traditional landscape and its factors were analyzed, and a conservation plan was sought to coexist with local commun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scenery of "Terraced Paddy Fields of Gacheon Village, Namhae" is characterized by stonework built on a steep topography to secure cultivated land and narrow rice fields. To this end, local communities have maintained the traditional landscape through their long-established traditional knowledge, but after the designation of cultural heritage, the unique landscape of the "Terraced Paddy Fields of Gacheon Village, Namhae" changed as standardized stone construction methods were applied. Recentl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recognized these problems and returned to the direct repair system of local communities, so cultivated land is regaining the scenery of the past. Second, the factors that changed the traditional landscape of the "Terraced Paddy Fields of Gacheon Village, Namhae" were largely found to be a decrease in voluntary conservation consciousness, a limited management range of preservation society, a decrease in agricultural population, and a lack of skilled traditional skills. After the designation of cultural heritage, expectations for policy support by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accelerated the damage as existing farmland was neglected, and the lack of agricultural population also resulted in the same result. The preservation society is making efforts to preserve it, but the phenomenon of excessive and insufficient management personnel is intensifying. Conflicts between residents due to profit polarization have spread to the problem of escalating. In addition,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loss of traditional knowledge such as step farming technology and stone construction functions. Third, to suggest a win-win plan with local communities for preserving the traditional landscape, it is necessary to seek the ways to expand farming participants and generate profits through the placement of professional careers and public-private linkage system.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improve the profit distribution system through the preservation society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authority and induce participation. And a support system is required for education on the transmission of terraced farming technology and stone construction functions.

본 연구는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을 사례로 지속가능한 전통경관을 보존하기 위해 전통경관의 변화양상과 그 요인을 살펴보고, 지역 공동체와 상생할 수 있는 보전방안을 모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의 전통경관은 경작지 확보를 위해 급경사의 지형에 석축을 쌓고 논두렁을 좁게 만든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은 오랫동안 쌓아온 그들의 전통지식을 통해 전통경관을 유지해 왔으나, 문화재 지정 이후 표준화된 석축의 축조방식을 적용하면서 다랑이 논 고유의 경관이 변화되었다. 최근 문화재청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의 직접보수체계로 회귀함으로써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이 과거의 경관을 되찾아가고 있다. 둘째,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의 전통경관이 변화하게 된 요인으로는 크게 자발적 보존의식 감소, 보존회의 제한적인 관리범위, 농업인구 감소, 전통기술 숙련자 부족 등이 확인되었다. 문화재 지정 이후 국가나 지자체의 정책지원에 대한 기대심리는 오히려 기존 경작지를 방치하면서 훼손이 가속화 되었고, 농업인구의 부족 또한 동일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보존회에서 이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관리인력의 과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수익 양극화에 의한 주민들 간의 갈등이 고조되는 문제점으로 확산되었다. 이외에 계단식 영농기술과 석조 축조 기능 등 전통지식의 상실이 우려되고 있다. 셋째, 전통경관 보전을 위한 지역 공동체와의 상생방안을 제언하자면, 전문인력의 배치와 관·민 연계체계로 영농 참여자의 확대 및 수익창출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보존회를 매개로 수익 분배체계를 개선하여 관리권한을 강화하고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 계단식 영농 기술과 석축 축조 기능 전승 교육을 위한 지원체계가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dict.naver.com
  2. 한숙영(2015). 관광자원으로서의 세계유산 문화경관. GRI 연구논총. 17(3): 161-181.
  3. 조아라(2011). 일본 전통경관의 생산과 변화. 문화역사지리. 23(1): 1-25.
  4. 예경록, 엄붕훈(2000). 우리나라 전통경관보전의 제도적 방법론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2(2): 127-139.
  5. 조효상(2013). 세계유산협약의 기초개념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숙향, 김영표(2011). 농산촌 지역의 문화적 경관으로서의 계단식 논 보존에 관한 한일비교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5(2): 1-14. https://doi.org/10.34272/FOREST.2011.15.2.001
  7. 윤경숙(2011). 명승자원으로서 다랑이논의 보전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정치영(2002). 일본의 계산식 논 보전정책과 시사점. 농촌경제. 25(2): 145-160.
  9. 권대곤(2016). 남해 다랭이마을 해안경관의 이미지와 만족도 특성 분석. Journal of Landscape Studies. 10(1): 51-60.
  10. 권대곤(2017). 해안경관 이용자의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도서문화. 47(-): 145-168.
  11. 이숙향(2013). 남해 가천마을 계단식 논의 경관보전에 대한 지역주민과 방문객 인식 차이 비교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1(2): 83-92. https://doi.org/10.9715/KILA.2013.41.2.083
  12. 홍윤순, 김오연(2020). 명승 제15호 남해 다랑이 논 석축의 훼손 실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8(4): 74-85. https://doi.org/10.14700/KITLA.2020.38.4.074
  13. 문화재청(2020).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 종합정비계획. 문화재청.
  14. 문화재청(2011). 유형별 전국 명승 자원조사. 문화재청.
  15. 송인범(2009). 우리나라 문화재정책의 현황과 과제. 백제문화. 40(-): 57-88.
  16. http://kosis.kr
  17. http://namgae.go.kr
  18. 문화재청(2017). 지역주민과 상생하는 명승보존 및 활성화방안 연구용역.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