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사 노즐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5초

다발 노즐을 사용한 추력 발생 제어에 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Analysis of Thrust Development and Control using Multi-Nozzle)

  • 박형주;성홍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4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88-291
    • /
    • 2010
  • 다발 노즐을 사용한 원통형 비행체의 추력 방향 제어에 대해 수치적으로 연구하였다. 밸브의 개폐를 이용하여 노즐 유량을 조절하고 다수의 경사 노즐을 배열하여 추력을 조정하는 시스템을 고려한 3차원 유동 해석을 수행하여 경사 노즐의 작동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질량 유량에 따른 다발 노즐의 분력의 크기, 추력 및 모멘트 크기를 제시하였다.

  • PDF

초음속 막냉각 유동에서 분사 노즐 형상이 냉각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Injection Nozzle Shape on the Cooling Performance in Supersonic Film Cooling)

  • 김상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641-64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 모델을 기반으로 초음속 막냉각 유동에서 분사 노즐 형상이 냉각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노즐의 형상 변수로는 막냉각 노즐의 상부벽면 내외부경사각과 노즐 팁 두께가 고려된다. 해석결과를 통해서, 노즐 상부벽면의 내부경사각이 증가할수록 유량은 감소하지만 유량감소율 대비 막냉각효과 감소는 상대적으로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노즐 상부벽면의 외부경사각과 노즐 팁 두께는 대체적으로 크기가 증가할수록 막냉각 성능을 감소시키지만, 충격파와 막냉각 유동의 간섭이 발생하는 국부적인 영역에서는 냉각성능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해석은 상용소프트웨어인 ANSYS Fluent V15.0을 활용하며, CFD 해석모델은 선행연구의 실험결과와 비교를 통하여 검증된다.

Needle형 Pintle의 위치에 따른 초음속 노즐 내부 유동장 연구 (A study on internal flow field of supersonic nozzle by needle type pintle position)

  • 이지형;김중근;장홍빈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1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69-272
    • /
    • 2008
  • 고체 추진기관의 추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핀틀은 초음속 유동장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핀틀 팁의 형상과 노즐의 Contour형상에 따라 초음속 노즐 내부는 복잡한 유동장 패턴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는 핀틀 노즐성능에 대한 연구로 Needle형 핀틀을 사용하여 수행한 공압 시험과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핀틀의 위치에 따른 초음속 노즐 내부 유동장 변화가 핀틀 노즐의 추력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노즐 내부에 3가지 충격파가 존재하고 경사충격파의 위치가 핀틀의 위치에 따라 진동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경사 제트에 의한 충돌면에서의 열전달 특성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n Impinging Surface by Oblique Jet)

  • 이창호;조형희;정학재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8년도 제11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28-28
    • /
    • 1998
  • 단일 충돌제트의 경우 충돌면에서의 열전달 효과는 제트 출구와 충돌면 사이의 간격, 노즐 형상에 따른 제트출구의 초기조건, Re$_{D}$수 변화와 충돌면의 형상이나 표면거칠기 등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수직 충돌제트의 경우 정체영역에서의 국소적인 열전달 향상은 용이하나 반경 방향으로 열전달이 점차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충돌면의 전반적인 열전달 향상을 위해서는 열전달이 정체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서 열전달 향상이 필요하다. 또한, 실제 적용시 충돌면의 형상이나 협소한 공간에서 노즐위치의 제약으로 인하여 충돌제트가 수직으로 분사되는 경우보다 경사진 제트가 더욱 많이 응용된다. 더욱이, 수직충돌제트가 사용되는 많은 상황에서도 주위의 다른 공기 흐름의 영향으로 인하여 실제 제트가 경사각을 갖고 분사되어진다 이러한 경사충돌제트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경사충돌제트에 대한 연구는 수직충돌제트에 대한 연구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져 왔다.

  • PDF

수치계산에 의한 2차원 초음속 노즐에서 압력비와 길이비에 따른 흐름 특성 (Computation of a Two-dimensional Nozzle Flow with the Variation of Pressure and Length Ratios)

  • 권순덕;김정수;최종욱;김성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81-286
    • /
    • 2007
  • 노즐 목과 출구의 면적비가 1.8인 소형 2차원 초음속 노즐에 대해서 Navier-Stokes 방정식을 수치계산으로 풀었다. 압력비와 노즐 확대부 길이를 변화시킨 경우에 대해서 해석하여 노즐 안과 출구 근처에서 충격파 구조를 살펴보았고 특히 노즐 목 근처에서 발생하는 불규칙한 압력 분포의 특성을 노즐 목 근처의 기하학적 모양에 근거해서 규명하였다. 각각 독립적으로 표준형 노즐에서 압력비를 변화시킨 경우와 압력비를 고정하고 확대부의 노즐 길이를 변화시킨 경우 사이에 서로 유사한 충격파 구조 변화가 관찰되었고 여기에서 한 개의 경사 충격파로 오인될 수 있는 서로 다른 경사 충격파에 의해 만들어지는 수직 충격파도 포착하였다.

경사면(傾斜面)에 충돌(衝突) 하는 수분류(水噴流)의 열전달(熱傳達)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Water Jet Impinging on Oblique Surface)

  • 최국광;나기대;김은영;전성택;이종수
    • 태양에너지
    • /
    • 제13권1호
    • /
    • pp.1-10
    • /
    • 1993
  • 하향(下向)의 축대칭자유분류(軸對稱自由噴流)가 등열유속(等熱流束) 조건(條件)의 경사전열면(傾斜傳熱面)에 충돌(衝突)하는 축대칭(軸對稱) 충돌수분류계(衝突水噴流系)를 구성(構成)하였다. 실험변수(實驗變數)로는 노즐-전열면간 거리(距離), 레이놀즈수, 무차원경사각(無次元傾斜角)으로 하였으며, 노즐-전열면간 거리의 범위는 $1.5{\sim}10.5$, 레이놀즈수의 범위(範圍)는 $1{\times}10^4{\sim}4{\times}10^4$, 무차원 경사각의 범위는 0.5, 0.67, 0.83, 1.00으로 하였다. 이와같은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에서 국소누셀트수는 $Re^{0.7}$에 비례(比例)하여 증가(增加)되었으며 또한 정체점(停滯點)으로부터 국소거리(局所距離)가 8배(培)되는 하향구배전열면(下向句配傳熱面)의 국소위치(局所位置)에 제2(第)의 극대(極大) 열전달(熱傳達) 현상(現像)이 나타났다. 국소누셀트수는 분류속도가 저속(低速)의 경우 전열면(傳熱面)의 경사각의 영향이 작게 나타나고 있으나, 고속영역(高速領域)이 됨에 따라 경사각의 영향이 증가(增加)되었으며, 특히 국소위치의 $X/D{\leq}4$는 벽면분류영역(壁面噴流領域)에서 경사각에 대한 영향이 명확(明確)하게 나타나고 있다. 정체점열전달(停滯點熱傳達)은 분류속도(噴流速度)와 노즐-전열면간 거리에 비례(比例)해서 증가(增加)되며 층류이론해(層流理論解)에 비(比)하여 최소(最少) 2.4배(培) 이상 높은 열전달효과(熱傳達效果)를 나타내었으며, 정체점(停滯點)누셀트수는 레이놀즈수, 프란틀수, 노즐-전열면간 거리 그리고 무차원(無次元) 경사각(傾斜角)을 포함(包含)하는 무차원(無次元) 실험식(實驗式)으로 나타내었다.

  • PDF

경사 평판에 충돌하는 초음속 과소팽창 제트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이택상;이정민;박종호;김윤곤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9년도 제13회 학술강연논문집
    • /
    • pp.32-32
    • /
    • 1999
  • 초음속 과소 팽창 제트가 경사진 평판에 충돌을 하게 되면 평판의 표면과 노즐출구에서 팽창된 자유제트(Free jet)와의 상호 간섭으로 인해 매우 복잡한 유동 구조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수직평판에서 발생되는 판 충격파(Plate shock)는 경사평판에서는 Upper plate shock, Lower plate shock, Intermediate plate shock과 같이 여러 형태로 발생되어 평판에서의 압력분포에 있어 수직일 경우와 다소 다른 경향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평판의 경사각을 변화시킬 때 평판 표면에서의 복잡한 유동 현상을 이해하는데 있다.

  • PDF

단일 경사열선을 이용한 원형노즐의 유동해석 (Analysis of the Flow of a Circular Nozzle using a slant Hot-Wire)

  • 정의준;오상한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7-23
    • /
    • 2009
  • The program using $C/C^{++}$ which could calculate 3-D velocities from data of the flowfield obtained by a slant hot-wire has been developed. The characteristic of the exit flowfield of a circular nozzle with a curved surface was investigated. From the result, the inward-flow was verified at adjacent layers near the boundary of the exit flowfield of a circular nozzle in Id and outward-flow was sensed gradually from down-flow of Id. Similarity of the nondimensional velocity profile properlly could be obtained except near Id and the virtual origin reasonably could be obtained.

팽창률이 일정한 초음속 노즐흐름에 있어서 비평형 응축이 경사충격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nequilibrium Condensation on an Oblique Shock Wave in a Supersonic Nozzle of Constant Expansion Rate)

  • 강창수;권순범;김병지;홍종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311-1319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작동유체로서 습증기와 거동이 유사한 습증기를 대기흡입식 간 헐 초음속 풍동을 이용하여, 팽창율이 일정한 노즐을 통하여 팽창시키는 경우에 대하 여 비평형 응축영역내 입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정체점 상태량의 변화에 기인되는 응 축 및 응축형격파가 경사형격파의 형상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의 관점으로부터 연구하였다.

깔때기 경사충격파를 고려한 환형 분사 초음속 이젝터 이론해석 (Theoretical Analysis of Annular Injection Supersonic Ejector with a Simple Funnel Shock Wave Model)

  • 김세훈;권세진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3-29
    • /
    • 2006
  • 환형 분사 초음속 이젝터에서는 초음속의 주유동이 벽면을 타고 분사되므로 주유동 노즐 출구(혼합 챔버 입구)에서 혼합챔버의 수축각에 의한 깔때기(funnel) 모양의 경사충격파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차원(Wedge) 경사충격파와 원뿔(Cone) 경사충격파를 이용하여 간단한 깔때기 경사충격파 모델링(Modeling)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모델링을 이용하여 기존의 이차원 경사충격파를 이용한 이론해석 보다 부유동 압력을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었다. 같은 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유량비에 대한 초음속 이젝터의 압축비와 단열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