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사출구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6 seconds

Comparison of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PS Pollutant Loads from Urban, Agricultural and Forestry Watersheds (유역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원 오염부하의 토지이용에 따른 특성 비교)

  • Yur, Joong-Hyun;Kim, Geon-Ha;Kim, Jeo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214-1218
    • /
    • 2005
  • 지금까지 국내에서의 수질개선을 위한 노력은 점오염원에 대한 저감만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보다 획기적인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비점오염에 대한 연구와 관리가 진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 농촌지역, 임야지역의 토지이용특성이 다른 3유역을 대상으로 현장연구를 실시하여 비점오염물질의 발생특성 및 유역별 비교를 실시하였다. 측정은 도시지역의 가장 큰 오염원인 CSOs(Combined Sewer Overflows)에 대하여 측정을 실시하였고, 농촌지역 및 임야지역의 경우 각 유역의 출구 지점에서 측정을 실시하였다. 강우특성이 다른 15개의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유량 및 SS, TCOD, TN, TP의 항목에 대하여 한 강우사상당 $15\~20$회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강우사상에 대하여 EMCs(Event Mean Concentrations)를 산출하여 도시지역, 농촌지역, 임야지역의 각 유역에 대한 확률별 EMCs를 산정한 결과 3개 유역의 EMCs는 도시지역>농촌지역>임야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EMC_{TCOD}$는 도시지역과 농촌임야지역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MC_{TN}$에서 가장 작은 차이가 나타났다. 각 유역별 EMCs의 로그-정규 확률그래프의 분산계수를 비교한 결과 농촌임야지역은 도시지역에 비하여 오염물질의 농도 변화가 강우특성에 따라 보다 큰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유역에서 $EMC_{TN}$의 발생확률 $50\% 값이 도시지역은 17.0mg/L, 농촌임야지역은 4.5mg/L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사한 유역특성을 나타내는 타 지역에서의 연구자료를 분석 값과 매우 유사한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를 분석하였다. 실험을 수행하여 보다 정밀한 공식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10,924m^3/s$ 및 $10,075m^3/s$로서 실험 I의 $2,757m^3/s$에 비해 통수능이 많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함을 알 수 있다. 상수관로 설계 기준에서는 관로내 수압을 $1.5\~4.0kg/cm^2$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6kg/cm^2$보다 과수압을 나타내는 경우가 $100\%$로 밸브를 개방하였을 때보다 $60\%,\;80\%$ 개방하였을 때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대상지역의 밸브 개폐는 $100\%$ 개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해

  • PDF

Numerical Analysis o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Ribbed Channels with Different Film Cooling Hole Position (필름 냉각을 위한 리브드 채널의 홀 위치에 따른 열전달 특성 수치 해석)

  • Park, Jee Min;Moon, Joo Hyun;Lee, Hyung Ju;Lee, Seong Hy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9
    • /
    • pp.69-76
    • /
    • 2018
  •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film hole position of 45 degree ribbed cooling channel on film cooling performance of gas turbine blades. We also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ribs under the fixed blowing ratio.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was constructed and extensive simul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commercial code (Fluent ver. 17.0) under steady-state condition. Base on the simulation results, We investigated the cooling effectiveness, flow velocity, streamline, and pressure coefficient. Moreover, We analyzed the effect of cooling hole position on ejection of the secondary flow caused by the rib structure.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internal flow of the cooling channel forms a vortex pair in the counterclockwise from the top side, and clockwise from the bottom side. For the channels with ribs, the vortex flow generated by the ribs caused a higher pressure difference near the hole outlet, resulting in at least 12% higher cooling effectiveness than the channel without ribs. Additionally, when the hole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ribbed channel (Rib-Left), it can be found that the secondary flow generated by the ribs hits against wall surface near the hole to form a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hole inclination angl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gion where the cooling gas discharged to the blade surface stays in the main flow boundary layer is wider than the other cases. In this case, The largest pressure coefficient difference was observed near the outlet of the hole, and as a result, the discharge of the cooling gas was accelerated and the cooling efficiency was slightly increased.

Flow Analysis of Urban Combined Sewer by Personal Computer (개인 전산기를 이용한 도시합류관거의 흐름해석)

  • Jun, Byung Ho;Lee, Hyung Gee;Koo, Ja Kong;Shin, Hang 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8 no.1
    • /
    • pp.127-140
    • /
    • 1988
  • The management of sewage and rainfall runoff becomes an emerging problem with the growth of urban communities. From the uncontrollable excess intensity or amount of rainfall, the conditions of sewer surcharge or manhole overflow could be generated in the combined sewer network where municipal or industrial wastewaters and rainfall runoff flow. The predictive model far the prevention of property and human life losses from this inundation was studied in this research. In the development of a mathematical flow model for the combined sewer surcharge and overflow, the Preissmann Slot concept and the four-point implicit method of finite difference were utilized. For the usage in personal computer, the overlapping segment method that required less memory storage was adopted. Through the simulation of hypothetical sewer network, the conservation of discharge volume was checked, and the usefulness of the Preissmann Slot was assured from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discharge and depth along the sewer network. Also the possible field application for the correction of sewer diameters and slopes in the design of sewer network which has no surcharge/overflow condition was suggested.

  • PDF

Greenhouse Cooling Using Air Duct and Integrated Fan and Pad System (일체형 팬 앤 패드 시스템과 에어 덕트를 이용한 온실 냉방)

  • Nam, Sang-Woon;Kim, Young-Shik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0 no.3
    • /
    • pp.176-181
    • /
    • 2011
  • The fan and pad evaporative cooling system is one of the main cooling methods in greenhouses. Its efficiency is very high, but it has some disadvantages as temperature gradient in greenhouse is larg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the internal temperature gradients in the fan and pad cooling greenhouses. Experiments on cooling performance were carried out in a greenhouse equipped with air duct and integrated fan and pad system as an idea of this study. It showed that the cooling efficiency of an integrated fan and pad system was 75.7% in the first stage and 88.6% in the second stage. When this cooling system was operated for an unshaded and a shaded greenhouse, there were cooling effects of $5.7\sim7.6^{\circ}C$ and $7.4\sim9.7^{\circ}C$ to the control greenhouse, respectively.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s in a cooling greenhouse, with a length of 18m, were $1.6\sim1.7^{\circ}C$ for shaded conditions and $2.3\sim2.7^{\circ}C$ for unshaded conditions. This greenhouse cooling method, with air duct and integrated fan and pad system, can reduce about 40~50% of the internal temperature gradients in the usual fan and pad cooling greenhouses.

A Study on the Effects of Various Disk Shape of Hydrant on the Pressure Drop (옥외소화전의 디스크 형상을 고려한 압력손실에 관한 연구)

  • You, Woo Jun;Shim, Myoung Gyu;Sung, Kun Hyuk;Yu, Jae Bum;Youm, Moon Cheon;Ryou, Hong-S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7 no.6
    • /
    • pp.1-7
    • /
    • 2013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various disk shapes of hydrant on the pressure drop are experimentally and numerically analyzed. The test methods for measuring pressure drop of hydrant are comply with standard of Underwriters Laboratory (UL). The hydrant as used in this study has one inlet, diameter 150 mm, and three outlet, 114.3 mm diameter for one outlet and 63.5 mm diameter for the others. The pressure of the hydrant are measured in the range 760 L/min~2,270 L/min for 63.5 mm outlet and 3,030 L/min~6,060 L/min for 114.3 mm outlet. Also, the numerical results of pressure drop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s to verify the accuracy and to analyze the of various valve shape of hydrant on the pressure drop. The engineering parameters, flow coefficients, are reduced from 181.57 to 136.35 ($L/min/kPa^{0.5}$) with inclined angle of disk from $0^{\circ}$ to $45^{\circ}$. These results are able to practical use for design hydrant to minimize pressure drop.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s of Tunnel Entrance and Areas Affected by Deforestation in the Forest in Korea (산림관통 터널 입출구부 위치와 훼손 면적의 관계)

  • Kim, Dong-Pil;Hong, Suk-Hwan;Choi, Song-Hyun;Lee, Sang-Cheol;Ahn, Mi-Ye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1 no.1
    • /
    • pp.104-111
    • /
    • 2017
  • The construction of road tunnels and bridges have delivered driving efficiency and stability based on developed engineering technology. Tunnels have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deforested area compared with other road construction methods. Since a tunnel is an underground passageway dug through the surrounding soil/earth/rock and enclosed except for the entrance and exit, commonly at each end, it does not cause a large amount of deforestation. This study surveyed the deforested areas at each end of the tunnel by the design of the tunnel entrance and exit and forest topography to minimize the amount of deforestation caused by road construction. A survey was done on a total of 150 tunnels (300 entrances and exits) on several main roads in Korea. The deforested area of each tunnel was collected by a breakdown of the entrance area and the upper area of the tunn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Kruskal-Wall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location of tunnels and the amount of deforestation by the topographical access type of the tunnels. The tunnel with 'facing orthogonal to incline' type access caused the smallest deforestation while the the tunnel with 'facing to valley' and 'parallel with incline' type accesses caused large deforestation during tunnel construction. Tunnel positioning in the light of topography can reduce the deforested area by up to 1.5ha at each tunnel.

Analysis of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antancheon Catchment 2016 (2016년 차탄천 유역의 수문특성 분석)

  • Kim, Do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37-441
    • /
    • 2017
  •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가 산지이고 하천경사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하여 홍수 관리에 매우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홍수기간의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는 인명과 재산의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최근은 기후변화로 인하여 극심한 홍수, 가뭄 등 재해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로 기후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재해 방재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중 대하천의 경우에는 비교적 수재해 방재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하천(일부 중하천 포함)의 경우에는 취약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특히 홍수기간(7월~9월)의 인명과 재산의 피해는 주로 소하천 위주로 발생하고 있으며, 사전 사후의 체계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수재해 방재관리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수문자료의 획득에 있으며, 그 이후 해당유역에 적합한 수재해 대응을 위한 체계적인 방법론과 방재시스템 개발 운영이 수반되어야 안전한 방재관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재해 방재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중 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 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차탄천 유역(유역면적 $190.64km^2$, 유로경사 0.96%, 경기도 연천군 소재)의 신뢰성 높은 2016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강우특성, 유출특성, 증발산량 등 수문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과거 관측결과와 비교하였다. 강우특성 분석으로는 호우사상 분리, 주요 호우사상 분석,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 시간분포 등이 있다. 2016년은 2015년보다 최대 강우지속기간은 적게, 평균 강우지속기간은 크게, 최대 강우강도와 평균 강우강도는 모두 적게 나타나는 호우의 특징을 보이나, 설마천 유역과 같이 50mm 이상의 호우사상수의 증가에 기인하여 연 총강우량 증가로 유출률이 증가하는 유출특성을 보인다. 2016년의 하천유출률은 강우량 대비 39.6%(장진교, 유역출구)와 58.9%(보막교, 중간 소유역)로 과거 2012년~2015년의 평균 유출률 48.9%와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2015년의 장진교 38.2%는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보막교의 38.3%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강우-유출특성 분석결과 강우량의 증가에 기인하여 2016년의 연간 하천유출량은 2015년보다 크게 증가 하였다. 그리고 2016년의 증발산량은 강우량 대비 장진교 50.1%, 보막교 35.4%로 2015년의 장진교 49.9%와 비슷한 값을 보이나, 2015년의 보막교는 54.9%로 약 19.5% 정도의 적은값을 보인다. 온도, 습도, 풍속, 일조시간에 영향을 받는 증발산량은 2015년보다 일평균 습도는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일평균 풍속의 증가, 일평균 기온과 일조시간의 감소에 기인하여 적은 증발산량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산정된 수문자료는 수재해 방재를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므로 지속적인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필요하다.

  • PDF

Analysis of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antancheon Catchment 2017 (2017년 차탄천 유역의 수문학적 특성 분석)

  • Kim, Do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41-345
    • /
    • 2018
  •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가 산지이고 하천경사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하여 홍수 관리에 매우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홍수기간의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는 인명과 재산의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최근은 기후변화로 인하여 극심한 홍수, 가뭄 등 재해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로 기후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재해 방재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중 대하천의 경우에는 비교적 수재해 방재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하천(일부 중하천 포함)의 경우에는 취약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특히 홍수기간(7월~9월)의 인명과 재산의 피해는 주로 소하천 위주로 발생하고 있으며, 사전 사후의 체계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수재해 방재관리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수문자료의 획득에 있으며, 그 이후 해당 유역에 적합한 수재해 대응을 위한 체계적인 방법론과 방재시스템 개발 운영이 수반되어야 안전한 방재관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재해 방재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중 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 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차탄천 유역(유역면적 $190.64km^2$, 유로경사 0.96%, 경기도 연천군 소재)의 신뢰성 높은 2017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강우특성, 유출특성, 증발산량 등 수문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과거 관측결과와 비교하였다. 강우특성 분석으로는 호우사상 분리, 주요 호우사상 분석,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 시간분포 등이 있다. 2017년은 2016년보다 최대 강우지속기간과 평균 강우지속기간은 크게, 최대 강우강도는 작게, 평균 강우강도는 크게 나타나는 호우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2017년의 하천유출률은 강우량 대비 53.1%(장진교, 유역출구)와 60.4%(보막교, 중간소유역)로 과거 5년간의 평균 유출률인 장진교(52.4%)와 4년간의 평균유출률인 보막교(58.8%)와 비슷한 값을 보인다. 강우유출특성 분석결과 연간 강우량은 다소 적었지만, 평균 강우강도의 증가에 기인하여 2017년의 연간 하천유출량은 2016년보다 장진교는 약 39.5%의 증가와 보막교는 약 2.9% 감소가 하였다. 수문학적 동질성 갖는 유역에서 하천유출량의 차이는 강우량 발생 시기(2016년의 경우는 10월에 215.7mm의 강우량 발생)와 토지이용(중 하류부 농경지 발달)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2017년의 증발산량은 강우량 대비 장진교는 38.4%, 보막교 35.1%로 2016년 장진교의 50.1%보다는 감소하고, 보막교의 35.4%와는 비슷한 값을 보인다. 온도, 습도, 풍속, 일조시간에 영향을 받는 증발산량은 2016년 대비 기온(일최고/일최저)의 감소(90.6%) 습도(일최대/일평균/일최저)의 감소(98.5%), 일평균 풍속의 감소(54.7%)에 기인하여 적은 증발산량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산정된 수문자료는 수재해 방재를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므로 지속적인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ubble Reduction System through Experimentation and Analysis (실험과 해석을 통한 기포저감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연구)

  • Sim, Woo-Bin;Yoo, Young-Cheol;Park, Sung-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3
    • /
    • pp.197-204
    • /
    • 2021
  • This study relates to a device that increases efficiency by reducing air bubbles in a hydraulic system used in hydraulic machinery. The reverse design and product production of the bubble reduction device, which is a commercial product overseas, was carried out. Overseas commercial products were set as the base model, a rotary rotor and an inclined rotor were added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fluid, and an annular equal distribution part with a slot in the lower part was additionally applied to distribute the fluid evenly. In addition, internal flow trends were analyzed and a system that evenly distributes the linear flow of fluid was selected as the first improvement model. Based on the first improvement model, a case where the angle of the inclined rotor is 45° was selected as the second improvement model.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setting the exit width of the annular equally distributed part as a variable, the bubble reduction efficiency was highest when the lower slot diameter of the annular part was 10mm. Finally, the system in which the average cross-sectional flow velocity decreased by 147% compared to the Base Model was derived as the final improved model.

Identification of unit hydrograph peak behavior according to changes in precipitation scale in a virtual watershed (가상 유역의 강수 규모 변화에 따른 단위유량도 첨두치의 거동 규명)

  • Yoo, Ju-Hwan;Kim, Joo-Cheo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10
    • /
    • pp.655-665
    • /
    • 2023
  • In this study, unit hydrographs are calculated when precipitations of 10 scales instantaneously occurs in a virtual watershed with a constant slope and roughness.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ak flow rate and the peak occurrence time of the unit hydrograph was calculated for the precipitation scale,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virtual watershed simplified with a rhombic shape, a constant slope, and a flow condition with a certain roughness was applied instead of a natural watersh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the precipitation scale has on the peak value of the unit hydrograph. And it was assumed that the precipitation in the basin was effective rainfall and the runoff was direct runoff, and the runoff flowed in a straight, uniform flow from the drop point to the outle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ak flow and the peak occurrence time of the unit hydrograph was calculated in the case of 10 types of precipitation scales of 10 mm, 40 mm, 90 mm, 160 mm, 250 mm, 360 mm, 640 mm, 1,000 mm, 1,210 mm, and 1,690 mm of effective precipitation. A noteworthy achievement of this study is that, even without the storage effect of the watershed, as the scale of precipitation increases, the depth of runoff increases, so the flow rate in the watershed increases and the distance per unit time increases, so the peak flow rate increases and the peak occurrence time increases. This is a nonlinear characteristic of watershed runo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