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사출구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8초

가스 파이프라인 내의 누출 현상이 출구 압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Leakage Effect on the Exit Pressure in a Gas Pipeline)

  • 장승용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7-3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가스 파이프라인 내의 누출 현상이 파이프라인 출구 압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경사진 지형적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보정된 Weymouth 식이 본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누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평관, 상향 및 하향 경사관 각각에서 누출 현상이 없을 경우와 누출 현상이 발생할 경우에 대하여 출구 압력과 입구 압력에 대한 출구 압력 비율을 비교하였다. 그 후, 누출 위치가 출구 압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도 모든 파이프라인 경사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경사 제트에 의한 충돌면에서의 열전달 특성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n Impinging Surface by Oblique Jet)

  • 이창호;조형희;정학재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8년도 제11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28-28
    • /
    • 1998
  • 단일 충돌제트의 경우 충돌면에서의 열전달 효과는 제트 출구와 충돌면 사이의 간격, 노즐 형상에 따른 제트출구의 초기조건, Re$_{D}$수 변화와 충돌면의 형상이나 표면거칠기 등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수직 충돌제트의 경우 정체영역에서의 국소적인 열전달 향상은 용이하나 반경 방향으로 열전달이 점차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충돌면의 전반적인 열전달 향상을 위해서는 열전달이 정체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서 열전달 향상이 필요하다. 또한, 실제 적용시 충돌면의 형상이나 협소한 공간에서 노즐위치의 제약으로 인하여 충돌제트가 수직으로 분사되는 경우보다 경사진 제트가 더욱 많이 응용된다. 더욱이, 수직충돌제트가 사용되는 많은 상황에서도 주위의 다른 공기 흐름의 영향으로 인하여 실제 제트가 경사각을 갖고 분사되어진다 이러한 경사충돌제트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경사충돌제트에 대한 연구는 수직충돌제트에 대한 연구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져 왔다.

  • PDF

관 경사출구에 부착된 플랜지가 소음방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flange attached to the inclined exit of tube on the noise radiation)

  • 백두산;양윤상;이동훈;이영균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4-137
    • /
    • 2014
  • The noise reduction performance of a passive facility is dependent on the its length or volume.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the larger the size of passive facility is, the better the noise reduction performance is. The sound directivity control has been proposed as an alternative for the noise reduction without a passive fac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lange attached to inclined exit of the tube and sound directivity when the sound radiates from the tube to the outside. As a result, the sound radiated from flanged tube had weak sound directivity in the wide angle. Also as the flange was bigger, the sound pressure level was lower in the behind the flange.

  • PDF

관 경사출구에 부착된 플랜지가 음향반사계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flange attached to the inclined exit of tube on the sound reflection coefficient)

  • 백두산;양윤상;이동훈;조재형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8-621
    • /
    • 2014
  •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reducing the noise radiated from the tube exit by controling the sound reflection coefficient at the inclined exit. The sound reflection coefficient at the inclined exit of flanged tube was measured by both transfer function method and standing wave ratio method. Accuracy on the sound reflection coefficient measured by transfer function method was ve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sound reflection coefficient measured by standing ratio method. The flanged tube had lower sound reflection coefficient than the tube which have no flange. Also the sound reflection coefficient was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increasing the inclined angle of unflanged tube.

  • PDF

하천제방의 세굴에 대한 안정성 연구 (The Stability Evaluation of River Embankment for a Piping Phenomenon)

  • 이송;박형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175-181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상향 침투시험기를 이용하여 3가지 시료에 대하여 상향 투수시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하여 한계속도, 한계동수경사, 투수계수 등을 산정하여 기존의 세굴 검토 방법에 대한 신뢰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세굴 설계인자에 대하여 FEM Program인 Plaxis를 이용하여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민감도 분석결과 제방 하부의 출구부 동수 경사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인자는 중심코어의 높이로 나타났다. 또한 제방의 구배와 뚝마루 폭이 중심코어의 높이 다음으로 세굴에 영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심코어의 뚝마루폭은 출구부의 동수경사 변화에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민감도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설계시 동수경사가 기준 동수경사보다 크게 나타날 경우 민감도 변화가 큰 설계인자를 변경하여 경제적이고 보다 손쉬운 출구부 동수경사 저감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비대칭 고속 쌍동선의 선미터널 출구영역의 경사각 변화에 따른 저항성능 및 항주자세 분석 (The Comparison on Resistance Performance and Running Attitude of Asymmetric Catamaran Changing Angle of Inclination of Tunnel Stern Exit Region)

  • 김상원;서광철;조대환;김병재;이경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2-2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선미 터널을 적용한 비대칭 고속 쌍동선을 수치해석 기법을 통해 선체의 유체동역학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선미터널 형상은 터널 출구 형상에 경사각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총 3가지 형상($0^{\circ}$, $3^{\circ}$, $6^{\circ}$)을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저항성능의 경우, 전 속도 구간에서 $0^{\circ}$ 경사각의 선미터널은 기존 대비 4.8-17.9%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3^{\circ}$$6^{\circ}$경사각을 가진 선미터널은 각각 기존대비 5-14%와 5-29%의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달리, 트림각의 경우, $0^{\circ}$경사각은 전 속도구간에서 기존선형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3^{\circ}$$6^{\circ}$경사각의 경우 각각 FnV=1.54이후에서 평형상태 유지 및 계속적인 감소 형태를 보였다. 이와 같은 형상은 터널 출구 영역에 경사각을 증가하는 것이 저항성능 측면에서 다소 악영향을 발생하지만 운항성능 측면에서는 기존대비 개선됨을 보여준다.

  • PDF

고속철도 터널에서 경사갱구 입구의 미기압파 저감성능에 관한 연구(I) (Experimental Study on the Slanted Portals for Reducing the Micro-pressure Waves in High-speed Train-tunnel System(I))

  • 김동현;신민호;한명식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3-10
    • /
    • 2000
  • 고속열차가 터널에 진입할 때 압축파가 터널 내부로 전파된다. 이 압축파와 연관된 터널출구 미기압파는 고속철도 열차-터널 인터페이스에서 발생되는 독특한 물리현상이다. 미기압파를 저감시키는 방법중에 터널 입 출구부에 공기역학적인 구조물을 사용하여 압축파의 시간에 대한 구배를 지연시키는 방법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터널주행 열차모형 시험기로 최적의 경사갱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경사갱구의 경사각도에 따른 시험을 통한 시험결과에서 터널 입구부에 $45^{\circ}$ 경사갱구를 적용했을 때 미기압파 최대 피크값이 19.2 %가 저감되었다. 터널 입 출입구 양쪽에 $45^{\circ}$ 경사갱구를 적용할 경우는 41.2% 저감되었다. 또한 터널 입 출입구 양쪽에 $30^{\circ}$ 경사갱구를 적용할 경우는 미기압파 최대 피크값이 34.6% 저감되었다.

  • PDF

경사 평판에 충돌하는 초음속 과소팽창 제트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이택상;이정민;박종호;김윤곤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9년도 제13회 학술강연논문집
    • /
    • pp.32-32
    • /
    • 1999
  • 초음속 과소 팽창 제트가 경사진 평판에 충돌을 하게 되면 평판의 표면과 노즐출구에서 팽창된 자유제트(Free jet)와의 상호 간섭으로 인해 매우 복잡한 유동 구조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수직평판에서 발생되는 판 충격파(Plate shock)는 경사평판에서는 Upper plate shock, Lower plate shock, Intermediate plate shock과 같이 여러 형태로 발생되어 평판에서의 압력분포에 있어 수직일 경우와 다소 다른 경향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평판의 경사각을 변화시킬 때 평판 표면에서의 복잡한 유동 현상을 이해하는데 있다.

  • PDF

상세 지형정보를 이용한 홍수도달시간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ng Time of Concentration using Topographical Data with Fine Spatial Resolution)

  • 김광섭;김종필;최규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91-1195
    • /
    • 2010
  • 도달시간 또는 집중시간이란 어떤 유역에 강우가 발생하였을 때 유역의 최상류부에서 내린 강우가 유역의 최하류부 출구점까지 도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유역출구점에서의 첨두홍수량은 도달시간만큼 지체되어 발생하고, 하천의 치수 시설물을 설계하는데 있어 기준이 되므로 정확한 홍수도달시간의 산정은 매우 중요한 과업 중 하나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Kirpich 공식, Rziha 공식, Kraven 공식, SCS(NRCS;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공식 등을 이용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한 후 그 유역에 적절한 것을 채택하는 방식으로 홍수도달시간을 산정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식들은 모두 유역의 지배적인 유로의 연장과 하도경사에 의해 결정되어 홍수의 이동특성을 물리적으로 반영할 수 없으며, 유역면적이나 하도 경사에 따라 적용성이 한정되어 있다. 또한 각 경험식들에 따라 산정된 도달시간은 경우에 따라 수십 배의 차이가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유역의 홍수도달시간을 산정하기 위하여 상세 지형정보를 이용하며, 임의의 격자점에 내린 강우의 흐름방향을 결정하고 인접 격자점에서 유입되는 홍수의 이동경로를 보다 물리적이고 현실적으로 모의하고자 하였다.

  • PDF

구멍가공 시 경사진 출구면에 발생한 버의 효율적 제거를 위한 디버링 공구의 공구경사각과 강성의 결정 (Determination of Rake Angle and Tool Stiffness to Efficiently Remove Drilling Burrs at the Inclined Exit Surface)

  • 배준경;신성근;권병찬;고성림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9
    • /
    • 2021
  • In machining operations, a burr is an undesirable material formed by plastic deformation in a workpiece. With the ongoing industrial developments, it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to efficiently remove burrs. Several deburr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remove specific burrs that require special machining. However, to remove burrs formed while machining at the CNC machining center, deburring tools must be developed. In a previous study, a new deburring tool was developed by the author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the rake angle and stiffness of the new deburring tool was analyzed to improve performance. The theoretical model was driven considering the rake angle and stiffness, an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validate the model. Especially, conditions based on the designed rake angle and stiffness to effectively remove burrs, which is difficult, at the exit surface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