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사계

Search Result 45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동시획득 T1/T2 강조 경사자장 펄스열을 이용한 근골격계에서의 종양 관류 영상: 예비보고

  • 허용민;서진석;김대용;김은주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2.11a
    • /
    • pp.137-137
    • /
    • 2002
  • 목적: 동시획득 T1/T2 강조 경사자장 펄스열을 이용하여 근골격계의 종양 관류 평가를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근골격계 양성 및 악성 종양을 대상으로 동시획득 T1/T2 강조 경사자장 펄스열을 이용하여 시간해상도를 1.2초로 하여 1000회(약20분)를 반복하여 역동적 영상을 얻는다. 각각의 TR/TE1/TE2는 10/2/8 msec이다. 각 시기에서 서로 다른 TE를 가지고 있는 두 개의 영상을 이용하여, 수학적으로 분리하여 T1과 T2 값을 얻고, 이를 시간에 따라 배열한다. 이를 통하여, T2의 경우에는 일차효과를 이용하여 조직관류량(tissue blood volume)을 측정하고, T1에서는 2구획모델을 이용하여 투과도(permeability)를 측정한다.

  • PDF

Design and Construction of Cylindrical Multi-Loop Z-gradient Coil for Linearity Improvement in MRI (핵자기공명영상에서 선형성의 증강을 위한 원통형 Multi-Loop Z-경사자기장 코일의 설계와 제작)

  • 이동훈;백승태;김송희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1 no.6
    • /
    • pp.583-589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핵자기공명영상의 고해상도를 이루고, 영상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선형성이 증가된 경사자기장 코일의 설계와 제작에 목적을 두었다. Maxwell pair를 이용하여 Z-경사자계의 선형성을 증강시키기 위해 코일의 기하학적인 형태의 이론적인 계산과 몇 가지 형태의 코일로부터 예상되는 자기장 및 경사자기장의 분포를 구현했다. 즉, 코일 축 방향의 자기장을 구면좌표계에서 전개하는 방법으로 Maxwell pair의 크기와 위치를 계산하고,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자기장 및 경사자기장의 2차원 분포를 그렸다. 더불어 이론적인 계산 결과와 함께 자기장의 2차원 분포를 토대로 실제 경사자기장 코일을 제작하였고 이를 0.15 Τ 핵자기공명영상기에 적용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기존의 방법에 따른 Maxwell pair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 코일지름의 40% DSV(diameter spherical volume)내에서 DSV의 5% 이내의 뒤틀림(distortion)을 갖는 선형성이 유지되었고, 새롭게 시도된 방법에 의한 경사자기장 코일의 경우는 코일지름의 70% DSV 내에서 DSV의 5% 이내의 뒤틀림을 갖는 선형성을 유지하였으며, 설계 제작된 경사자기장 코일과 RF-코일을 이용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경사자기장 코일의 선형성은 Maxwell pair 코일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았으며,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자기공명영상의 해상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onlinear Analysis of Skew Plates by $C^{\circ}$-Hierarchical Plate Element ($C^{\circ}$-계층적 평판요소에 의한 경사평판의 비선형 해석)

  • 우광성;허철구;박진환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4 no.1
    • /
    • pp.65-76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평판의 모서리 둔각이 135도까지를 갖는 재료적 비선형 경사평판을 해석하기 위해 C°-계층적 평판요소를 개발하는 것이다. 기하학적 변환을 통해 경사진 경계조건은 직각좌표계의 좌표변환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경계는 경사진 변 전체 또는 경사교량의 교좌위치와 관련된 몇 개의 선택지점만을 고려할 수 있게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경사교량의 교좌장치의 이동방향을 설명할 수 있도록 1차 전단변형을 갖는 Reissner/Mindlin 평판이론에 기초를 둔 5-자유도 경사평판요소가 정식화되었다. 한편, 평판의 극한내하력을 추정하기 위해 von-Mises 항복기준에 기초를 둔 소성유동법칙을 갖는 증분소성이론이 채택되었다. 또한, ADINA 소프트웨어에 의한 h-version 모델과 제안된 p-version 모델을 사용하여 경사각, 경계조건과 하중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해석결과는 이론값과 문헌에 보고된 수치해석값과 비교되었다. 자유도 수에 따른 정확도를 비교기준으로 한다면,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해석모델은 지금까지 개발된 가장 효율적 도구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 PDF

가스절연 개폐장치에서 전극 및 경사 유전율 고체 스페이서의 형상 변경

  • Ju, Heung-Jin;Go, Gw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230-230
    • /
    • 2009
  • 가스절연 개폐장치 (Gas Insulated Switchgear : GIS)의 고체 스페이서에 경사 기능성 재료 (Functionally Graded Material : FGM)가 적용될 때, 절연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FGM 스페이서가 적용된 GIS의 전극 및 스페이서의 형상을 변경하여 최대전계를 완화시켰다. 이를 위해 완전요인실험 (Full Factorial Design : FFD)과 결합된 반응표면법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RSM)의 최적화기법을 이용하여, 전극 및 스페이서의 최적 형상을 설계하였다.

  • PDF

A Slope Inclinometer based on MEMS Accelerometers (MEMS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경사도 측정장치)

  • Song, Ci-M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11a
    • /
    • pp.40-43
    • /
    • 2010
  • This paper deals with a new two dimensional clinometer based on dual axis micromachined accelerometers. The clinometer is a small and low-cost product, which is mainly developed to help golfers read easily the tilt of a putting green. First, this paper proposes the principle of two dimensional clinometer and also a calibration method with respect to the offset voltage and sensitivity of a accelerometer. Experimental results on the developed clinometer show that the proposed clinometer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tilt angle and direction of an inclined plane.

  • PDF

선박용 정밀 경사계 개발

  • Gwak, Min-Seok;Kim, Jeong-Sik;Jang, Yu-Sin;Kim, Gyeong-Gu;Park, Seok-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6a
    • /
    • pp.329-330
    • /
    • 2006
  • PDF

Analysis of Changes in the Algal Ecosystem of Sihwa Lake and Design of Sihwa-Ecosystem-Index (SEI) Based on Gradient Descent (시화호 조류 생태계의 변화 분석 및 경사 하강법을 이용한 시화호 환경 지수 고안)

  • Kim, Dong-hun;Jang, Ha-gyung;Lee, Gwan-wu;Jung, Gyeong-r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10a
    • /
    • pp.143-145
    • /
    • 2021
  • The Sihwa River was first planned to be a fresh water lake, but it failed due to serious environment pollution. During times of destruction and regeneration, changes of ecosystem of Sihwa River was visible, especially the algal ecosystem. It's because many seasonal birds pass through the place.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of algal ecosystem of Sihwa River based on eight ecosystem indices. Moreover, using gradient descent, COD is expressed has a function of three ecosystem indices selected from above which is newly defined as SEI, Sihwa Ecosystem Index. In conclusion, we can observe the current ecosystem more easily without its actual data, but only with informations of the ecosystem.

  • PDF

Prediction of Preceding Displacement of a Soil-Tunnel by Displacement Monitoring using Horizontal Inclinometer (수평경사계를 이용한 토사터널의 선행변위 예측)

  • Kim, Chu-Hwa;Chae, Young-Su;Park, Yeon-Ju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8 no.5
    • /
    • pp.355-365
    • /
    • 2008
  • Displacement caused by tunneling is difficult to predict since it is affected by many factors such as ground condition, excavation method and supplementary method of reinforcement. In this study, horizontal inclinometer was employed to monitor ground settlements above a tunnel face before and after the excavation. Monitoring results were analyzed to predict the preceding displacement and settlement of the surface structur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can be used to establish a proper counter measure which keeps the serviceability of the surface structur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onitoring result, ground properties of the site were deduced and the influence of the tunnel excavation on the settlement of the foundation above the tunnel is analyzed.

Camera Model for Surface Image Velocimeter (표면영상유속계를 위한 카메라 모형의 구성)

  • Lee, Han Seung;Yu, Kwonkyu;Hwang, Je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07-107
    • /
    • 2016
  • 표면영상유속계는 영상분석을 이용하여 홍수시 하천 수표면 유속을 측정하는 비접촉식 유속측정장치이다. 때문에 안전하고 편하게 홍수시 유속을 측정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영상과 실세계와의 좌표변환을 위한 참조점 측량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좌표 변환에 8-변수 사영변환을 이용할 경우 최소한 4개의 참조점이 필요하다. 그러나 홍수시 참조점 측량은 불가능에 가까우며, 홍수전후의 측량도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참조점을 이용하지 않고, 좌표변환 관계를 구성할 수 있는 카메라 모형(camera model)을 구성하였다. 여기서 카메라 모형은 실세계 좌표(world coordinates)를 영상좌표(image coordinates)로 변환해 주는 관계를 말한다. 이 카메라 모형에 필요한 외부 변수는 하천수표면과 카메라와의 높이 및 카메라의 두 가지 경사각뿐이다. 여기에 일반적인 카메라 보정에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한 카메라 내부 변수를 결합하면 된다. 이 모형은 표면영상유속계 장비로 스마트폰을 이용할 때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경사계만 부착하면 일반적인 CCTV나 캠코더를 이용할 때도 적용할 수 있다. 이 카메라 모형과 종래 사용하던 8-변수 사영변환에 의한 좌표변환관계를 비교한 결과 상호간 오차가 거의 없이 적용할 수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 표면영상유속계와 열영상 표면영상유속계에 적용한 결과 종전보다 훨씬 적용이 간편하며, 정확도 또한 거의 차이가 없이 적용할 수 있었다.

  • PDF

Horizontal Behaviour Characteristics for Single Drilled Shaft Embedded in Granite Gneiss (화장편마암에 근입된 단일현장타설말뚝의 수평거동특성)

  • Yea, Geu-Guwe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8 no.4
    • /
    • pp.493-499
    • /
    • 2008
  • In order to evaluate the latera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ingle drilled shaft embedded in granite gneiss, a lateral load test was conducted in field. Horizontal displacement according to lateral load were measured along with the depth by an inclinometer installed in the shaft. In this study, We have evaluated horizontal displacement characteristics comparing the measurement values with calculating results by theoretical formula. Based on the comparison, the Chang's method was similar with the measurement values even though it was slightly underestimated. However, the finite analysis method and p-y method was overestimated, especi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gr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