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북 포항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1초

자연재해(폭우 등) 피해 최소화를 위한 재난대응역량 강화 방안 (Measures to Strengthen Disaster Response Capacity to Minimize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heavy rain, etc.))

  • 최석찬;최종엽;정종수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3-274
    • /
    • 2022
  • 최근 불안정한 기후로 대규모 재해재난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인적·물적피해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단적인 예로 경북 포항 지하주차장 침수 피해 및 포항제철소 고로 3기 가동 중단은 기록적인 폭우와 만조와 겹친 냉천의 범람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하지만 사전에 충분한 예방, 대비를 했더라면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었을 것이다.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재난이나 그 밖의 각종 사고로부터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할 책무를 지고, 각종 사고를 예방하고 줄이기 위하여 노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재해경감을 위해 예방, 대비, 대응, 복구에 대한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경북 포항 침수피해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예방, 대비, 대응, 복구 차원에서 피해 최소화를 위한 재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개선하는데 있다.

  • PDF

KAPE, 축산 명인을 만나다 - 경북 포항 안덕목장 박남용 대표 매일 내 얼굴을 보며 자랍니다

  • 김대진
    • KAPE누리
    • /
    • 통권239호
    • /
    • pp.12-13
    • /
    • 2016
  • 예로부터 '곡식은 농부의 발소리를 듣고 자라며, 가축은 주인의 얼굴을 보고 자란다.'고 했다. 이곳 경상북도 포항시에는 매일 주인을 보며 자라는 소들이 있고, 그 옆에는 소를 사람처럼 생각하고 키우는 특별한 축산가가 있다. 전국 최고의 육우 개발과 낙농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 이어 경북대구낙농농협 조합장으로 지역 발전을 이끄는 <안덕목장>의 박남용 대표. 수십 년간 목장을 운영하며 육우시장을 개척하는 그에게 축산의 비결을 들어본다.

  • PDF

포스트 코로나 시대 지역거점항인 포항영일만항과 배후단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talization of the Pohang Yeongil Port and its hinterland in the post Covid-19 pandemic)

  • 곽동욱;이성우;김아롬;서영준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3-86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의 상황에서 포항 영일만항 및 배후지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적절한 전략을 찾기 위해 SWOT 분석과 결합된 Fuzzy-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전략적 우선순위 도출을 위해 적용하였다. SWOT 요인 중 약점 점과 위협 요인이 포항 영일만항 및 배후지역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세부적으로는 인프라 부족(W), 인접항만(T), 해상 네트워크 부족(W), 낮은 서비스 수준(W), 남북관계(T) 순으로 전략적 우선순위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포항 영일만항의 핵심 취약점과 위협을 극복하기 위한 몇 가지 전략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항만을 계획하는 국가에게 포항 영일만항이 처한 외부환경 및 산업요인의 중요도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세련된 항만정책을 계획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급이 수요를 창출할 것이란 사고에서 벗어나서 항만이 차별화를 통해 경쟁적 우위를 가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갈 필요성을 강조한다.

우리나라 자생수종 -모감주나무

  • 전승훈
    • 조경수
    • /
    • 제81권7_8호
    • /
    • pp.10-13
    • /
    • 2004
  • 중국 동북부와 일본 혼슈 및 한국에 주로 분포하는 동아시아종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해안가를 중심으로 전남 완도와 충남 안면도, 경기 백령도, 경남 등 도서지방과 경북 포항부근 등에 작은 집단을 이루며 분포하는 희귀식물이다. 과거에는 자생지가 잘 알려지지 않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안면도 모감주나무 군락에 대해 원산지 논란이 일기도 했었다.(중략)

  • PDF

도시형 산불 발생사례 조사

  • 구원회;신호준;백민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57-15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13년 3월 9일 경북포항에서 발생한 도시형산불사례 조사를 통해 시간별 조치 사항을 분석하고 대응 시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