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부절제

Search Result 16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Utility of Fibrin Sealant and Safety of Thyroid Surgery without Drainage (배액관을 삽입하지 않은 갑상선수술의 안전성과 섬유소응고제의 유용성)

  • Lee, Kyeng-Suk;Youn, Jin;Kim, Mun-Jun;Yang, Yun-Su;Hong, Ki-Hwan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8 no.1
    • /
    • pp.8-11
    • /
    • 2012
  • 배경 및 목적 : 섬유소 응고제(fibrin sealants)는 다양한 두경부수술에서 지혈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배액관을 삽입하지 않는 갑상선 수술에서 섬유소 응고제의 효용성과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최근 1년간 108명의 갑상선 수술환자 중에서 수술 후 배액관의 삽입없이 수술을 받은 1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 103명의 대상환자 중에서 남성은 16예, 여성은 87예였다. 대상환자의 평균연령은 $46.7{\pm}13.0$세였고, 연령분포는 17세에서 72세였다. 갑상선 종물의 평균크기는 $2.08{\pm}1.61cm$였고, 종물의 크기는 최소 0.2cm에서 최대 10.0cm까지의 분포를 보였다. 수술에는 갑상선 엽절제술이 5예, 갑상선반절제술이 41예, 아갑상선 절제술이 8예, 갑상선 전절제술이 6예, 갑상선 전절제술과 중심경부림프절 절제술이 37예, 갑상선 전절제술과 선택적경부림프절 절제술이 6예가 있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11예(10.6%)에서 발생하였고, 발생한 합병증으로는 장액성종창이 3예, 혈종이 1예, 일측성 성대마비가 3예, 저칼슘혈증이 4예 있었다. 성대마비는 수술 후 3개월 이내에 모두 호전되었고, 장액성 종창은 반복적인 세침흡인으로 호전되었다. 1예의 혈종은 지연성으로 발생하였고, 수술 후 5일째에 수술을 통해 제거하였다. 결론 :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갑상선 수술에서 섬유소 응고제의 사용은 다양한 갑상선 수술에서 효과적인 지혈과 함께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배액관의 삽입을 감소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nalysis of Intraoral Squamous Cell Carcinoma Reconstructed with Radial Forearm Flap (전완부 유리 피판으로 재건한 구강내 편평상피암환자의 예후분석)

  • Park Myong-Chul;Soutar David S.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10 no.1
    • /
    • pp.53-62
    • /
    • 1994
  • 미세외과 수술에 의한 유리 피판술의 도입은 두경부 종양제거후 재건에 괄목할 만한 진보를 가져왔다. 특히 광범위한 종양의 제거가 필요하며 인근의 조직으로 수복이 어렵고 기능 및 외모상의 재건이 문제가 되는 경우 유리 피판은 절대적인 적응이 된다. 구강은 언어구사 와 연하(deglutition)기능을 담당하므로 재건을 위해서는 얇고 부드러운 조직으로 수복하여 주어야 한다. 전완부 유리피판은 혈관경의 위치가 대부분 일정하고 종양 제거후 결손의 모양에 따라 피판을 계획할 수 있기 때문에 구강암 제거후 가장 많이 이용되는 유리피판이다. 저자는 1982년 부터 1988년까지 영국 글라스고우 소재 서부 스코틀랜드 성형 및 구강외과 병원에서 구강의 편평상피암환자로 암종제거 후, 전완부 피판에 의한 재건 및 방사선 치료를 받은 151명의 치료결과(재발율 및 생존율)를 분석하였다. 절제연의 종양조직의 양성(P<0.05), 경부 임파절의 extracapsular node spread여부(P<0.001), 경부 임파절 곽청술의 종류(P<0.05) 등은 재발율과 관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반면에 종양의 구강내 위치, 하악골의 침범여부등은 통계적의의가 없었다. 생존율에 관하여는 종양의 구강내 위치 (P<0.05), 종양절제연 종양여부(P<0.005), 하악골의 침범여부(P<0.05), 경부 임파절의 extracapsular node spread여부(P<0.001)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요소로 밝혀졌다. 젊은 나이의 환자들에서(50세이하) 특징적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하악골절제방법의 차이는 환자의 생존예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 PDF

A Case of Bilateral Tonsillar Cancer Discovered in Metastatic Carcinoma of Unknown Origin (원발미상의 경부 전이암에서 발견된 양측 편도암 1예)

  • Choi, Jeong-Seok;Lim, Jae-Yol;Han, Chang-Dok;Kim, Young-Mo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8 no.1
    • /
    • pp.16-18
    • /
    • 2012
  • Ipsilateral tonsillectomy and panendoscopy-guided biopsy following imaging studies are considered a standard procedure in the search for a primary origin in patients with cervical metastatic carcinoma of unknown origin(MUO). However, many authors recommended bilateral tonsillectomy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primary site of a MUO, because cervical metastasis may occur contralateral to tonsillar carcinoma. The authors attempted to address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using routine bilateral tonsillectomy to determine the primary site of MUOs based on a case report of cervical MUO that was finally diagnosed as a bilateral synchronous tonsillar carcinoma with cervical metastasis after a diagnostic work-up that included bilateral tonsillectomy.

경부기관절제 및 단단문합술

  • 김광문;홍원표;최홍식;조정일;최은창;김명상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5.04a
    • /
    • pp.90.1-90
    • /
    • 1995
  • 저자들은 최근 4년간 11례에서 기관절제 및 단단문합술을 사용하였기에 그 치료 결과를 살펴보고 치료적용의 범위를 넓혀보고자 한다. 대상은 후두-기관협착증 2례, 기관협착증 8례, 갑상선암 1례로 총 11례였으며 이중 3례에서 기관-식도누공이 동반되어 있었다. 술후 발거가 가능했던 경우는 8례였으며 발거가 불가능했던 경우는 술전에 이미 양측성대마비가 있던 경우 l례, 문합부위 아래에 새로운 협착 부위가 생겼던 1례, 기관 연골의 과도한 결손이 있었던 경우가 1례 있었다. 합병증으로 창상감염 1례, 육아조직 3례의 경우는 치료되었으며 양측성대마비가 있던 경우는 편측성대절제를 하여 관찰 중이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기관절제 및 단단문합술이 실패한 경우는 2례로 술전 동반질환의 정확한 검사 및 절제부위의 국소화, 수술시 문합부위의 장력을 최소화하여 시행한다면 합병증은 비교적 받아들일만 하며 비교적 성공율도 기대할 만한 술식으로 여겨졌다.

  • PDF

Trough방법에 의한 광범위 기관 협착의 치료

  • 김광현;변성완;문병권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5.04a
    • /
    • pp.89.2-89
    • /
    • 1995
  • 일반적으로 기관협착의 치료는 기관절재후 단단문합술로 가능하나 광범위한 기관협착이 발생하였을 때는 그 치료가 매우 어렵다. 이경우는 기도전벽을 개방하여 경부 피부와 기관연을 봉합하는 Trough를 형성한 뒤 이차적으로 연골이식이나 경부 피부를 이용한 피판을 만들어서 기관을 재건하는 Trough방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 때 이식되는 연골은 늑연골 이나 비중격 연골이며 측벽의 재건에는 늑연골이 좋고 전벽의 재건에는 점막이 붙어 있는 비중격 연골의 복합이식편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교실에서는 기관 절제 후 단단문합술이 불가능하였던 5명의 환자에서 Trough방법을 이용하여 기관 재건에 성공하였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Anastomotic Complications after Esophagectomy for Cancer of the Esophagus : A Comparison of Neck and Chest Anastomosis (식도암 수술후 문합부 합병증에 관한 연구 - 경부문합과 흉부문합 간의 비교-)

  • 이형렬;김진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2 no.9
    • /
    • pp.799-805
    • /
    • 1999
  • Background: Leakage, stricture formation, and tumor recurrence at the anastomotic site are serious problems after esophagectomy for cancer of the esophagus or cardia. The prevalence of thes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may be affected by whether an anastomosis is made in the neck or in the chest, therefore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anastomoses made at these two sites. Material and Method: Between 1987 and 1998, 36 patients with cancer of the esophagus underwent transthoracic esophagectomy with cervical(NA, n=20) or thoracic anastomosis(CA, n=16). The tumors were staged postoperatively(stage IIA, n=13; s tage IIB, n=7; stage III, n=16) and were located in the middle thoracic(n=22) or lower thoracic esophagus and cardia(n=14). Result: The overall operative mortality was 8.3%(5% for NA group, 12.5% for CA group). The anastomotic leak rate for the NA group was 15.0% and 12.5% for the CA group. The anastomotic leak rate differed according to the manual(27.3%) or stapled(8.0%) techniques(p < 0.05). The median proximal resection margins in the NA and CA groups were 9.6 cm and 5.8 cm, and the corresponding rates of anastomotic tumor recurrence were 5.3% and 28.6%(p < 0.05). The prevalence of benign stricture formation (defined as moderate/severe dysphagia) was higher in the NA group(36.8%) than in the CA group(21.4%). When an anastomosis was made by the stapled technique, smaller size of the staple increased the prevalence of stricture formation - 41.7% with 25-mm staple and 9.1% with 28-mm staple(p < 0.05). Conclusion: Wider resection margin could decrease the anastomotic tumor recurrence, and the stapled technique could decrease the anastomotic leak. The prevalence of benign stricture was higher in the cervical anastomosis but the anastomotic leak and smaller size(25-mm) of the staple should be considered as risk factors.

  • PDF

A CASE REPORT OF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ON SUBMANDIBULAR AREA (악하부에 발생한 결핵성 경부 임파선염)

  • Lee, Seung-Ho;Kim, Chang-Lyong;Park, Mun-Seong;Kim, Young-Woon;Jung, Soong-Ryong;Lee, Jong-Ho;Ryu, Sun-Youl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17 no.4
    • /
    • pp.456-461
    • /
    • 1995
  • Tuberculosis, a chronic infectious granulomatous disease, is presumed to be quite a rare entity.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chemotherapy and the improvement of nutritional conditions, incidence of tuberculosis have reduced. For these reasons, tuberculosis may be overlook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whenever dealing with a submandibular swelling. Diagnosis of tuberculous lymphadenitis consists of historical data, physical findings, laboratory tests and histologic examination. The treatment of choice seems to be surgical excision and long term antituberculosis chemotherapy. Surgery provides a rapid tissue diagnosis, because the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he excisional biopsy is the most reliable diagnostic test. This is the report of a case of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on left submandibular area with no evidence of the involvement of lung.

  • PDF

Results of Segmental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Trachea for Obstructive Tracheal Lesions (기관 폐쇄 병변에서 시행된 기관 절제 및 재건술에 대한 결과)

  • 김명천;박주철;조규석;유세영;김범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1 no.8
    • /
    • pp.792-798
    • /
    • 1998
  • Background: There are various tracheal diseseas which cause the obstruction of the trachea: postintubation tracheal stenosis, tracheal cancer, thyroid cancer, endotracheal tuberculosis, et al. Recently surgical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trachea has been adopted as the safe method for tracheal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We report our experience and results of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for various obstructive tracheal lesions in 38cases from 1985 to 1996. Length of resection of the trachea was up to 6 cm. Twenty lesions were approached by cervical collar incision, 12 lesions by cervicosternal incision and 4cases needed transthoracic approach. Surgical procedures consisted of resection and tracheotracheal anastomosis in 32 cases, resection and laryngotracheal anastomosis in 6cases and in addition laryngeal release was necessary to release anastomotic tension in 3cases. Results: The complications were 4 minor wound infections, 2 mild suture line granulomas, 1 vocal cord palsy, 2 pneumonias and 1 systemic candidiasis. Two patients who had poor consciousness and pnemonia and one who developed systemic candidiasis were expired after operation. Conclusion: We suggests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of trachea is optimal procedure for up to 6cm long tracheal lesions. However, for the patients with poor consciousness or poor general conditions would be the conservative treatment preferred to the tracheal reconstruction because of high serious complications and mortalities.

  • PDF

Clinical analysis of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경부 결핵성 임파선염의 임상적 고찰)

  • 김영민;송병찬;윤성철;박영민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3.05a
    • /
    • pp.107-107
    • /
    • 1993
  •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neck mass in Korea. But the diagnostic confirmation is difficult and it's effective treatment modalities are still in controversy. Through a retrospective study of 32 cases of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treated with surgical treatment during recent 4 years, we have analyzed 5 subtypes of CT finding and surgical treatment modalities and received following results 1. The locations of lymphadenitis were posterior triangle(12 cases), submandibular area(9 cases), supraclavicular area(8 cases), submental area(2 cases), and parotid area(1 case). 2. Five subtypes of CT findings were observed : Homogeneous enhancement type(3 cases), peripheral rim enhancement type(6 cases), peripheral rim enhancement with perinodal fat obliteration type(12 cases), coalescent cold abscess type(8 cases), and mixed type(3 cases). 3. Surgical treatment modalities : Excision (13 cases), incision and drainage(9 cases), selective neck dissection(8 cases), and curettage(2 ca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