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로교통량 구축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ath-Based Trip Assignment Model under Toll Imposition (통행료체계에서의 경로기반 통행배정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권용석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2000.02a
    • /
    • pp.3-22
    • /
    • 2000
  • 이용자의 경로선택 형태를 모사하는 통행배정모형 결과의 정확도는 교통계획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이용자의 경로선택 결정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은 통행시간과 통행요금이다. 그런데 통행요금은 이용자의 경로거리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부과되므로, 링크를 분석단위로 하는 기존의 통행배정모형은 현실적인 통행요금 반영이 힘들었고 또한 수요예측 결과를 이용한 다양한 분석에서 제약을 받아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경로교통량을 도출할 수 있는 경로기반 통행배정모형을 구축하였고, 또한 경로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현실적인 통행요금을 반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경로기반 배정모형에서는 GP(Gradient Projec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였고, 계산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K-최단경로 알고리즘 중 MPS(Minimal Path Search)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개발된 배정 모형은 현실적인 통행요금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통행배정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기존 배정모형에 비해 최적해로의 수렴속도도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배정모형은 경로교통량이 도출되고 통행요금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통행요금과 통행 거리 관계에 따른 목적함수의 규명과 그에 따른 효과척도를 계량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모형은 통행배정에서 실재상황을 보다 현실여건에 맞도록 규명할 수 있고, 기존의 제한적인 효과분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범위가 넓다. 또한 본 논문은 개발된 배정모형의 적용사례로서 고속도로 수요관리 요금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고속도로 통행요금 산정 방법은 이론적 근거가 미약했던 반면, 본 논문에서 개발된 배정모형과 고속도로 수요관리 요금체계 개선방안은 고속도로 통행료 결정에 대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분석방법을 제공하였다.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안1의 경우 교통량의 변화 및 화물통행의 시간가치의 증가시 사회적 편익이 오히려 감소하였고, 대안2와 3의 경우 사회적 편익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경부고속도로의 화물차량의 구성비에 따라 대안 1의 경우 오히려 화물차의 통행시간이 증가함에 그 원인이 있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하여 경부고속도로상의 화물전용차선의 설치시는 수답렬 교통량의 구성비와 구간 평균교통량에 의하여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물류비용 절감차원에서의 화물전용차선의 설치는 본 연구에서 나타낸 방법과 같이 수단간의 경제적 편익을 고려한 구간별 시간대별 효과분석을 통하여 정책의 시행여부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화물전용차선의 설치로 인한 물류비용의 절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종합류류 전산망의 시급한 구축과 함께 화물차의 적재율을 높이고 공차율을 낮출 수 있는 운송체계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라나 이러한 화물전용차선의 효과는 단기적인 치유책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물류유통 시설의 확충을 위한 사회간접자본의 구축을 서둘러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3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추공 내 물리검층과 정압주입시험에서도 확인된다.. It was resulted from increase of weight of single cocoon. "Manta"2.5ppm produced 22.2kg of co

  • PDF

Analysis of Diversion Rate using Expressway Traffic Data(FTMS, TCS): Focusing on Maesong~Balan IC at Seohaean Expressway (고속도로 교통데이터(FTMS, TCS)를 이용한 경로전환율 분석: 서해안고속도로 매송~발안 구간을 중심으로)

  • Ko, Han-Geom;Choi, Yoon-Hyuk;Oh, Young-Tae;Choi, Kee-Ch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0 no.3
    • /
    • pp.31-41
    • /
    • 2012
  • Due to growing interests in the distribution of traffic volume through information dissemination such as VMS and traffic broadcasting system, the research on the driver's reaction and effect of the traffic report has continued.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ology, which estimates the traffic volume of diversion and the consequential diversion rate using FTMS data and TCS data, and the estimation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highway and IC, in which real-time FTMS and TCS data are established. We also calculate the diversion rate of actual targeted sections and analyze the changes in time and spatial diversion rate. In this study, we define a deviation (considering a deviation due to dynamic properties of traffic conditions) found when the outflow traffic volume is temporarily higher than the average outflow traffic volume on a relevant time slot afte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The diverting volume is considered to be caused by the traffic information, and the study determines the ratio of traffic volume on highways to that of route diversion as the diversion rate. The analysis on changes in the diversion rate in accordance with the time flow, the initial change in the diversion rate on upstream IC that first acquires the report on the traffic congestion is significant. After that, the change in the diversion rate on upstream IC affects the route diversion on downstream IC with spatial and time flow, and this again leads the change in upstream IC. Thereby, we confirmed that there is a feedback-control circulation system in the route diversion.

Development of a Path-Based Trip Assignment Model under Toll Imposition (통행료체계에서의 경로기반 통행배정모형 개발)

  • 권용석;박창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6
    • /
    • pp.77-88
    • /
    • 2000
  • 이용자의 경로선택 형태를 모사하는 통행배정모형 결과의 정확도는 교통계획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이용자의 경로선택 결정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은 통행시간과 통행요금이다. 그런데 통행요금은 이용자의 경로 거리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부과되므로, 링크를 분석단위로 하는 기존의 통행배정모형은 현실적인 통행요금 반영이 힘들었고 또한 수요예측 결과를 이용한 다양한 분석에서 제약을 받아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경로교통량을 도출할 수 있는 경로기반 통행배정모형을 구축하였고, 또한 경로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현실적인 통행요금을 반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경로기반 배정모형에서는 GP(Gradient Projec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였고, 계산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K-최단경로 알고리즘 중 MPS(Minimal Path Search)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개발된 배정모형은 현실적인 통행요금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통행배정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기존 배정모형에 비해 최적해로의 수렴속도도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배정모형은 경로교통량이 도출되고 통행요금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통행요금과 통행거리 관계에 따른 목적함수의 규명과 그에 따른 효과척도를 계량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모형은 통행배정에서 실재상황을 보다 현실여건에 맞도록 규명할 수 있고, 기존의 제한적인 효과분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범위가 넓다.

  • PDF

A Dynamic OD Construction Methodology using Vehicle Trajectory in Ideal C&R Communication Environment (이상적 C&R 환경에서의 궤적자료를 이용한 동적 OD 구축에 관한 연구)

  • Lee, Jungwoo;Choi, Keechoo;Park, Sangwook;Son, Bum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3D
    • /
    • pp.355-361
    • /
    • 2011
  • In order to properly evaluate ITS services exposed in SMART Highway project, a confident dynamic origin-destination (OD) is inevitably needed. This paper used WAVE communication information as a part of call and response (C&R) communication which constitutes core part of the technology for constructing OD. This information includes node inform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e.g., latitude and longitude) as well as trajectory data and sample path volume date calculated using node inform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A procedure developed to construct a dynamic OD and to validate OD is consist of 1) making toy network and one-hour 00 (random distribution), 2) collecting link inform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3) constructing five-minute OD, and 4) validating estimated OD result using traffic volume and travel time simultaneously. The constructed OD is about 84.79% correct within less than 20% error range for 15min traffic volume, and about 85.42%, within less than 20% error rate of 15 min travel time. Som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agenda have also been discussed.

Analyzing Traffic Interactions in Seoul (서울 도심 도로의 상호 영향력 분석)

  • Kim, Jin-Kyu;Choi, Sung-Woon;Park, Seung-Hyun;Yoon, Sung-Roh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69-72
    • /
    • 2010
  • 교통량이 급속히 증대되어 감에 따라 도로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각 도로에서 측정된 교통량을 바탕으로 최적의 경로를 찾고자 하였다. 하지만 각 도로들의 교통량은 서로 연관이 되어있으며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 도심 내 16개 지점에서 측정한 교통량 시계열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도로 간 서로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각 도로 간 영향력은 Transfer entropy를 측정하여 계산하였으며, 본 분석을 통해 서울 도심 도로의 상호영향력을 바탕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었다.

  • PDF

Optimal Route Guidance System for Emergency Vehicles (응급차량을 위한 최적경로안내시스템)

  • Lee, Tae-Soo;Kim, Seong-Sam;Yoo, Hwan-Hee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11a
    • /
    • pp.111-116
    • /
    • 2002
  •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구축은 선진국이 1960년대 초 시작한 반면 1980년 이후 구축되기 시작하여 아직까지 미흡한 편이다. 사고 및 재해 발생시 응급환자에 대한 적절한 처치는 관련정보가 빠르게 전달되고, 적절하게 사용되어 응급환자로 하여금 지체시간내에 얼마나 적합한 응급의료서비스를 수혜토록 하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의료기관, 소방서 등 의료체계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현재의 응급의료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GIS를 이용하여 119구급차 등 응급차량이 가는 경로와 일반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응급경로탐색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교통요소, 좌회전, 우회전, 경유지, 시간대별 교통량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상태에 따른 병원을 찾도록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교통요소 및 병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보다 나은 환자이송에 최적경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arine Traffic Analysis System Based on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선박자동식별장치(AIS) 기반 해상교통량 조사.분석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논문)

  • Kim, Chang-Min;Jeong, Jae-Yong;Kim, Cheol-Seung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8.05a
    • /
    • pp.173-176
    • /
    • 2008
  • It is very important to protect life, property at sea and marine environments from any pollution AIS, which was been carried out July 1st, 2002 by SOLAS ch. 5, is an communication system to enhance navigational safety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vessel information automaticall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positive factors expected by introducing AIS. For this, ship's collision accidents were analyzed. Finally, we suggest methods to solve several problems related to operation in AIS.

  • PDF

Applications of Korean National Traffic DB in TRANSIMS (TRANSIMS에서 국가교통DB의 적용방안)

  • Kwon, Kee-Wook;Lee, Jong-Da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3 no.2
    • /
    • pp.29-40
    • /
    • 2010
  • Car simulation by TRANSIMS is able to rapidly analyze the broad area based on CA(Cellular Automata) theory, which is the great advantage compared to other existing programs. As the source code of TRANSIMS is open, it may be modified by incorporating the network and traff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uses the traffic thematic map built in the Korean National Traffic DB(KTDB) center among input date used for building network data of TRANSIMS. However, because the traffic thematic map is not composed as the type required by TRANSIMS, it was corrected and complemented to build a network, and the traffic volume at arterial roads and the traffic volume at each direction of the intersection was calculated through simulation for the area of Suseong-Gu, Daegu Metro. This was compared to the actual traffic volume.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it shows error from 14% to 42% at intersection, and from 3% to 8% at arterial roads. This result is very satisfactory because the entire traffic volume of Daegu Metro was not considered, and the tendency of drivers avoiding path due to construction on certain section, the status of road surface and chronic congestion was not reflected.

A Methodology of Path based User Equilibrium Assignment in the Signalized Urban Road Networks (도시부 도로 네트워크에서 교통신호제어와 결합된 경로기반 통행배정 모형 연구)

  • Han, Dong-Hee;Park, Jun-Hwan;Lee, Young-Ihn;Lim, Kang-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2
    • /
    • pp.89-100
    • /
    • 2008
  • In an urban network controlled by traffic signals, there is an interaction between the signal timing and the routes chosen by individual road users. This study develops a bi level programming model for traffic signal optimization in networks with path based traffic assignment. In the bi level programming model, genetic algorithm approach has been proposed to solve upper level problem for a signalized road network. Path based traffic assignment using column generation technique which is proposed by M.H. Xu, is applied at the lower-level. Genetic Algorithm provieds a feasible set of signal timings within specified lower and upper bounds signal timing variables and feeds into lower level problem. The performance of this model is investigated in numerical experiment in a sample network. In result, optimal signal settings and user equilibrium flows are made.

Predictive and Strategic VMS Control to Cope with Overreaction and Concentration Problem (VMS의 과도반응과 통행집중 문제를 고려한 예측적인 운영전략)

  • Park, Eun-M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4 s.75
    • /
    • pp.107-116
    • /
    • 2004
  • VMS를 통한 정보제공에는 과도반응과 통행집중의 위험부담이 따른다. 즉 대안경로간에 이루어져야 할 통행배분을 정확히 유도할 수 있는 VMS 메시지란 존재치 않는다. VMS 메시지에 의해 특정 경로가 교통상황이 타 경로에 비해 좋다고 정보가 주어질 때, 그 정보에 대한 과도반응과 그 특정경로에 대한 통행집중 문제가 발생하여 정보제공에 의해 오히려 상황이 악화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안경로간의 물리적 특성 측면에서 우열이 있는 가상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하여, 과도반응과 통행집중 문제를 극복하고 대안경로간의 적절한 통행배분을 달성하기 위한 VMS 운영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VMS정보제공 결과, 즉 VMS를 통해 상황이 좋다고 알려준 경로에 통행이 집중할 경우 문제가 될 것인가 여부를 미리 예측해 보고, 문제가 될 경우 정보제공 전략을 수정하도록 하는, 피드백 제어에 예측적 방식을 접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교통량, 속도 등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2. 실시간 제어에는 모니터링 결과와 이에 근거한 정보제공전략의 시행사이에는 시간차가 존재한다. 이러한 시간차이로 인하여 단기예측이 필요하고, 이를 수행하는 모듈이 있다. 3. 정보제공 결과로 특정 경로에 과부하가 걸리는지 여부를 예측하기 위하여, 그 판단기준으로 그 경로의 실제 용량 산정이 필요하다. 이에 혼잡의 시공간적 전개에 따라 변하는 동적 용량을 산정하는 모듈이 있다. 4. 대안 경로간 통행배분 목표치를 수리적으로 산정할 수는 있으나, 이를 자동적으로 이루어 주는 메시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아울러 현실적으로 예측 불가능한 외란을 모형에 의존하여 예측하기 보다는, 계속적인 피드백 레귤레이터(Regulator) 작동에 의해 보정하여 목표를 달성해 가는 자동제어 기능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