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량 콘크리트

검색결과 571건 처리시간 0.026초

굳지 않은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공기량, 유동성 및 블리딩 특성 (Air Content, Workability and Bleeding Characteristics of Fresh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 심재일;양근혁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559-566
    • /
    • 2010
  • 굳지 않은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경량굵은골재 최대크기와 천연모래 치환율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15배합의 경량골재 콘크리트가 배합되었다. 또한 굳지 않은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유동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량골재의 내부구조와 공극의 분포 및 시간에 따른 흡수 특성 등이 측정되었다. 실험 결과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초기 슬럼프는 천연 모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전경량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배합 후 30~60분 사이에 초기 슬럼프의 80%가 감소하였다.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공기량과 블리딩 량은 경량굵은골재 최대크기와 천연 모래 치환율에 중요한 영향을 받았다. 경험식인 ACI 211과 콘크리트표준시방서는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공기량을 과소평가 하였으며, 천연 모래 치환율의 감소할수록 그 과소평가 정도는 증가하였다. 이 연구에 의해 제안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공기량과 블리딩율에 대한 예측모델은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미세역학을 적용한 경량콘크리트 방호벽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 (Micromechanics-Based FE analysis of Lightweight Concrete Barrier)

  • 김봉래;양범주;전정희;이행기;곽종원;이정우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546-549
    • /
    • 2010
  • 현대사회에서 점차 경량콘크리트의 활용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이에 관한 연구실적은 아직까지 미비하다. 경량콘크리트는 그 특성상 가벼운 자중과 높은 에너지 흡수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방호벽에 적용 가능한 재료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경량 방호벽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경량콘크리트 방호벽의 거동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미세역학기반 경량콘크리트 모델을 상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BAQUS에 적용하여 경량콘크리트 압축공시체에 관한 해석을 선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손상변수를 통하여 실제 방호벽에 대한 정적 하중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 PDF

인공경량골재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구조용 경량콘크리트의 프레쉬 및 경화성상 (Fresh and Hardened Properties of Structural Lightweight Concrete accor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 신재경;최진만;정용;김양배;윤상천;지남용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377-380
    • /
    • 2008
  • 경량콘크리트는 자중을 경감할 수 있다는 특징을 활용하여 다양한 용도로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경량콘크리트의 성능은 사용된 경량골재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크게 좌우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부터 고강도 영역의 낮은 물결합재비까지의 콘크리트 배합범위를 대상으로 하여 국내외에서 제조 생산되고 있는 대표적인 구조용 인공경량골재 3종류의 품질 특성에 따른 경량콘크리트의 프레쉬 및 경화성상의 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 보통콘크리트에 비해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경우가 슬럼프 로스가 다소 큰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재령별 강도발현은 보통콘크리트에 비해 경량콘크리트가 다소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나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경량골재의 비조립형 및 조립형 골재에 따라서는 조립형 경량골재를 사용한 경우 비조립형 보다 양호한 콘크리트 성상을 나타냈으며 향후 철근부착 및 철근정착 등의 구조 부재성능 차원의 검토를 통해 판단될 필요가 있다.

  • PDF

고분자 기포제를 이용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개발(I) (Development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Using Polymer Foam Agent)

  • 변근주;송하원;박상순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65-172
    • /
    • 1997
  • 경량기포콘크리트란 시멘트슬러리 속에 미리 생성된 기포를 혼합시켜 양생시킴으로써 동일한 체적의 보통콘크리트보다 가볍게 만든 콘크리트를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분자기포제를 이용하여 초경량성과 타설에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하면서 소요강도를 갖는 최적의 선기포방식의 경량기포콘크리트를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실리카흄, 플라이애쉬 등의 혼화재와 산업부산물인 발포포리스티렌비드의 혼합으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개선시켜 기존의 선기포방식으로 제조된 경량기포콘크리트보다 유동성 , 경량성과 강도특성이 우수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여러 가지 배합인자에 따른 유동성 및 압축강도를 규명하였으며 최적 배합비를 도출하였다.

인공경량 콘크리트의 깊이에 따른 수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hrinkage Depend on Depth of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 이창수;림연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271-272
    • /
    • 2010
  • 본 논문은 경량콘크리트의 깊이에 따른 수축을 일반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경량콘크리트는 사전흡수수가 20%인 인공경량골재를 사용하였다. 물-결합재비가 30%일 때의 경량콘크리트는 일반콘크리트보다 단면의 평균 수축률은 감소하였지만 부등수축률은 다소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물-결합재비가 40&일 때는 경량콘크리트는 일반콘크리트보다 단면 평균 수축률, 부등수축률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량콘크리트 및 일반콘크리트의 수분관련 수축에 대한 다중물리모델 (Multi-physics Model of Moisture Related Shrinkage on Lightweight and Normal Concrete)

  • 이창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59-169
    • /
    • 2010
  • 경량골재 사전흡수에 의한 콘크리트 내 수분이동 변화와 수축 저감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콘크리트 및 경량콘크리트의 수분이동, 열전달, 변형률의 다중물리모델의 해석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동일 물-결합재비일 경우 경량 콘크리트와 일반 콘크리트와의 습도 변화 비교는 모두 경량 콘크리트가 일반 콘크리트보다 초기재령, 장기 재령 모두에서 작은 습도 감소를 나타내어 경량 골재 사전흡수수에 의한 수분 공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경량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수축변형률 크기 및 분포 모두 감소하였으며, 수축저감효과는 물-시멘트비 0.3에서는 초기재령에서, 물-시멘트비 0.5에서는 초기재령, 장기재령 모두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이동 및 변형률 해석과 모형실험을 통해 일련된 연구에서 도출한 수분이동 특성값과 습도, 수축 관련식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경량콘크리트의 부등수축해석에 적절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역해석으로 도출된 경량콘크리트의 파괴에너지 특성 분석 (Lightweight Concrete Fracture Energy Derived by Inverse Analysis)

  • 이경배;권민호;서현수;김진섭;조재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22-29
    • /
    • 2015
  • 현대의 구조물은 고층화,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보통중량 콘크리트는 강도에 비해 질량이 크기 때문에 구조물의 자중을 증가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추세에 맞는 콘크리트의 경량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콘크리트의 경량화 방법 중 하나가 경량골재를 사용한 경량골재 콘크리트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하여 구조용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경량골재의 품질에 따라 콘크리트의 물성 및 강도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보통골재와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를 제작하고 인장균열파괴실험을 통해 하중-CMOD곡선은 얻고, 이를 역해석하여 파괴에너지를 도출하였다.

경량골재의 입도 변화에 따른 경량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Concrete by Grain Size of Lightweight Aggregate)

  • 이수형;권춘우;공태웅;이한백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255-256
    • /
    • 2010
  • 콘크리트의 자중 과대라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중국경량골재의 경량콘크리트에 대한 적용성을 입도별로 검토하여 중국경량골재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참고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경량콘크리트와 GFRP 보강근의 부착 특성 (Bond Characteristic Between Lightweight Concrete and GFRP Bar)

  • 손병락;김명식;김충호;장희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12-121
    • /
    • 2013
  • FRP 보강근을 사용한 경량콘크리트 구조체는 부식방지 및 자중감소의 효과를 동시에 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서 추후 그 활용이 기대될 수 있다. 그러나 경량콘크리트와 FRP 보강근을 사용하여 보강근의 내부슬립 없이 외력에 저항할 수 있는 구조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경량콘크리트와 FRP 보강근 사이의 부착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그동안 보통콘크리트와 FRP 보강근 사이의 부착거동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가 있어 왔으나 경량콘크리트와 FRP 보강근 사이의 부착거동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연구결과가 대단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량콘크리트와 보강근 표면에 나선형태의 이형을 갖는 GFRP 보강근 사이의 부착특성을 조사하였다. 비교목적으로 보강근 종류, 콘크리트 종류, 경량콘크리트 강도종류의 실험변수를 고려하여 인발실험체들을 제작하고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분석 결과, 보통콘크리트와 철근을 사용한 실험체의 부착강도를 1.0으로 하였을 때 경량콘크리트와 나선형태의 이형을 갖는 GFRP 보강근을 사용한 실험체의 부착강도는 0.49로 나타났다.

경량 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Flexural Behavior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Beams)

  • 변은혁;조장세;이영학;김희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441-444
    • /
    • 2010
  • 대공간 구조물과 초고층 빌딩에 있어 건축물의 자중 감소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경량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최외단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에 따른 경량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 및 휨 성능을 평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크기와 형상이 동일한 보통중량 콘크리트 보 1개와 경량 콘크리트 보 4개의 총 5개 시험체를 제작하여 최외단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을 변수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순인장 변형률에 따른 경량콘크리트 보의 강도와 연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최외단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이 증가할수록 시험체의 연성비는 증가하였으며 최대하중과 강성은 감소하였다. 특히 순인장 변형률 0.005 이상에서 연성지수 2 이상을 확보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