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량콘크리트

검색결과 570건 처리시간 0.048초

GFRP bar를 휨보강근으로 사용한 경량골재콘크리트 슬래브의 거동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for the Behavior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Slab Reinforced with GFRP Bar)

  • 전상훈;손병락;김충호;장희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99-10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내부식성과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GFRP bar를 휨보강근으로 사용하는 경량골재콘크리트 슬래브를 고려하고 이 구조물에 대하여 기초적인 거동을 조사하였다. 경량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그리고 콘크리트 파괴에너지 측정, 일련의 슬래브 휨실험, 비선형유한요소해석을 통한 수치해석, 휨실험과 수치해석의 결과비교 등이 행하여졌다. 그 결과, GFRP bar를 휨보강근으로 사용한 경량콘크리트 슬래브는 기준시험체로 사용된 동일 규격의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 비하여 무게를 28%정도 감소시킬 수 있었지만 파괴하중은 36%정도 감소되었다. 이는 GFRP bar의 낮은 축강성과 경량콘크리트의 낮은 부착강도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경량콘크리트의 부착력 감소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GFRP bar와 콘크리트 경계면 사이에 계면요소를 사용한 수치해석 결과는 계면요소의 사용이 실험결과에 더 근접해갈 수 있는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경량 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Flexural Behavior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Beams)

  • 변은혁;조장세;이영학;김희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441-444
    • /
    • 2010
  • 대공간 구조물과 초고층 빌딩에 있어 건축물의 자중 감소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경량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최외단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에 따른 경량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 및 휨 성능을 평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크기와 형상이 동일한 보통중량 콘크리트 보 1개와 경량 콘크리트 보 4개의 총 5개 시험체를 제작하여 최외단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을 변수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순인장 변형률에 따른 경량콘크리트 보의 강도와 연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최외단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이 증가할수록 시험체의 연성비는 증가하였으며 최대하중과 강성은 감소하였다. 특히 순인장 변형률 0.005 이상에서 연성지수 2 이상을 확보할 수 있었다.

  • PDF

물-시멘트비 변화에 따른 경량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의 물리적 성질 (Phys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and Normal Weight Concretes due to Water-Cement Ratio Changes)

  • 이창수;김재남;림연;마문학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11-20
    • /
    • 2009
  • 천연골재 고갈과 환경파괴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과 경량콘크리트의 구조물 적용 실용화를 위해 폐기물 활용 인공경량골재를 이용하여 경량콘크리트를 제조하고, 물-결합재비에 따른 기본 물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과 경량골재의 사전 흡수수 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은 경량골재를 사전 흡수하여 적용할 경우 물-결합재비에 관계없이 일반콘크리트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량콘크리트의 경화 후 단위용적질량은 물-결합재비, 건조 조건, 철근고려에 따라 1,668${\sim}$1,998 $kg/m^3$의 범위로서 일반콘크리트에 비해 14.6${\sim}$21.0% 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경량골재 사전 흡수수는 물-결합재비에 따라 상이한 증발수량을 나타내었으며, 물-결합재비가 낮을수록 노건조 증발수가 커져 내부양생수로서의 역할 가능성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동일 물-시멘트비에서 경량콘크리트는 일반콘크리트에 비하여 골재의 강도차이로 인해 낮은 강도를 나타내며, 기건 양생 시 일반콘크리트의 경우 물-시멘트비 0.3은 물-시멘트비 0.4, 0.5에 비해 강도 증진 효과가 감소하지만, 경량콘크리트의 경우 물-결합재비가 낮을수록 강도 증진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분자 기포제를 이용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개발(I) (Development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Using Polymer Foam Agent)

  • 변근주;송하원;박상순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65-172
    • /
    • 1997
  • 경량기포콘크리트란 시멘트슬러리 속에 미리 생성된 기포를 혼합시켜 양생시킴으로써 동일한 체적의 보통콘크리트보다 가볍게 만든 콘크리트를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분자기포제를 이용하여 초경량성과 타설에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하면서 소요강도를 갖는 최적의 선기포방식의 경량기포콘크리트를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실리카흄, 플라이애쉬 등의 혼화재와 산업부산물인 발포포리스티렌비드의 혼합으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개선시켜 기존의 선기포방식으로 제조된 경량기포콘크리트보다 유동성 , 경량성과 강도특성이 우수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여러 가지 배합인자에 따른 유동성 및 압축강도를 규명하였으며 최적 배합비를 도출하였다.

역해석으로 도출된 경량콘크리트의 파괴에너지 특성 분석 (Lightweight Concrete Fracture Energy Derived by Inverse Analysis)

  • 이경배;권민호;서현수;김진섭;조재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22-29
    • /
    • 2015
  • 현대의 구조물은 고층화,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보통중량 콘크리트는 강도에 비해 질량이 크기 때문에 구조물의 자중을 증가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추세에 맞는 콘크리트의 경량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콘크리트의 경량화 방법 중 하나가 경량골재를 사용한 경량골재 콘크리트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하여 구조용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경량골재의 품질에 따라 콘크리트의 물성 및 강도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보통골재와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를 제작하고 인장균열파괴실험을 통해 하중-CMOD곡선은 얻고, 이를 역해석하여 파괴에너지를 도출하였다.

경량콘크리트 연속보의 전단내력에 대한 골재크기의 영향 (Effect of Aggregate Size on the Shear Capacity of Lightweight Concrete Continuous Beams)

  • 양근혁;문주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669-677
    • /
    • 2009
  • 철근콘크리트 연속 보의 전단거동에 대한 골재 최대직경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24개의 실험체가 실험되었다. 전경량, 모래경량 및 보통중량콘크리트 보에서 최대 골재직경은 4 mm에서 19 mm로 변하였으며, 전단경간비는 2.5와 0.6으로 있었다. 보통중량콘크리트 보의 무차원 최대전단내력에 대한 동일조건의 경량콘크리트 보의 무차원 최대 전단내력의 비가 ACI 318-05에서 제시하는 수정계수와 비교되었다. 파괴면에 대한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경량콘크리트보의 파괴면은 주로 골재를 관통하지만 파괴되지 않은 경량골재들도 다수 발견되었는데, 이는 경량콘크리트 보의 전단거동 향상에 기여하였다. 이로 인해 경량콘크리트 연속 보의 최대전단내력은 골재 최대직경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는데, 그 증가기울기는 보통중량콘크리트 연속보에 비해 낮았다. ACI 318-05에서 제시하는 수정계수는 경량콘크리트 연속 보에서는 다소 불안전측에 있었는데, 그 불안전측은 최대 골재직경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또한 ACI 318-05의 전단규정에 대한 안전성은 보통중량콘크리트 보에 비해 경량콘크리트 보에서 낮았다.

SBR Latex를 이용한 폴리머 개질 경량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olymer-modified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Using SBR Latex)

  • 안남식;원동민;박노현;김희철;김관수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61-72
    • /
    • 2009
  • 건축물이 고층화 및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구조물 및 빌딩의 자중을 줄이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물 의 자중을 줄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경량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량콘크리트의 단점인 강도를 보완하기 위하여 폴리머를 첨가하였으며, 폴리머 개질 경량콘크리트의 적절한 배합비율을 도출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경화콘크리트 시험을 통하여 폴리머 개질 경량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소량의 폴리머 첨가로도 휨강도가 증가하였으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통한 압축강도 추정식을 제시하였다.

  • PDF

인공경량골재의 입도에 따른 고강도 경량콘크리트의 강도변화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Strength Variations of High-strength Lightweight Concrete According to Grain-size of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 김성칠;박기찬;최형욱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209-217
    • /
    • 2011
  • 최근 구조물들이 대형화됨으로써 보통 콘크리트를 사용할 경우 강도 및 내구성에 비하여 중량이 크다는 결점으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의 안정에 제약을 주게 된다. 이러한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자중이 작고 강도가 큰 경량콘크리트가 요구되나, 국내에서는 실용화를 위한 연구가 아직 미비한 실정에 있다. 일반적으로 고온에서 소성시켜 제조된 인공골재는 골재가 팽창되어 내부에 무수한 기포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골재의 크기에 따라 이들의 기포가 경량콘크리트 비중과 강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화력발전소 폐기물과 점토를 고온에서 소성, 팽창시켜 만든 인공경량골재의 입도별 배합설계를 실시하고 실험을 통하여 경량콘크리트의 비중 및 강도변화를 비교 고찰했다. 또한 경량콘크리트의 고강도 발현을 위한 인공경량골재의 최적 입도비를 제안하였다.

경량잔골재 치환율에 따른 경량콘크리트의 슬럼프 손실과 압축강도 (Slump Loss and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weight Concrete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Level of Lightweight Fine Aggregate)

  • 심재일;양근혁;이재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227-228
    • /
    • 2010
  • 경량콘크리트의 유동성과 압축강도에 대한 경량잔골재 치환율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경량잔골재치환율을 주요변수로 5배합의 경량콘크리트가 배합되었다. 실험결과 경량잔골재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슬럼프 손실 기울기는 증가하였으며, 압축강도 발현율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 PDF

경량골재를 사용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건조수축률 예측 (The prediction for drying shrinkage of self-consolidating concrete using lightweight aggregate)

  • 김용직;최연왕;김영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341-344
    • /
    • 2008
  • 경량콘크리트는 구조물의 자중을 줄일 수 있는 장점 때문에 부재단면의 축소 및 시공의 간편화를 이룰 수 있어 장경간 교량 및 초고층 건물 등에 적용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경량콘크리트는 재료 자체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일반콘크리트와는 다른 배합설계 방법이 필요하다. 경량콘크리트를 일반콘크리트의 배합설계 방법으로 제조할 경우 골재의 경량화에 따른 재료분리 및 강도저하 현상이 우려된다. 경량콘크리트 제조시 발생하는 재료분리 및 강도저하 현상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자기충전콘크리트의 배합설계 방법을 이용하였다. 경량골재를 사용한 자기충전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인 압축강도, 기건 밀도 및 비강도를 계산하여 검토하였으며, 건조수축률예측은 ACI committee 209에서 제시된 식을 이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