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and Normal Weight Concretes due to Water-Cement Ratio Changes

물-시멘트비 변화에 따른 경량콘크리트와 일반콘크리트의 물리적 성질

  • 이창수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김재남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림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마문학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By using the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for the natural aggregate depletes and destruction of environment and the application of lightweight concrete in structure, the lightweight concrete is manufactured.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by the waterbinder ratio was evaluated. It is suggested the method to control of pre-absorbed water of the lightweight aggregate. Lightweight concrete with pre-absorbed aggregate has similar characteristics compared to normal weight concrete regardless of water-binder ratio. According to the water-binder ratio, the drying condition, and the rebar, the unit mass of the lightweight concrete showed the reduction of 14.6${\sim}$21.0% as the range of 1,668${\sim}$1,998 $kg/m^3$ in comparison to the normal weight concrete. The lightweight aggregate pre-absorbed water showed the deferent evaporation quantity according to the water-binder ratio. As the water-binder ratio is lower, the oven dry vapour water is larger, therefore the internal curing water is increasing. In the same water-binder, comparing the normal concrete the lightweight concrete shows lower compressive strength which is due to the different strength of an aggregate. In the air dry curing, the normal weight concrete has a lower strength improvement effect in w/c 0.3 than the ratio 0.4 and 0.5. However, the strength improvement effect has increasing as the water-binder ratio was low in the light concrete.

천연골재 고갈과 환경파괴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과 경량콘크리트의 구조물 적용 실용화를 위해 폐기물 활용 인공경량골재를 이용하여 경량콘크리트를 제조하고, 물-결합재비에 따른 기본 물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과 경량골재의 사전 흡수수 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은 경량골재를 사전 흡수하여 적용할 경우 물-결합재비에 관계없이 일반콘크리트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량콘크리트의 경화 후 단위용적질량은 물-결합재비, 건조 조건, 철근고려에 따라 1,668${\sim}$1,998 $kg/m^3$의 범위로서 일반콘크리트에 비해 14.6${\sim}$21.0% 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경량골재 사전 흡수수는 물-결합재비에 따라 상이한 증발수량을 나타내었으며, 물-결합재비가 낮을수록 노건조 증발수가 커져 내부양생수로서의 역할 가능성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동일 물-시멘트비에서 경량콘크리트는 일반콘크리트에 비하여 골재의 강도차이로 인해 낮은 강도를 나타내며, 기건 양생 시 일반콘크리트의 경우 물-시멘트비 0.3은 물-시멘트비 0.4, 0.5에 비해 강도 증진 효과가 감소하지만, 경량콘크리트의 경우 물-결합재비가 낮을수록 강도 증진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2a) 콘크리트 교량의 내구성 향상기술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 건설교통부 (2002b) 고강도 콘크리트 시공 및 품질관리 지침작성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3. 건설교통부 (2005a) 구조용 재생골재 및 재생골재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기안정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 건설교통부 (2005b) 대체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고품질화 기술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5. 윤성민 (2006) 해외 건설폐기물 처리현황과 순환골재 재활용 사례. 국토연구원 건설경제, 제50권, pp. 90-103
  6. 이창수, 윤인석, 이규동, 박종혁 (2002a) 하수암거용 고내구성 콘크리트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6-A호, pp. 133-141
  7. 이창수, 윤인석, 이규동, 박종혁 (2002b) 내구수명 증진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표면처리공법 개발. 한국구조물진단학회논문집, 한국구조물집단학회, 제6권 제2호, pp. 77-84
  8. Nevile, A. Aitcin, P.C. (1998) High-Performance Concrete-an Overview. Materials and Structures, Vol. 31, pp. 111-117 https://doi.org/10.1007/BF02486473
  9. Nevile, A.M. (1998) Properties of Concrete. John Wiley & Sons Inc., 4th Ed
  10. NISTIR 6295 (1999) Curing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 Report of the State of the art. Unite State Department of Commerce Technology Administration
  11. Sarah, J.G. (2008) Evaluation of Lightweight Concrete Mixtures for Bridge Deck and Prestressed Bridge Girder Applications, Master Thesis, Kansas State University
  12. Thatcher, D.B. et al (2002) Structural Lightweight Concrete Prestressed Girder and Panels. Research Report 1852-1, Center for Transportation Research,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