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두개 방사선사진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3초

악관절 내장증 평가 시 경두개 방사선사진의 임상적 유용성: MRI와의 비교연구 (The validity of transcranial radiography in diagnosis of internal derangement)

  • 이인송;안석준;김태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6-144
    • /
    • 2006
  • 본 연구는 표준 경두개 방사선사진에서 나타나는 하악두/관절와의 위치 관계 및 형태 특징과 MRI에서 관찰되는 관절원판의 변위 여부를 비교함으로써 측두하악관절 내장증 평가 시 경두개 방사선사진의 임상적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성인 환자 76명(남자 26명, 여자 50명)의 113개 악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MRI 자료를 기초로 하여 각 악관절을 정상군,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군,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최대 감합시의 경두개 방사선사진에서 관절와와 하악두 간의 전방, 후방 및 상방 직선 거리를 계측하여 상대적 위치 평가를 하고 형태적 특징을 판별하기 위해 악관절 경부와 두부간의 각도를 계측하였다. 또한 각 군에 따라 경두개 방사선 계측항목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과 다중비교분석을 시행하였다. 표준 경두개 방사선사진에서 나타나는 관절와와 하악두의 위치 관계는 관절원판 변위 여부 및 진행 정도와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하악측두관절 경부와 하악두가 이루는 각도는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군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이는 하악두각이 악관절 내장증의 진행에 따른 악관절의 구조적인 경조직 변화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으나 이것에만 근거하여 관절원판 변위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근거가 미약하다.

악관절의 경두개 방사선사진에서 하악과두위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MANDIBULAR CONDYLE POSITION IN TMJ TRANSCRANIAL RADIOGRAPH)

  • 도정주;김은경
    • 치과방사선
    • /
    • 제22권1호
    • /
    • pp.67-75
    • /
    • 1992
  • Transcranial radiograph is widely used in the diagnosis of craniomandibular disorder because it can be used by the dentist with relative ease in spite of image distortion. But correct information can be obtained only when one know the image change by projection angulation. The author compared the condyle position in the 3 groups of transcranial radiographs (horizontal angulation - 0°, 5°, individualized) with that in the individualized corrected lateral tomogram by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 metho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mong 3 transcranial groups, the condyle position in individualized group showed the highest concordance rate with that in the tomogram group in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 methods. 2.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individualized transcranial group and tomogram group in objective evaluation method was highest (P≤0.01). 3. Image clarity in individualized transcranial group was worse than that of the other two transcranial groups.

  • PDF

파노라마 및 경두개 방사선사진에서 하악과두의 조사각도 (Projection angles of mandibular condyles in panoramic and transcranial radiographs)

  • 나경수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6권3호
    • /
    • pp.131-135
    • /
    • 2006
  • Purpose : To evaluate the true projection angles of film-side mandibular condyles in panoramic and transcranial radiographs. Materials and Methods : 52 panoramic and transcranial radiographs of 4 condyles from two human dry mandibles with gradual horizontal and vertical angle changes were taken.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standard panoramic and transcranial radiographs and the identical pairs were selected. Results and Conclusion : Panoramic radiography projected 10 degrees to the film-sided condyles bo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ranscranial radiography projected 15 degrees to the film-sided condyles vertically. The medial and lateral poles were not forming the outline of condylar images in both projections when the horizontal angles of condyles were not sufficiently big enough.

  • PDF

측두하악골관절염 환자의 보존적 치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serv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TMJ)

  • 손대은;옥승준;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2호
    • /
    • pp.227-239
    • /
    • 2007
  • 1994년부터 2006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하여 측두하악골관절염으로 진단받고 보존적 치료를 받은 환자 101명과 저작근장애로 진단받고 보존적 치료를 받은 환자 74명의 진료기록부를 통해 초진 시와 치료 종결 시의 증상, 시행된 치료방법, 치료기간, 치료횟수에 따른 치료 결과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측두하악골관절염 환자의 초진 시 방사선 사진, 전산화 단층사진 및 단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사진의 양성도, 관절잡음의 치료 전후 변화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관절염군은 보존적 치료에 의해서 치료 결과가 좋았으나, 치료 종결 시 근육장애군에 비해서 증상의 개선이 미흡하였다. 2. 골관절염군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과 경두개 촬영사진의 양성도는 60%정도였으나, 전산화 단층사진과 단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사진의 양성도는 90%이상이었다. 3. 치료 종결 시의 골관절염군의 관절잡음은 초진 시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골관절염군은 대부분 물리치료, 투약, 교합안정장치로, 근육장애군은 대부분 물리치료, 투약으로 증상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5. 골관절염군은 6개월에서 2년의, 근육장애군은 6개월 미만의 치료가 필요하였다. 6. 골관절염군은 10회 이상으로, 근육장애군은 10회 미만의 치료로도 예후가 좋았다.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 환자의 진단에서 단층촬영과 골스캔 검사의 유용성에 대한 예비연구 (A Pilot Study on the Usefulness of Tomography and Bone Scan in Diagnosis of Patients with TMJ Osteoarthritis)

  • 김철;김영준;문지회;박문수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2호
    • /
    • pp.125-133
    • /
    • 2012
  •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은 관절조직에 가해지는 과부하에 의해 관절면과 하부 골조직에서 일련의 퇴행성과정과 함께 관절부의 국소적 압통, 하악운동에 의한 관절의 염발음, 하악의 운동범위 제한, 심한 경우에는 과두지지가 없어져 구치부 과다접촉과 전치부 개교합이 나타날 수 있는 퇴행성질환이다. 일반적으로는 임상검사 후 파노라마방사선사진, 측두하악관절 파노라마, 경두개방사선사진을 촬영한 뒤 진단하게 되는데 이들 일반적인 방사선사진들은 질환 초기의 미세한 골변화를 평가하는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방사선학적 검사에서 골조직의 퇴행성변화가 의심되어 확진을 위해 단층촬영 및 골스캔 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영상의학적 검사소견들 간의 일치도와 임상소견과의 관계를 평가하여 골관절염의 진단에서 이들 다양한 검사법들의 한계와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 향후 추가연구를 위한 예비자료를 얻기위해 시행하였다. 골관절염의 진단에서 일반방사선사진과 단층촬영, 골스캔 검사의 결과 일치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지만 위음성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임상검사소견에 따른 단계적인 영상의학적 검사 시행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경두개방사선사진과 측방 개별화 단층방사선사진을 이용한 하악과두의 형태와 위치에 관한 연구 (A RADIOGRAPHIC STUDY OF MANDIBULAR CONDYLE SHAPE AND POSITION: A COMPARISON OF TRANSCRANIAL RADIOGRAMS AND INDIVIDUALIZED CORRECTED TOMOGRAMS)

  • 이상래;황의환
    • 치과방사선
    • /
    • 제27권1호
    • /
    • pp.25-41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mandibular condyle shape and position in an asymptomatic population.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142 temporomandibular joints in 71 adults(35 males, 36 females), who were asymptomatic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nd had no history of prosthodontic or orthodontic treatments, were selected, and radiographed using the Accurd-200 head holder(Denar Co., U.S.A) for transcranial radiograms and the Sectography(Denar Co., U.S.A) for lateral individualized corrected tomograms. Mandibular condyles were classified morphologically and evaluated in positional relationships with articular fossae and articular eminences at centric occlusion and 1 inch mouth opening.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lassification of mandibular condyle shape, the convex type was more prevalent in transcranial radiograms and tomograms taken at medial, central, and lateral locations. 2. In the mandibular condyle position at centric occlusion, the mandibular condyles were placed posterior to the center of articular fossae in transcranial radiograms and anterior to the center of articular fossae in tomograms taken at medial, central, and lateral locations. 3. In the mandibular condyle position in right and left TMJs at centric occlusion, the mandibular condyles were placed bilateral asymmetric relationships to the articular fossae in transcranial radiograms and tomograms taken at medial, central, and lateral locations. 4. In the mandibular condyle position at 1 inch mouth opening, the mandibular condyles were placed anterior to the articular eminences in transcranial radiograms and tomograms taken at central location and posterior to the articular eminences in tomograms taken at medial and lateral locations.

  • PDF

경두개방사선사진과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측두하악관절 골변화에 관한 연구 (Transcranial radiograph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the evaluation of osseous change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 조수범;고광준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2권2호
    • /
    • pp.99-105
    • /
    • 2002
  • Purpose: To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of transcranial radiographs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n the assessment of osseous changes of the condylar head and articular eminence. Materials and Methods: Osseous changes of the TMJ were evaluated in forty-three patients. Osseous changes of the condylar head and articular eminence were observed in 41 joints and 64 joints, respectively on transcranial radiographs, and 48 joints and 59 joints, respectively on MRI. Results: The flattening, sclerosis, erosion, and osteophyte formation of the condylar heads were observed in 36.6%, 43.9%, 12.2%, and 7.3%, respectively on transcranial radiographs compared with 35.4%, 20.8%, 37.5%, and 6.3%, respectively on MRI. While, the flattening, sclerosis, and erosion of the articular eminences were observed in 26.6%, 67.2%, and 6.2%, respectively on transcranial radiographs compared with 32.2%, 59.3%, and 8.5%, respectively on MRI. Conclusion: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ranscranial radiographs and MRI scans in the detection of osseous changes of the TMJ. However, MRI scans were superior to the transcranial radiographs in the detection of erosion of the condylar head (p<0.01).

  • PDF

하악과두 운동 평가를 위한 경두개방사선사진과 파노라마 TMJ 방사선사진의 비교 (A comparison of transcranial with panoramic TMJ radiographs to assess the movement of the mandibular condyle)

  • 오종화;김재덕;김진수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8권2호
    • /
    • pp.89-93
    • /
    • 2008
  • Purpose: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the movement of the mandibular condyles between trans cranial and panoramic TMJ radiographs to view the movement of the mandibular condyl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four paired transcranial and panoramic TMJ radiographs of patients were used to evaluate the movement of the mandibular condyle. The distances, from the most superior point of the mandibular condyle to the most inferior point of the articular eminence on both radiographs, were measured. The measurements were taken at closed state and maximum opening state of each radiograph on both side. Differences between matched pairs were analysed by paired t-test, with significance established at P<0.05. Results and Conclusion: The mean distance, from the most superior point of the mandibular condyle to the most inferior point of the articular eminence on both radiographs,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t each side (P<0.05). At closing state, the mean distance measured on panoramic TMJ radiographs was longer than on transcranial radio-graphs (0.85 mm at right side, 1.20 mm at left side). But at maximum opening state, the mean distance on transcranial radiographs was longer (1.00 mm at right side, 0.62 mm at left side) than panoramic TMJ radiographs.

  • PDF

비생리적인 최대교두감합위의 교합재구성을 통한 수정 (Prosthetic rehabilitation for a patient with CO-MI discrepancy)

  • 추승식;허윤혁;조리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3호
    • /
    • pp.273-282
    • /
    • 2015
  • 중심위에서 벗어나 있는 최대교두감합위는 상하악 치아의 조기접촉 및 사면활주의 직접적인 원인이며, 악관절 내장증, 치아마모, 치주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광범위한 보철수복이 필요한 환자에서 중심위와 최대교두감합위의 불일치가 존재하는 경우 반드시 이를 제거하여 생리적인 교합양식을 회복해야 한다. 본 증례의 환자는 초진 시 약 3.5 mm의 사면활주와 다수의 우식 및 중등도의 치주질환을 앓고 있었다. 보철수복을 통해 기능 및 심미성을 회복하는 동시에 중심위와 최대교두감합위를 일치시켜 사면활주를 제거하였으며, ARCUSdigma II와 경두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생리적인 위치로 수정된 하악위와 변화된 개폐구 경로를 관찰하였다.

악교정 수술을 받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료전후 하악전치부 치조골 형태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lower incisor and symphysis during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안형수;김성식;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61-373
    • /
    • 2002
  • 이번 연구의 목적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전과 수술 후의 하악전치부 치조골의 형태 변화를 평가하는 것이다 : 하악지 시상골분할절단술만을 시행받은 30명의 성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초진시와 수술 전과 수술 후 3개월이 경과하였을 때의 측모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을 비교하였다 골격과 하악이부의 계측치를 비교하였으며 이들 사이의 상관성 분석을 시행하여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술전교정후군과 악교정수술후군에서 치료전군에 비해 하악전치부의 순측과 설측의 치조골 높이가 감소하였다. 2. 치조골 기저부의 전후방적인 폭경은 두개안면골격의 수직계측항목과 역상관관계를, IMPA와는 순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3. 하악이부 계측항목중 하악이부의 장경과 폭경은 두개안면골격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4. 순측의 치조골 높이와 설측의 치조골 높이는 순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p<0.001), 설측의 치조정의 폭경과는 역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순측과 설측의 치조정의 폭경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하악이부의 장경과 폭경은 서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5. IMPA와 LISA는 순, 설측치조골의 장경과 설측의 치조골 폭경과는 역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순측치조골폭경과는 순상관관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