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남지역

Search Result 1,48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전(電)력질주 - KEPCO 경남지역본부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449
    • /
    • pp.86-91
    • /
    • 2014
  • 경남지역은 해안, 도서, 산악지역, 도심지, 대규모 발전단지, 대형 산업단지, 태풍의 경로 등 그야말로 전력회사가 접할 수 있는 모든 특수한 상황이 산재해 있는 독특한 지역이다. 이는 경남지역의 안정적 전력공급을 책임지고 있는 한전 경남지역본부가 능수능란한 대처 능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현안을 탁월한 수행능력으로 대처하며 'AGAIN KEPCO! BRAVO 경남' 달성을 위해 경주하고 있는 한전 경남지역본부를 찾았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Price Sensitivity for Using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University Foodservices Between Jeonnam and Gyeongnam Areas in Korea (대학급식의 친환경 농산물 이용에 대한 전남.경남지역 대학생의 가격민감성 비교)

  • Lee, So-Jung;Kim, Hyun-A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9 no.8
    • /
    • pp.1220-1230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price sensitivity analysis for using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university foodservice between Jeonnam and Gyeongnam areas in Korea and to suggest the optimum guideline for price increase.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600 university students respectively in Jeonnam and Gyeongnam area from July 15 to July 25, 2008; among them, 570 students from Jeonnam area and 490 students from Gyeongnam area respon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difference price (IDP) were 890 won (Jeonnam area) and 1,050 won (Gyeongnam area); Optimum price point (OPP) were 1,030 won (Jeonnam area) and 1450 won (Gyeongnam area). Price stress range were 140 won (890~1030 won) in Jeonnam area and 400 won (1050~1450 won) in Gyeongnam area. Second, point of marginal cheapness (PMC) were 500 won (Jeonnam area) and 790 won (Gyeongnam area) whereas point of marginal expensiveness (PME) were 1,170 won (Jeonnam area) and 1820 won (Gyeongnam area). Range of acceptable price (RAP) were 670 won (500~1170 won) in Jeonnam area and 1030 won (790~1820 won) in Gyeongnam area. Third, on the basis of IDP percentage and RAP, students in Jeonnam area were more sensitive to meal price increase than students in Gyeongnam area. In contrast, on the basis of Price Stress, students in Gyeongnam area were more sensitive to meal price increase than students in Jeonnam area. Hence, when using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university foodservice, in Jeonnam area, meal price increase should be recommended to be in RAP (500~1170 won), and in Gyeongnam area, meal price increase should be recommended to be in RAP (790~1820 won).

지역건축탐방(12) - 진주ㆍ마산ㆍ창원

  • Go, Seong-Ryong
    • Korean Architects
    • /
    • no.6 s.362
    • /
    • pp.77-109
    • /
    • 1999
  • 경남지역 역사이래 구한말까지 지역중심도시였으나 근대화의 길에서 빗겨나간 1천년 역사도시 진주, 개화기부터 제3공화국까지 경남의 산업도시로서 지역발전에 중심역할을 다하고 있는 산업도시 마산, 그리고 정치적 결단으로 재빠르게 건설된 계획도시이며 경남도청소재지인 행정도시 창원. 각 도시가 살아온 배경이 너무나 다른 세 도시를 하나의 권역으로 묶어 논하기는 정말 어렵지만 경남 남부지역의 거점도시들로서 각 도시들이 띠고 있는 지역적 특성과 건축의 모습, 그리고 각 도시에서 지역적 특성들을 만들어내고 있는 지역건축가들을 개관한다. 아울러 경남 남부지역건축의 지역성은 가능한가에 대해 토론하며 지역의 정체성을 찾아보아 진주 ㆍ마산ㆍ창원으로 대표되는 경남남부 지역의 도시건축의 미래와 발전방향을 가름한다.

  • PDF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Industry in Gyeongnam Province (경남지역 화훼산업의 현황과 특징)

  • Shim, In-Sun;Kim, Yun-Shik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3 no.5
    • /
    • pp.63-72
    • /
    • 2009
  • The flower industry in Gyeongnam Province is the second largest flower producing area after Gyeonggi Province in Korea. Gyeongnam Province is also one of the provinces where flower industry was first introduced, which has started in the middle of 1960s. The share of Gyeongnam Province was 16.2% in area and 14.3% in sales in 2006.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of Gyeongnam's flower industry is that it has been particularly specialized in cut-flower industry, the share of which was 77.6% of Gyeongnam Province in area. Another feature is that the industry continued to be shrunk in size due to the expansion of urban area. For Gyeongnam's floral industry to be competitive not only in domestic market but in international market, its competitiveness in quality and price is kept being promoted. In addition, the availability of land is essential to the growth of the flower industry of Gyeongnam Province.

동서 농산물 협력체계 구축 방안

  • Lee, Sang-Hak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2
    • /
    • pp.1-16
    • /
    • 1998
  • 경남 및 전남지방은 산업에 있어서 농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지역이다. 두 지방의 농업의 특성은 큰 차이는 없으나, 전남 지역이 농가인구, 호당 경지면적이 넓다. 영농 형태별로는 전남 지역이 수도, 전작의 비중이 크며, 경남지역은 과수, 채소, 화훼, 축산 등 소득작목의 비중이 높다. 농업기반에 대하여 보면, 농업진흥 지역비율은 경남 53.7%, 전남 64.8%이며 수리답율은 81.9% 76.1%, 경지정리율은 76.1%, 68.4%로 경남지역이 유리한 기반을 갖고 있다. 작목별 특화도를 보면 경남 지역은 맥류, 서류, 앙파, 마늘, 감, 화훼류 등이 높으며, 전남 지역은 맥류,두류, 마늘, 양파, 감, 참깨 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내 수급현황을 보면 경남지역은 미곡, 두류, 무, 배추, 고추, 사과, 포도, 복숭아 등이 부족하며, 서류, 마늘, 양파, 배 등이 과잉이고, 전남지역은 대부분이 과잉이며 사과, 포도, 복숭아 등이 부족하다. 지역간 농업협력은 상호 과부족인 농산물의 교역이나 비교우위가 있는 작목에 특화함으로써 서로 이익을 누리는 방안과 타 지역이나 해외 진출에 있어서 공동보조를 취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 빙안으로서는 무엇보다 양 지역농업 및 농민에 대한 상호 이해가 이뤄져야 하며, 이를 전제로, 지역별 비교우위가 분명한 품목에 대하여 상호 우선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상호 교역을 지원하며, 농산물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가격파동을 예방하기 위하여 계획생산, 계획 유통이 불가피한 만큼 농협, 농민단체, 지방정부간의 농업정보의 공유와 조정 채널을 구축하고, 지역간 직거래 활성화하고 서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농산물 장터 등 장소와 기회를 제공하며, 해외수출 시장 개척을 위한 공동 노력, 농업기술의 상호 교류 등이 필요하다.

  • PDF

A Survey Study on Public Health Nursing Manpower is Pusan, Kyung Nam area (부산.경남지역 보건간호 인력분포와 보건사업 제공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 Hwang, Bo-Sun;Bae, Jung-Ha;Kim, Bong-Im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 no.1
    • /
    • pp.107-114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npower status of nurse in the Health Centers from 1985 year to 1986 year, Pusu and Kyung Nam area. As the results through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reached. 1. The number of nurses who worked in the Family Planning in Pusan was largest and the number of nurses in Kyung Nam who worked for Consultation Clinic was the largest both in 1985 and in 1986. 2. Population per Health Center by year; Population per Health Center in Pusan area increased from 351,681 persons 1985 year to 357,884 persons, 1986 year In Kyung Nam area population per Health Center increased from 130,247 persons, 1985 to 130,252 persons,1986 year. 3. Population per Public Health Nurses by year; Population per PHN in Pusan area increased from 30,058 persons, 1985 to 31,120 persons, 1986. But in Kyung Nam area population per PHN decreased from 22,500 persons, 1985 to 16,747 persons, 1986. 4. Activities of Public Health Nurses by clinic; The order of priority activities by PHNs was family Planning in Pusan area and M.C.H in Kyung Nam area. 5. The target population per Public Health Nurse; The target population of M.C.H was the most in Pusan, 1985. In Kyung Nam area the most target population was M.C.H., 1985 year. 6. Number of service per Public Health Nurse; In number of service per PHN, the hightest health nursing service activity in Pusan and was M.C.H in Kyung Nam area.

  • PDF

경남지역의 한우개량사업(제1편 고성군)

  • 신철교
    • 한우개량
    • /
    • no.4 s.25
    • /
    • pp.22-27
    • /
    • 2000
  • 지금 한우개량에 대한 관심이 일기 시작하고 있다 한우 농가라면 누구나 훌륭하게 개량된 한우를 가지기를 원한다 이것은 농가의 소득과 직결 된 것으로 너무나 당연하다. 특히 고급육을 생산하여 도매시장에 출하 해본 농가라면 도체 성적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크다는 것을 경험했을 것이다. 이때 농가는 자기 집의 동일한 환경에서 동일한 사료를 급여하여 출하 한 소가 왜 출하 체중도 다르고 도체성적이 다를까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되며 이것은 바로 종자에서 오는 차이임을 알게 된다. 이때부터 농가는 육량과 육질이 우수한 종자가 따로 있음을 알고 우수한 밑소를 찾기 시작한다. 이처럼 한우개량에 대한 관심은 고급육 생산 농가로부터 일기 시작하여 전국적으로 한우농가와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한우개량사업은 정부 주도로 추진되어 왔을 뿐 지방자치단체나 일반 한우농가는 별로 관심을 보이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제 일부 지자체에서는 자기지역 한우농가의 소득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 환경에 맞는 개량체계를 구축하여 추진하고 있다. 경남지역에서는 1999년도 경남 고성군의 한우산업 장기 발전 5개년 계획을 세워 추진하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함안, 남해, 밀양, 하동 등에서 개량사업을 독자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다른 시 군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경남지역의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고 있는 한우개량사업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동서지역 특성에 맞는 이벤트 활성화 방안

  • Kim, Yeong-Gu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3
    • /
    • pp.63-77
    • /
    • 1999
  • 지방자치단체별로 특성화된 이벤트의 개발은 지역사회의 경제 문화 발전에 많은 영향을 끼치면 또한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인해 그 시너지효과는 더욱 커진다. 지역이벤트를 개최목적과 지역특성반영정도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벤트개최목적을 주민공동체의식함양과 지역경제활성화로 나누고, 또한 이벤트의 내용이 지역특성을 반영하는 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이벤트의 형태를 4가지로 나누었다. 지역주민공동체의식함양을 목적이며 지역단위특성이 있는 이벤트를 지역고유이벤트라 하였고, 이는 지역의 전통문화 또는 지역의 지리적특성 등을 살리면서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이벤트이다. 반면에 같은 목적을 가지면서도 지역특성이 반영되는 정도가 낮은 이벤트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체육대회 등 순수 공동체의식제고에 목적을 둔 이벤트이다. 또한 문화적 요인 등 뿐만 아니라 지역산업의 특성을 지니면서 지역경제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이벤트가 있을 수 있고, 동일한 목적을 지향하지만 지역단위특성을 반영하는 정도가 낮은 이벤트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남과 전남에서 실시되고 있는 이벤트들의 현황을 보고, 동서지역 특성을 살핀 다음, 동서지역 특성에 맞는 이벤트 개발방향을 모색하였다. 경남과 전남은 각기 독특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수려한 한려해상, 지리산, 섬진강과 같은 자연자원을 공유하고 있으며, 또한 전남과 경남 공히 넓은 평야를 중심으로 하는 쌀농사라는 공통점이 있고, 그리고 전남에는 제철, 석유화학 등 기간산업이 경남지역에는 중공업 산업들이 발달해 있다. 이러한 요인들을 결합하여 양지역의 특성을 살리면서 효과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이벤트 개발방향이 모색되었다. 또한 충무공 이순신, 장보고, 사명대사, 허준과 같은 역사적 인물들이 동서지역을 넘자들면서 활동을 하였는 바 이를 이벤드화 하는 방안도 모색되었다.

  • PDF

Assessment of Teleconnection based Long-Range Flood Risk Prediction during different El Ni?o phases: A Case Study of Gyeongnam (원격상관기반 엘니뇨 시기별 홍수위험 장기예측 평가: 경남지자체 대상)

  • Yoon, Sun-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1-91
    • /
    • 2016
  • 본 연구는 대규모 대기환경패턴 변화에 따른 극한 기후발생 및 극치 수문사상의 지역적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고, 통계기법을 이용한 기후지수와 수문변량간의 원격상관관계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한반도 중 장기 수문변량 예측의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또한 경남 지자체를 대상으로 다양한 통계예측모형(AR, MA, ARMA, ARIMA, VAR)을 구축하여 그 예측능력을 평가하고 적용성을 검토하였고, 중 장기 통합홍수위험 평가를 위한 인덱스를 개발하였다. 서로 다른 엘니뇨 시기별 홍수 위험도 평가결과 전형적인 엘니뇨(Cold Tongue El Nino)해에는 남해안 일부 지역(거제시, 남해군)에서 위험도가 높게 산정되었으며, 경남 북부지역에서는 위험도가 매우 낮게 산정되었다. 중앙태평양 엘니뇨(Warm Pool El Nino) 해에는 경남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홍수위험지수가 높게 나타나 중앙태평양 엘니뇨가 발달 시 경남지역의 홍수위험 발생 가능성 평년에 비하여 큰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라니냐(La Nina) 해에는 경남 서쪽일부 지역(남해군, 하동군, 산청군)에서 통합홍수위험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지역에서는 홍수위험도가 작거나 중간 값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중 장기적 관점에서 수자원 예측 및 효율적인 물 관리와 안정적인 용수공급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되며, 한반도 대상 특정 엘니뇨 해의 지자체별 홍수위험 취약성 평가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Income Ratio of Chrysanthemum Farms in GyeongNam Province (경남지역 국화농가의 소득률 분석)

  • Kim, Yun-Shik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4 no.5
    • /
    • pp.137-146
    • /
    • 2010
  • The GyeongNam Province is one of the regions that have first introduced chrysanthemum farming in Korea since the 1960s. The chrysanthemum growers of The GyeongNam Province had strong competitiveness in production and marketing, so the their income ratio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any other growers of other provinces. The income ratio of The GyeongNam Province, however, has continuously decreased and stays currently below ratios of other provinc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which factors have contributed to the decrease in income ratio of GyeongNam Province. The analysis indicates that the increase in production cost was the main causes of rapid drop in income ratio. It is also worth mentioning that the income ratio falls dramatically when oil price (duty-free oil) rises above 700 won per li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