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관표현

Search Result 17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Contingent Approach to Landscape Aesthetics (조경미학에서의 우연적 접근)

  • Zoon, Kyon-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5 no.2
    • /
    • pp.57-66
    • /
    • 1987
  • 본 연구는 경관선호에 관한 평가방법을 서술적으로 구명하면서 기존의 경관선호에 관한 평가방법이 자연적 요소를 많이 포함한 경관의 평가출 정착히 하는데 따르는 문제점을 제시하고 경관의 우연적 국면에 따라 경관선호의 우연성(Contingency in Landscape Preference)을 개관하면서 경관평가의 우연성(Contingency in Landscape Evaluation)에 의한 우연적 경관평가방법(Contingent Approach in Landscape Evaluation)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최근까지의 경관평가방법을 크게 분류하면 총체적(Universal) 접근방법, 개성적(Idiosyncratic) 접근방법, 조화적(Contrastic) 접근방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경관성에서의 우연성을 강조함 으로써, 앞의 세방법만을 가지고서는 경관의 실체 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새로운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의 한 대안으로 경관선호에 대한 평가를 우연적 접근방법으로 해결함으로써 평가영역과 평가요소를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학적 매트릭스가 가능하다는 시사를 본 연구에서 구시하면서 새로운 평가방법으로 우연적 경관평가방법을 제시했다. 우연적 경관평가방법은 우연적 경관성에 의한 심미성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나 우연적 영역을 의도적으로 설정하지 않는 한 현실적으로 재정적 흑은 시간적 제약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경관선호의 정도에 관한 평가보다는 경관의 본질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고려한 평가가 경관선호평가에 대한 종합성을 반영할 수 있다. 경관평가의 모호성에도 불구하고 경관의 본질은 우연성에 의존한다고 본다면 우연적 경관평가방법은 크게 무리가 없다. 결국 경관은 생명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현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동시적이면서 산재적 이며 상황적 다양성으로 간주해야 하며 고러란 관점을 강조한 것이 우연적 경관선호 및 경관평가에 대한 접근이라 할 수 있다.도 나타났다. 직업간의 유의성은 학생과 타 직업간에 나타났다. 직업간의 유의성은 학생과 타 직업간에 현격하게 나타났으나, 개인차를 나타내는 속성적 변수는 상호보완적인 변수기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행동의 설명력있는 이유로 볼 수 없다.때로는 민담에서도 풍수가 주제가 되는 경우가 있고, 일반적으로는 역사적 사실이나 인물을 통하여 취락민이지녀온 자연요소에 대한 인식관 또는 그러한 생활에서 나타나는 윤리관 등이 암암리에 표현되기도 한다. 민담을 통하여 우리는 주민들 의식 속에 남아있는 취락의 중요한 요소나 장소들을 찾아볼수 있고 더불어 이들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을지도 모를 생활모습들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ulcorner$순응$\lrcorner$의 다른 일면 또는 때에 따라서는 극히 의도적인 $\ulcorner$표현$\lrcorner$적인 한 면모 - 그 대표적인 경우로 정원을 구성하는데 개재된 인간의 의미는 무언가를 표현 또는 표출하고자 함에 있다는 점 -라 볼수도 있을, 예로써 성리학적 사고관념으로써 집과 정사 그리고 주변 경관을 자신의 내적본직 또는 윤리적 영역으로 삼아 묘사.표현.구체화 시켜가기도 한다. 최소한 동족부락의 한두 예들에서 그러한 $\ulcorner$표현$\lrcorner$적 의도에 의한 경관구성의 일면을 확인할수 있지만 엄밀히 생각하여 보면 이러한 예의 경우도 최락의 총체적인 외형은 마찬가지로 $\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도 $\ulcorner$순응$\lrcorner$$\ulcorner$표현$\lrcorner$의 성격과 형태를 외형상으로 더욱이 공간상에서는 뚜렷하게

  • PDF

도시미관과 경관조명의 계획과 설계

  • 이선형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12 no.4
    • /
    • pp.29-34
    • /
    • 2000
  • 경관조명을 설계 하는데 중요한 부분은 첫째로 그 도시의 건물 등이나 거리 등을 표현하는 것으로서 그곳에서 사는 주민들과 관광객의 개성, 역사적 풍토, 거리의 문화특징 등이 거리의 주택이나 도로에 표현될 수 있는 조명계획이 이루어져서 건물과 거리의 인상을 확립하는 것이다.

  • PDF

조선시대 읍치 경관 독해

  • 김덕현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157-162
    • /
    • 2003
  • 읍치 경관이란 조선시대 관아가 있던 지방 행정 중심지 읍의 경관이다. 우리는 조선시대가 추구했던 세계관과 사회질서, 그리고 인간과 자연간의 관계가 어떠해야 한다는 것이 조선시대 읍치 경관에 명시적으로, 때로는 함축적 상징적으로 표현되어 있다고 보고 그 의미를 해독하고자 한다. 읍치의 경관과 경관 요소, 즉 입지와 주위 산과 하천의 조화, 그리고 숲을 중심으로 한 반 인공적 환경구성, 그리고 관아 건물 둥 주요 시설의 구축과 배열 및 제사 시설의 공간 분포 등은 동일한 군ㆍ현이 하나도 없을 만큼 고유하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Symbol Making for Mapping Landform of Elements (지형요소 지도화를 위한 기호제작에 관한 연구)

  • Kim, Nam Shin;Cho, Yong Chan;Oh, Seung Hwan;Kwon, Hye J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0 no.3
    • /
    • pp.245-255
    • /
    • 2014
  • There is limitation to represent forms and internal process of topography if using simple symbols for geomorphic landscape in the cartography. One of the alternative method to find a solution to these problems is to use association symbol to imagine real landscapes through map reading. This study suggested making method of association symbols to describe geomorphic landscapes effectively. Landforms are not static objects but dynamic pedogenesis and morphogenesis one. It should be consider form, process, and material to make landform mapping, and also, make landform symbols by considering scalable changeability for point-polygon, line-polygon, point-line by scale. As a results, this study expected to help applications for geomorphology as well as environments, ecology, archaeology, and civil engineering etc.

  • PDF

A Scenery Word of Pine Tree Extracted in Choi Myoung Hee's Novel 『Honbul』 (최명희의 소설 『혼불』에서 추출한 소나무의 경관언어)

  • Rho, Jae-Hyun;Kim, Hwa-Ok;Park, Yool-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4
    • /
    • pp.61-72
    • /
    • 2014
  • Throughout analyzing and construing the words, contexts, and expressive languages used for depicting the pine tree in the novel "Honbul" written by Choi, Myung-Hee the symbolism of the pine and folksy languages used for scenery can be condensed as written below: First, it is explicit that the scenery-words for illustrating the pine tree in "Honbul" are emerged through diverse means methods and expressions. Namely, the reference forms of the pine tree and the expressive means of utilizing words portrays the use of the pine are various and subdivided. Second, the scenery-words found in vocabularies and the contexts of "Honbul" imply various symbolic representation. They not only perform to describe inherent image and symbolism of the pine, but they work for reifying the image of "Honbul" in the narrative structure in "Honbul" as being intrinsic scenery-word. Third, the scenery-words used for expressing aesthetics emerge as synesthetic expressions through the linear beauty and the texture of the pine as well as through five-senses. Forth, on the basis of the inherent symbolism and the image of the pine, the landscape of the background described in "Honbul" deems as a symbolic backdrop. As with then narrative structure of the novel, the pine tree performs as a mediation of the heaven and the earth, god and man, as well as the sacred and the secular. Fifth, scenery-words used for depicting the pine tree are a symbol that represents the spirit and emotion of the character in the novel. Moreover, it is a tool for pursuing the personification of the nature, the deification of the object, and the cosmos of the space. It is also utilized as a device that definitize the ideational image applied to express the landscape of the background of the novel. As mentioned above, the expressions, vocabularies and textures about pine tree represented from "Honbul" are expected to be the beginning of understanding the landscape-images and landscape-languages of pine in not only the setting for this novels, Namwon but also the entire districts of Korea.

Indication of Immanent Picture in Rural Settlement According to the Corelation between Man and his Environment (자연과 인간의식과의 관계로 본 “취락경관에서의 내적의미”에 관한여)

  • 정기호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4 no.2
    • /
    • pp.17-26
    • /
    • 1986
  • Landscape around a settlement is not only a natural object, but also a matters of the man in the co-relation with his environment. Man perceives the landscape rational or sensible. Then it changes into the substance for him and influences him: as we see often in the folklore, that is of importance in the mind. Man reacts against his surroundings deceidedly, selfassurd or commonly, and uses sometimes the landscape to the elements for realization, physical or symbolical. Out of one character of korean villages, adaption to the circumstances, we can notice also its inner image, the reflection of the mind. Seeing and perceiving the environment emotional or reasonable and, reflecting and descreibing the inner self on the space. Here, the landscape and the nature are matter of the man, a scale for his ethical estimation or a mailer of the realization his mind. It is difficult, but important, such a immanent picture in(or of) the landscape to find. This is a preliminary study in such a way.

  • PDF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Screen Saver utilizing audiovisual elements of marine (바다경관 시청각 요소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스크린세이버 개발 연구)

  • Kang, 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3-294
    • /
    • 2016
  • 이 연구는 바닷가에서 경험할 수 있는 시청각적 경험을 표현요소로 활용하여 일상생활에서 바다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인터랙티브 스크린세이버 제작에 관한 것이다. 특징적인 사항은 시스템의 시간에 따라 360도로 바다경관을 볼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감성은 날씨에 민감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날씨의 표현을 다양화 하였고 바다의 소리를 동기화하여 호출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Landscape Elements in the Poems on the Tablets of Kwanghanru (광한루 편액시에 나타난 경관요소 분석)

  • Ahn, Deug-S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29 no.4
    • /
    • pp.198-206
    • /
    • 2011
  • Poems written on the tablets hanging in Kwanghanru(a pavilion in Namwon, Jeollabuk-do) reveal each author's view of landscape and their recognition of the pavilion and it surroundings.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four analysis frames of the characteristics, sensations, and temporal and spatial axes of the landscape elements grouping tablet poems into two categories of deunglusi of Joseon's literary men, and baegiljangsi and cheongtaksi of the 1930s. The result of the landscape element analysis shows that physical elements are shown more frequently than symbolic ones. Among the physical ones, natural elements are used more often than artificial ones. The landscape elements appearing in each individual poem of baegiljangsi and cheongtaksi are relatively more than those of deunglusi. When the landscape elements are analyzed by sensational aspect, most of them are visual in nature, and there also appear some that are aural or olfactory in nature. Analyzed from a temporal axis, expressions related to autumn and evening and night are used frequently. From the spatial axis, foreground elements are preferred to middleground or background ones.

Luminaous Characteristics of Bridges in Cheonggyecheon (청계천 교량의 경관조명 특성 분석)

  • Shim, In-Bo;Yu, In-Hye;Shin, Hye-Mi;Kim, Je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23-28
    • /
    • 2005
  • 청계천의 경관조명은 하천을 가로지르는 다리 22개를 비롯하여 다양한 경관요소에 대하여 주변경관에 알맞는 경관조명으로 청계천의 특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특히 수변공간의 경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교량의 경관조명이 야간 청계천 경관의 아름다움을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다양한 구조형태 및 특징을 가진 22개의 교량은 특색에 맞는 조명연출로 인지도를 주어 보행자로 하여금 청계천에 대한 방향감 및 공간감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청계천 교량의 경관조명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청계천 8개의 교량을 대상으로 휘도, 색온도, 색도분포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피스 지역에 위치해 있는 교량은 배경과 교량의 휘도대비가 시각적으로 명확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온도는 차가운 느낌과 따뜻한 느낌의 조명이 조화를 이루며 교량의 온열감을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지역에 위치해 있는 교량의 경우 오피스 지역의 교량보다는 휘도대비가 작게 나타났지만 시각적 측면에서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온도는 안정감 있는 느낌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지역에 위치해 있는 교량의 경우 교량자체의 휘도평균은 낮게 나타나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밝지 않게 조명된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청계천 교량의 경관조명 특성은 교량의 주변 환경에 따라 다른 효과가 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Same Scenery' and 'a Different Landscape' Included in "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 an Essay to Determine Meaning - Centering around Paintings of Chong Seok Jeong in the 18th-19th Centuries - (실경산수화에 담긴 '같은 경관' 그러나 '다른 풍경', 그 의미 찾기 - 18.19C 총석정 그림을 중심으로 -)

  • Rho, Jae-Hyun;Jang, Il-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5
    • /
    • pp.82-93
    • /
    • 2008
  •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process in which 'the same scenery' is recognized and represented as 'a different landscape' to determine the symbols and meaning of the scenery and landscape included in 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s of the 18th-19th centur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isual points, the content and expressions of 25 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s of Chong Seok Jeong(叢石亭),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mission of a kind of semiotic landscape on the basis of a specific symbol was accomplished naturally through imitation and representation for the purpose of the expression of Chong Seok Jeong-like idealized scenery. This shows that the unique images of Chong Seok Jeong have long been passed down after taking root as a unique benchmark The meaningful symbol of 'a strange Saseonbong(四仙峰)', which is broken by the spray after rising high, and 'a pine forest' have both been transmitted as being in the manner of Chong Seok Jeong. This has been equipped with the stereo-type scene by being a collective symbolization as the psycho-scenes in memory element of Chong Seok Jeong. Through the pictures of both Gyeomjae(謙齋) and Danweon(檀園), the process by which a specific painter's pictures become acculturated is highly interesting. The scenery expressed in these pictures was clearly that of a landscape of which its particularly emotions and remembrances were repainted through the experience of several places and original sketches. This can be explained as the concept in which the image from 'a specific scenery' gained through actual experience, that is, a personal feeling, has been expressed. The picture that was expressed as a different figure even at the same visual point for the same scenery is the result that was redefined through the scenery subject's recognition. Also, the modification of the scenery object can be colorful through meditation and Sachu(邪推: guessing with wicked doubt). The scenery recognized newly through adoption, omission and emphasis, it is 'the specific scenery' in the heart and is a figure having been more similar to 'a landscape' if the objective life reproduction before being acculturated is a figure similar to the scenery. So, the concept looks like being very persuasive that 'the nature with objectivity captured sensuously' simply is the scenery, and that 'the subjective phenomenon having acquired the cultural nature by being introspected in the method of aesthetic nostalgia is a landsca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