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관정비

Search Result 11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spects of Design and Construction in Entrance Space of the World Heritag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세계유산 조선왕릉 입구공간의 조성 양상)

  • So, Hyun-Su;Park, Hyun-So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3
    • /
    • pp.47-58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reviewing Aspects of Design and Construction in Entrance Space of the World Heritag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equipped with parking lots, ticket offices, toilets, exhibition halls, information boards, and rest facilities for the convenience of visitor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direction for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duced area of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was unable to fully accommodate the ritual movement line, and as a result, the location of the entrance space in the current royal tomb was decided to accommodate minimal convenience functions. In the meantime, the entrance space of the royal tombs has been relocated or renovated in order to achieve its integrity as a World Heritage Site, rational arrangement of movement lines and spatial utility. Second, the size of the entrance space ranges from 1,000 square meters in Jeongneung in Seoul to 16,000 square meters in Hongyuneung in Namyangju, and the number of annual users varies greatly from 12,000 in Onneung in Yangju to 410,000 in Seonjeongneung in Seoul.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the 16 royal tombs, the entrance space should be provided at an appropriate scale, reflecting the surrounding land use and accessibility that affect the influx of users, the size of the site, and the king's awareness and preferences. Third, the location of the parking lo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uter courtyard and an internal courtyard bordering the ticket and check offices, and the loca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Museum made it possible to know the aspects of entrance space of the Joseon Royal Tombs, where the spatial configuration is determined Fourth, according to the royal tombs, it was found that the entrance space should have essential parking, access control, information, and convenience functions, and that support, exhibition, passage, and recess functions should be optional. At this time, the management office an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enter are in charge of support and exhibition functions. The function of passage can be a strategy that provides a sense of entry and the function of recess which has been introduced in only four royal tombs requires an appropriate location and landscape access.

산지의 관광자원 활용과 마케팅

  • 김형서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49-53
    • /
    • 2002
  •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여가공간의 개발에 있어서 산악지형의 개발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고 볼 수 있다. 그간에 산악지형의 개발은 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이라는 견지에서 무분별한 개발과 자연환경 훼손을 방치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산악지형의 관광자원 활용은 그 범위에 있어서나 방법에 있어서 매우 다양한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한국의 산이 보유하고 있는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이 접목된 명산사찰을 활용한 문화관광, 자연자원의 보존과 경제 개발, 도시민의 위락 여가공간 제공이라는 세 가지 목적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산악형 자연공원, 동계스포츠 활동을 위한 스키리조트의 개발과 이용, 마지막으로 산악지형의 경제 발전을 위한 대체산업 육성이라는 취지 하에 등장한 산지 카지노리조트 등 사회, 문화, 경제, 보건, 오락 등 산지는 그 효용성을 날로 더해가고 있다. 산은 더 이상 인간과 격리된 공간이 아니라, 인간의 생활 공간이자 휴식공간이며, 다양한 여가행위를 위한 공간이다. 유럽 등 구미 관광 선진국에서는 이미 산악지형 고유의 경제적, 사회적 중요성에 입각하여 공간의 효율적인 정비를 통해 합목적적이고 친환경적인 산악형 리조트 건설을 통해 지속적인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개발에 일부제약이 뒤따르기는 하지만, 관광개발을 위해서 환경보존을 필수적인 조건으로 인식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관광개발과 환경보존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산이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이로운 점을 생각할 때 인간의 지나친 개발욕구와 몰지각한 자원활용을 위한 관점에서 산을 보아서는 아니될 것이다. 산을 개발하고 정비하여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때보다 친환경적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하며, 우리의 산이 우리에게 돌려줄 것을 생각하기 보다 우리가 산에게 해주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먼저 생각한다면, 산은 우리에게 경제적 이득과 함께 우리의 여가생활을 위한 최적공간으로 다가설 것이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는pocyanidin C-1-3'-3" -3.'S _0-trigallate는 100rM에서 70%의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epigallocatechin-(4$\beta$$\longrightarrow$8)-epigallo-catechin-(4$\beta$$\longrightarrow$8)-catechin는 51%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산업적응용을 위해 분획한 폴리페놀군은 미백효과 검증실험인 tyrosinase 저해율 측정평가에서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은 Fraction 111의 경우 Sooppm에서 74.2%의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항산화력 실험에서는500pw1이상에서 강한 활성능을 보인 SOD 유사활성능을 제외한 나머지 DPPH와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에서는 Fraction II와III 모두가50ppm이상에서 80% 이상의 높은 유리라디칼 소거능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각 Fraction별 항균력 측정 결과 Fraction 르와 111이 우수하게 나타났고 항균활성은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磎꼭\ulcorner경우 그람양성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여한 대조군은 1.40$\pm$0.24(100%)에 비하여 I3C 저농도 투여 실험군(Group 1; 0.85$\pm$0.23; 61%, P<0.01), 그리고 I3C 고농도 투여 실험군(Group 2 ; 1.32$\pm$0.2

  • PDF

A Study 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Joseon Royal Tomb's System - Focused on Joseon Royal Tombs Under the Eastern District Management Office - (조선왕릉의 능제보존관리에 관한 연구 - 동부지구관리소 산하 조선왕릉을 중심으로 -)

  • Choi, Jong-Hee;Lee, Chang-Hwan;Hwang, Kyu-Man;Kim, Kyu-Ye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3
    • /
    • pp.75-8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thods of the Joseon Royal Tombs under the Eastern District Management Office.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we understood the process of change of Joseon royal tombs, and through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we understood the status of the interior and the surrounding area. In this process, topography, land use and flow of human traffic, architecture and stone objects, water system, historical forests, and facilities were set as the main evaluation indicators. Urbanization has damaged the original terrains of Royal Tombs as national roads, buildings and facilities have constructed in the inner and outer area of Joseon Royal Tombs. Construction of underground passage, land purchase, relocation and demolition of the buildings are required for the conservation of the Royal Tombs area, and then it is necessary to recover the original terrain. In the case of land use and pathways, there are many disconnection of the original ritual circulation, they should be maintained to remind the sacred atmosphere of the royal tomb. And It is necessary to collect accurate information on the lost buildings and stoneworks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excavation investigation, and that investigations should be lead to the exposure or restoration of the ruins. Historical forests require periodic and ongoing monitoring and management,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ew entrance area and appropriate facilities following the long-Ter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These plans should be classified into short, medium and long-Term projects according to urgency and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with a long perspective to implement continuous and systematic projects.

Envionmental Problems of Abandoned Mining Sites and Their Recovery (폐광지역의 오염현황 및 환경관리 전략)

  • Chung, Jae-Chun;Lee, Moo-Choo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5 no.1
    • /
    • pp.71-85
    • /
    • 1997
  • There are approximately 500 abandoned mining sites in Korea. Abandoned mines cause various environmental and safety problems such as landscape damage, soil, groundwater and stream pollution by heavy metal, acid mine drainage and soil erosion. According to the survey, there are significant numbers of mines causing environmental problems in Korea. For a environmentally sound management of abandoned mines, the Soil Pollution Control Act should include the regulation concerning soil pollution and recovery standards of the abandoned mines. Also, comprehensive survey about abandoned mines, setting-up of tile recovery priority, finance for clean-up are necessary.

  • PDF

Preliminary field survey and analysis of ground water level and soil moisture in riparian vegetation zones (식생사주 역에서 지하수위와 토양수분의 현장 기초 조사.분석)

  • Woo, Hyo-Seop;Chung, Sang-Joon;Cho, Hyung-Jin;Lee, Ch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4-114
    • /
    • 2011
  • 196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 이전 우리나라 하천은 모래, 자갈 사주가 경관생태의 대부분을 이룬 이른바 'White River'이었으나, '70년대 이후 댐건설, 하천정비 등으로 유황과 유사이송 특성이 변하면서 수변에 식생이 번무하는 이른바 'Green River'가 진행 중이다. 하천에서 식생활착은 생태 측면에서 생물 종의 다양성에 일부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반면에, 고유종이 감소, 소멸하는 문제가 생긴다. 치수 측면에서는 흐름저항 증가와 하도의 고착화를 촉진시켜 치수 안정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주 상 식생활착 현상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시작으로서, 하천 식생사주역에서 식생활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소류력과 토양 수분 등 2대 물리 요소 중에서 후자에 초점을 맞추어 토양수분 요인과 식생 이입, 활착, 천이와의 관계를 규명한다. 이를 위해 모래하천인 낙동강 제1지류 내성천의 국가하천 구간 하류 지점인 회룡포 직상류 약 4km 지점을 시험하천 구간으로 선정하여 하천수위, 지하수위, 토양수분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관측 시설을 가지고 1차적으로 2010년 8월부터 2011년 4월 초까지 지하수위와 하천수위, 토양수분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다. 사주 상 식생 활착 특성도 주기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번 일차 기초 조사 및 분석 결과, 하안에서 약 140-240m에 위치한 지하수위 관측정에서 측정된 지하수위는 하천수위 변화에 비해 시간적으로 약 20시간 지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주 토양수분은 일반적으로 지하 깊이에 따라 커지나, 동시에 토층구조(soil texture)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Bed Material and Slope in Sloping drop Structures (하상재료와 경사에 따른 경사형낙차공 실험연구)

  • Yeo, Hong-Koo;Kang, Joon-Gu;Kim, Sung-Joong;Yoon, Byu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841-845
    • /
    • 2007
  • 낙차공(drop structure)은 치수목적의 하천정비를 위한 주요 수공구조물이다. 하지만 국내외적으로 환경을 고려한 하천공법이 요구되면서 고낙차로 인해 발생하는 수중생물의 단절은 기존 낙차공의 큰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기존 고낙차를 이용한 낙차공 보다는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낙차공을 설치함으로써 기존 낙차공에 의해 단절되었던 어류의 이동통로로서의 역할과 주변 경관개선을 위해 설치하고 있는 구조물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필요성에서 시작되었으며 완경사 낙차공을 경사형 낙차공이라 정의하고 조건에 따른 흐름특성을 수리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경사형 낙차공의 경사조건과 하상재료의 입경에 따라 발생하는 에너지 소산에 따른 효율과 구조물 하류부 도수현상에 대한 것으로 이를 통해 경사형 낙차공 조건에 따른 흐름특성을 파악하였다. 수리실험은 폭 0.6m, 길이 20.0m 인 가변경사수로에서 수행하였으며, 하상재료는 크기에 따라 2가지 입경(16mm, 25mm)의 재료를 선정하였고, 구조물 경사에 대해 각각 1V:2H, 1V:3H, 1V:4H, 1V:6H의 경사도를 가지는 모형을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량조건 및 도수발생위치는 유입부 수위에 따라 단계별로 4가지 수위조건을 만족시키는 유량을 통수하였고, 하류부 수위를 조절하여 도수위치를 조절하여 유입부(1), 낙차공부(5), 사류부(1), 하류부(1)에 대하여 총 8개 지점을 선정하여 수위$(y_n)$ 및 유속(V), 도수길이(Lr), 도수발생거리(Lj) 등을 측정하였다.

  • PDF

Review on the Improvement Works of Ecological Stream in Rural Areal - A Focused on Sijeon-ri Dogo-myeon Asan City - (농촌지역 하천정비공사 실태와 제언 -아산시 도고면 시전리를 대상으로-)

  • Nam, Yun-Che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17 no.2
    • /
    • pp.51-58
    • /
    • 2015
  • 10 years ago, in Sijeon-ri, Dogo-myeon, Asan-si, the existing stream was repaired to develope Mt. Dogo trail and irrigation systems through road expansion pavement construction and small stream repair construction. The trees such as persimmon and willow are eliminated that rowed on both sides of the stream and dredging work to dig the rock and sand have been performed. As a result, wide asphalt road was built, also flood damage worries were reduced. 10 years passed and now, how did local residents think about the stream repaired before and after? Village residents, public officials, and the stream construction engineer were interviewed. Villagers indicated a problems that brook became a place where water peppers were taking over and water was stagnating due to the slow velocity so nothing could live and natural landscape like a wash place and the cascade disappeared, because rock and sand were taken out brought soil into the brook. Public officials and engineers were aware of the problems at the time of the stream. Now that construction is completed after 10 years, Both realistically and budgetary to restoration would be difficult. However, it is necessary to seek for waterfront space which can be restored or replaced by a part of the stream like similarly befo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store to the progression of a natural stream which connect with stairs(or slope) - small waterfalls - pools - wash place. In this paper, we hope to take a lesson from the Sijeon-ri model and make rural stream construction be prepared with consideration about not only distinct characteristics of specific area but also the opinion of local resident.

Destructive Experiments on Erosion Control Vegetation Mats (침식방지 식생매트의 파괴실험)

  • Kim, Myoung-Hwan;Lee, Du-Han;Rhee, Dong-S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68-668
    • /
    • 2012
  • 제방 비탈면 보호방법 중에서 식생매트를 사용하는 방법은 제방의 보호와 함께 자연친화적이면서 생태계의 보전 측면에서 유리하고 이와 아울러 심미적 효과와 비용의 적절성 등의 요건을 만족하기 때문에 최근 국내 자연형 하천정비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식생매트들이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식생매트로 인한 제방의 비탈면 보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성적으로 분석된 예가 미흡하여 이에 관한 연구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탈면을 보호하는 비탈덮기는 생태계와 경관 등의 고려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먼저 유수에 의한 파괴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제방의 비탈면 보호 효과가 다른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밖에 없는 식생매트의 경우 적용범위와 한계를 명확히 하여야 잘못된 적용으로 인한 재해를 막을수 있을 것이다. 근래 들어 지역을 가리지 않는 국지성 폭우로 인한 홍수가 점차로 확대되고 있는 국내 상황을 고려할 때에도 식생매트의 한계와 적용범위의 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동 하천실험센터 호안블록 시험구간에서 하류 10m 지점에서 시작하는 20m 구간에 두 종류의 식생매트를 교대로 설치하여 각각의 식생매트에 관한 파괴실험을 수행하였다. 두 종류의 식생매트 모두 코코넛 섬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제품이며, 식생매트의 파괴 실험은 식생활착 이전의 상황을 재현하여 수행하였다. 이는 통상적으로 식생 활착 이전의 식생매트가 제방 비탈면을 보호하는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본 실험에서는 식생매트의 자체의 단점과 한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 두 종류의 식생매트는 모두 침수시 부력으로 인한 부유 현상과 식생매트 틈세 흐름으로 인한 기반층의 세굴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식생매트를 고정하는 앵커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식생매트가 기반 토층에서 분리되어 파괴가 발생하는 유량조건은 각각 식생매트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 또한 매트를 고정하는 앵커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Gagokchon River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Channel Environment (가곡천 하도환경 변화에 따른 수리특성 분석)

  • Choi, Jong Ho;Jun, Kye Won;Yoon, Yo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60-260
    • /
    • 2019
  • 해안과 만나는 하천의 하구부에서는 해수의 흐름에 따른 연안토사의 이동과 유황에 따른 하천상류에서의 토사유입량에 의해 하구부가 빠르게 변화한다. 본 연구대상지인 가곡천은 유로연장이 짧고 경사가 급한 산지하천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집중호우시 토사가 하류로 빠르게 유입되어 일반하천에 비하여 하구부의 지형변화가 크게 일어난다. 가곡천 하구부는 모래사장으로 이루어져 있는 호산해수욕장과 경관적 및 자연적 가치로 인해 보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하중도인 솔섬이 위치해 있다. 그러나 현재 솔섬 주변 하구부 인근의 일반산업단지 건설과 고향의 강 조성사업에 따른 하도환경의 변화로 하도를 유하하는 유수의 흐름 및 침퇴적 양상의 변화를 가져와 홍수의 원활한 소통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현장조사 및 모니터링 결과 하구 지형변화로 인해 하도안정 유지관리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곡천 하구부의 하도환경 변화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 및 하천형태학적인 변화를 분석하여 하도안정을 파괴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가곡천 하천정비기본계획의 빈도별 홍수량, 기점홍수위를 경계조건으로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인 SRH-2D모형을 이용하여 하도환경 변화 전 후의 대상구간에 대해 수리특성 및 하상변동 양상을 모의하였다. 모의결과 하도환경 변화(홍수터 및 징검여울 등의 하천시설물 조성)에 따른 수리특성변동양상과 침 퇴적지점에 대한 변동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해안 하구부에 위피한 하천의 다양한 변화 해석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 of Road in the Changdeokgung Palace Rear Garden between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근현대기 창덕궁 후원의 동선 변화에 관한 연구)

  • HA, Taeil;KIM, Choongsik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4 no.2
    • /
    • pp.120-135
    • /
    • 2021
  • Changdeokgung Rear Garden is an important place to show the essence of the garden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garden landscape experience, the restoration of the road completes the system of connecting the main spaces. Therefore, the restoration of the road requires accurate understanding of its creation, extinction, and mainten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ail the changes in the path that occurred in the Changdeokgung Palace Rear Garden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by analyzing literature and drawing materials. For a time-series analysis, "Donggwoldo" and "Donggwoldohyeong" produced in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Changdeokgung Plan Drawing" produc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and aerial photographs were used. Drawings and photographs of different coordinate systems were transformed into one coordinate system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rcGIS to compare changes in the movements of different perio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37 sections have been used since Japanese colonial era, of which 13 have been maintained, 14 have disappeared, and 10 have been newly established. Among the extinction sections, the road north of Neungheojeong Pavilion is considered to be an urgent place to connect the space to the garden and restore it to enjoy the scenery. In the new section, it seem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alternative road or shorten the section for the connecting section between Daebodan and Okryucheon.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biggest and most frequent changes to the road system in the garden were Japanese colonial era and renovations in the 1970s. It is worth noting the changes in the road since the 1970s, rather than Japanese colonial era, where it was difficult to manage the gardens independently. The access road to Okryucheon remained in its original shape until the 1990s, but it was renovated to its current shape due to misperception of the original shape. A project is needed to find out the cause of the change in this period and restore the damaged original shape. The biggest achievement of this study is that it revealed the changes in the garden path of Changdeokgung Palace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The biggest achievement of this study is that it revealed the changes in the road of Changdeokgung Palace Rear Gardens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has not been able to clearly present the location and shape that should be restored because it has not found data on landscaping plans or maintenance. In order to restore the road using the data revealed in this study,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realistic problems such as current space utilization, viewing system, disaster prevention and mainte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