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계교차점

Search Result 5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ree-dimensional Boundary Segmentation using Multiresolution Deformable Model (다해상도 변형 모델을 이용한 3차원 경계분할)

  • 박주영;김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592-594
    • /
    • 2000
  • 변형모델(deformable model)은 볼륨의료영상(volumetric medical image)으로부터 복잡한 인체기관의 3차원적 경계를 분할해내기 위해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 변형모델은 초기와 의존성, 오목한 경계(concavity) 분할의 비적합성, 그리고 모델내 요소간 자체교차(self-intersection)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고, 오목한 구조를 포함하는 복잡한 인체기관의 경계를 분할하기에 적합한 새로운 변형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변형모델은 볼륨영상 피라미드(pyramid)를 기반으로 다해상도(multiresolution)의 모델 정제화(refinement)를 수행한다. 다해상도 모델 정제화는 전역적 시셈플링(global resampling) 및 지역적 리샘플링(local resampling)를 통하여 저해상도의 모델로부터 점차 고해상도의 모델로 이동하면서 객체의 경계를 계층적으로 분할해가는 방법이다. 다해상도 모델에 의한 계층적 경계 분할은 초기화 조건에의 의존성을 극복할 수 있게할 뿐 아니라, 빠른 속도로 원하는 객체의 경계에 수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지역적 리샘플링은 모델 구성요소의 정규화를 수행함으로써 객체의 오목한 부분을 성공적으로 분할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안 모델은 기존 변형모델에서 포함하는 내부 힘(internal force)과 외부 힘(external force)외에 자체교차방지 힘(non-self-intersection force)을 추가함으로서 효과적으로 모델내의 자체교차를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Boundary Node Detec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경계노드 검출)

  • Kim, Youngkyu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4
    • /
    • pp.367-372
    • /
    • 2018
  • This paper proposed an algorithm that detects boundary nodes effectively in wireless sensor network. A boundary node is a sensor that lies on the border of network holes or the outer boundary of wireless sensor network. Proposed algorithm detects boundary nodes using only the position information of sensors. In addition, to improve detect performance, sensor computes the overlap area of nearest sensor first. Simulation is performed to validate the proc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In Simulation, several obstacles are placed and varying number of sensors in the range of 500~1500 are deployed in the area in order to reflect real world. The simulation results shows that proposed algorithm detects boundary nodes effectively that are located on the border of holes and the outer boundary of wireless sensor network.

Deformable Model using Hierarchical Resampling and Non-self-intersecting Motion (계층적 리샘플링 및 자기교차방지 운동성을 이용한 변형 모델)

  • 박주영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29 no.11
    • /
    • pp.589-600
    • /
    • 2002
  • Deformable models offer an attractive approach for extracting three-dimensional boundary structures from volumetric images. However, conventional deformable models have three major limitations - sensitive to initial condition, difficult to represent complex boundaries with severe object concavities and protrusions, and self-intersective between model elements. This paper proposes a deformable model that is effective to extract geometrically complex boundary surfaces by improving away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deformable models. First, the proposed deformable model resamples its elements hierarchically based on volume image pyramid. The hierarchical resampling overcomes sensitivity to initialization by extracting the boundaries of objects in a multiscale scheme and enhances geometric flexibility to be well adapted to complex image features by refining and regularizing the size of model elements based on voxel size. Second, the physics-based formulation of our model integrates conventional internal and external forces, as well as a non-self-intersecting force. The non-self-intersecting force effectively prevents collision or crossing over between non-neighboring model elements by pushing each other apart if they are closer than a limited distance. We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successively extracts the complex boundaries including severe concavities and protrusions, neither depending on initial position nor causing self-intersection, through the experiments on several computer-generated volume images and brain MR volume images.

소디움 관-통 형 열교환기의 교차류 열전달 해석 특성

  • 심윤섭;김연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b
    • /
    • pp.298-303
    • /
    • 1996
  • 액체금속로 IHX 의 열전달 해석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일차적인 단계로서 교차류 열전달 모형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는 그 주요내용은 새로운 대수화 (finite differencing) 기법인 경계점 기법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기법의 적절성을 확인하고 IHX 기하형태 및 운전 요건에 따른 격자수에 대한 요건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IHX 해석에 간이 이차원 해석 모형 사용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Outlier Improvement Method Using Cost Function (비용 함수를 이용한 오 정합 개선 기법에 관한 연구)

  • Paik, Yaeung-Min;Choi, Hyun-Jun;Seo, Young-Ho;Kim, D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269-27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변이지도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비용 함수를 이용한 교차 일치성 검사 기법을 제안하고, 다양한 조건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듬이 효율적임을 보였다. 좌우 변이정보를 이용하는 교차 일치성 검사로 오정합을 검출하는 방법을 시도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물체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오정합을 찾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최종 변이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교차 일치성 검사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으로 영역 기반 스테레오정합 방법은 물체의 경계에서 정확도 높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합창의 크기를 늘리거나 특징 점을 이용한 적응적 가변 정합창을 적용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기존 교차 일치성 검사를 통한 오정합 검출은 부정확하다. 이러한 영역의 비용 함수 값들을 비교한 결과 첫 번째와 두 번째 값의 차이가 적거나 크게 나타난다. 제안한 방법은 기존 방법에 비해 오정합 검출 능력을 향상 시킨다. 제안한 방법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스테레오 비전에서 많이 사용되는 영상을 적용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교차 일치성 검사 방법과 제안한 방법의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전체 영역에 대한 오차율 (error ratio)과 교차 일치성 검사로 유효하다고 판단된 변이 값 중 실제 변이 값과 일치하지 않은 변이값의 오차율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 방법에 비해 제안한 방법이 1~5%정도 낮은 오차율을 보였다

  • PDF

Extraction and Modeling of Curved Building Boundaries from Airborne Lidar Data (항공라이다 데이터의 건물 곡선경계 추출 및 모델링)

  • Lee, Jeong Ho;Kim, Yong 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4
    • /
    • pp.117-125
    • /
    • 2012
  •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tract buildings from airborne lidar data, most of them assume that all the boundaries of a building are straight line segments. This makes it difficult to model building boundaries containing curved segments correctly. This paper aims to model buildings containing curved segments as combination of straight lines and arcs. First, two sets of boundary points are extracted by adaptive convex hull algorithm and local convex hull algorithm with a larger radius. Then, arc segments are determined by average spacing of boundary points and intersection ratio of perpendicular lines. Finally, building boundary is modeled through regularization of least squares line or circle fitting.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model the curved building boundaries as arc segments correctly by completeness of 69% and correctness of 100%. The approach will be utilized effectively to create automatically digital map that meets the conditions of the Korean digital mapping.

An Local Deformation Method of Free-Form Surface using Subdivision Boundary Patches (분할 경계 패치들을 이용한 자유형태 곡면의 구간변형방법)

  • 박철호;심재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574-576
    • /
    • 1999
  • 변형방법은 물체의 일부분 혹은 전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의 형태로 변형하는 것으로서, 복잡하고 다양한 자유 형태 곡면들을 모델링하는데 필수적인 방법이다. 이러한 객체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은 접선벡터와 경계 교차 곡선들로 구성되는 패치들을 정의하고, 물체상의 이동된 점들에 대한 변화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많은 계산량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분할 경계 패치들을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한 새로운 구간 변형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물체상의 변화량을 분할 경계 곡선에 필요한 형태 제어점으로 간주하여 형태 제어점을 이용하여 불규칙한 패치들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접속과 제어 및 국부수정의 변형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NURBs 보간을 이용하여 변형범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Development of an Unstructured 2-D Chimera Technique for Overlapped Bodies in Relative Motion (2차원 비정렬 중첩격자계를 이용한 서로 겹쳐진 물체간의 상대운동 해석기법 개발)

  • An, Sang-Jun;Gwon, O-Jun;Jeong, Mun-Se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4 no.2
    • /
    • pp.17-25
    • /
    • 2006
  • In the present study, a 2-D chimera technique for overlapped bodies in relative motion is developed using unstructured triangular meshes. The solid boundary nodes located next to the intersecting point between bodies are merged to the intersecting point to assure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intersecting region. In order to assign proper value of flow variables at the nodes located out of the computational field, interpolation is conducted for non-active nodes. For validation, the motions of a NACA64A006 airfoil and a NACA0012 airfoil with a plane flap are comput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other simulations. The motion of a launching missile ejected from a NACA0012 airfoil is also simulated.

Numerical Analysis of Two-Dimensional Nonlinear Radiation Problem Using Higher-Order Boundary Element Method (고차경계요소법을 이용한 2차원 비선형 방사문제의 수치해석)

  • Hong-G. Sung;Hang-S. Choi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7 no.1
    • /
    • pp.67-81
    • /
    • 2000
  • An accurate and efficient numerical method for two-dimensional nonlinear radiation problem has been developed. The wave motion due to a moving body is described by the assumption of ideal fluid flow, and the governing Laplace equation can be effectively solved by the higher-order boundary element method with the help of the GMRES (Generalized Minimal RESidual) algorithm. The intersection or corner problem is resolved by utilizing the so-called discontinuous elements. The implicit trapezoidal rule is used in updating solutions at new time steps by considering stability and accuracy. Traveling waves caused by the oscillating body are absorbed downstream by the damping zone technique. It is demonstrated that the present method for time marching and radiation condition works efficiently for nonlinear radiation problem. To avoid the numerical instability enhanced by the local gathering of grid points, the regriding technique is employed so that all the grids on the free surface may be distributed with an equal distance.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ime interval and improve numerical stability. Special attention is paid to the local flow around the body during time integration. The nonlinear radiation force is calculated by the "acceleration potential technique". Present results show good agreement with other numerical computations and experi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