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결혼적응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2초

결혼이주여성이 인지하는 '좋은 여가'의 유형과 의미 분석 (Analysis of Types and Meaning of 'Good Leisure' Perceived by Married Immigrant Women of Korea)

  • 김영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23-330
    • /
    • 2020
  •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인지하는 '좋은 여가'에 대한 유형과 특성을 규명하고자 심층면담과 개방형 질문을 통해 32문항의 Q 표본을 추출하여, 결혼이주여성 40명을 P표본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이 생각하는 '좋은 여가'의 유형은 4가지로 분류되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들이 생각하는 '좋은 여가'의 유형은 여가 활동을 통해 마음이 편안하고 여유로워질 때 좋은 여가로 인식하는 제 1유형인 심리적 안녕 추구형과 여가활동을 통해 즐겁고, 자기 개발이 될 때 좋은 여가라고 인식하는 제 2유형인 정서 안정 및 자기 개발형, 적은 비용으로 생활에 필요한 것을 배울 때 좋은 여가라고 인식하는 제 3유형인 실용 추구 및 정보 습득형, 한국문화를 배우고 한국인과 교류할 때 좋은 여가라고 인식하는 제 4유형인 문화 적응 및 교류형 등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각 유형에 관계없이 결혼이주여성들은 '좋은 사람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을 좋은 여가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배우자지지와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 도시와 농촌 지역의 차이 (The moderating effect of support from spouse and family in the relation between marriage adapt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 김순옥;임현숙;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5-186
    • /
    • 2015
  •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거주 결혼이주여성들의 결혼적응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배우자 및 가족지지의 조절효과가 거주지역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거주지역 특성에 맞는 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본 연구결과 결혼적응도와 삶의 질 사이의 영향관계에서 배우자 및 가족지지의 조절효과가 있었고, 도시보다 농촌에서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농촌과 도시의 특성에 맞는 거주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배우자지지, 가족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맞춤형 중재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해 볼 것을 제언한다.

  • PDF

한국 부부의 갈등해소 방법 선택에 있어서 개인적 변인과 상황적 변인의 상대적 중요성 (Marital Conflict Strategies as Personal and Situational Attributes:A Study of Korean Couples)

  • 전효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91-106
    • /
    • 2000
  • 대부분의 갈등해소에 관한 연구들은 갈등해소방법 사용의 상황에 따른 일관성을 미리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몇몇 연구에서 갈등해소방법에 있어 성격의 효과와 함께 상황적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갈등의 쟁점, 감정, 관련 인물과 이들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갈등해소방법의 일관성에 관한 연구가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상황에 따른 갈등해소 방법 선택의 일관성의 수준과 결혼 적응도에 있어서의 이들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나아가, 갈등해소의 과정 및 절차를 관찰하였다. 350쌍의 한국 부부들에게 설문조사(1차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50쌍을 선발하여 갈등해소 과정을 관찰하였다(2차연구).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쟁점의 종류나 관련 대상에 따라서는 비교적 일관성 있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감정상태에 따라서는 비 일관적인 해소방법을 사용하였다. 안정형 애착유형자는 건설적 해소 방법을 사용하는 반면, 불안정 애착유형자는 파괴적 또는 회피적 해소방법을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찰 연구 결과에 의하면, 건설형 및 회피형 사용자는 설문조사와 관찰연구에서 일관성 있는 행동을 보였으며, 파괴형 해소방법 사용자는 설문조사와 관찰연구에 있어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갈등해소의 과정, 즉 시작, 진행, 종료에 있어 유의한 타이가 발견되었으며, 이것이 결혼 적응도에 영향을 주었다. 연구결과들은 갈등해소와 결혼 적응에 관한 이론과 연계되어 논의되었다.

  • PDF

결혼유형과 스포츠활동 참여유형에 따른 결혼건강과 결혼생활만족의 차이에 관한 분석 (Investigation on Marital Health and Marital Life Satisfaction based on Types of Marriage and Sport Activity Participation)

  • 최철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90-498
    • /
    • 2020
  • 많은 국제결혼가정들은 그들이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상당한 수준의 스트레스를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기 위해 경험한다. 본 연구는 결혼의 유형과 스포츠활동 참여유형이 결혼건강과 결혼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329명의 참여자들은 결혼유형(국제결혼/국내결혼)과 스포츠활동 참여유형(배우자와 함께/따로)에 따라 총 4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으며 일원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결혼건강과 결혼생활만족의 그룹 간 차이를 확인했다. 결과적으로 문화적 그리고 언어적 차이와는 상관없이, 배우자와 함께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응답자들이 그렇지 못한 응답자들보다 4개의 요인(유대감, 의사소통, 가치공유, 결혼생활만족)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배우자와 함께 참여하는 스포츠활동이 결혼생활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러한 결과는 다문화사회에서 사람들의 더 나은 결혼생활을 돕기 위한 통찰력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중년여성의 피로와 지각된 건강상태, 결혼적응도 및 스트레스 (The Study of Fatigue, Perceived Health Status, Marital Adjustment and Stress in Middle Aged Women)

  • 장혜경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13-421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other variables(perceived health status, marital adjustment and stress), and defin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fatigue in middle aged wome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212 middle aged women. Data analysis was done with the SPSS 11.0 pc+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of fatigue was 2.30(${\pm}0.46$), perceived health status was 2.82(${\pm}0.68$), marital adjustment was 2.86(${\pm}0.44$), and stress was 2.43(${\pm}0.61$).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atigue and the other variables(r=.56-.21, p=.00). The major factors that affect fatigue in middle aged women were stre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marital adjustment, which explained 35.2% of fatigue. Conclusion: These variables have an effect on middle aged women's fatigue. Therefore, these findings can provid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o manage fatigue.

  • PDF

원가족 분화경험이 기혼남녀의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불안과 행복감을 매개로 (The Influence of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on Marital Adjustment: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and Sense of Well-Being)

  • 이재림;김영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7호
    • /
    • pp.13-2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xiety, and sense of well-being on marital adjustment among married men and wom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44 married men and 324 married women, who had preschooler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in both men and women had a direct effect on anxiety and sense of well-being. Second,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for both men and women were indirectly influenced by marital adjustment through anxiety and sense of well-being. Third, anxiety of women influenced dyadic consensus at greater degree than men's. Fourth, anxiety and sense of well-being in both men and women had a direct effect on dyadic consensus, dyadic satisfaction, dyadic cohesion and dyadic affection expression. Finally, in women's cases, it was indicated that emotional cut-off from mother directly influences marital adjustment.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의 질의 결정요인 :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The Determinants of Marital Quality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 The Importance of Life Stress and Social Support)

  • 김현숙;김희재;오중환
    • 한국인구학
    • /
    • 제34권1호
    • /
    • pp.27-51
    • /
    • 2011
  •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의 질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사회적 지지와 생활스트레스의 중요성을 탐구한다. 특히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결혼의 질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 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가 2009년 "결혼이주여성의 자아 탄력성과 부부 적응"이라는 주제로 실시한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결혼 이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결혼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이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결혼의 질에 독립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결혼의 질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부정적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는 생활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결혼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의 결혼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 지지망의 확충 및 효과적인 지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가족 회복력 모형검증 (Verification Effect of Family Resilience Model of married immigrant women)

  • 오재우;박인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5호
    • /
    • pp.355-370
    • /
    • 2013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회복력 요인의 관계양상 및 영향력을 확인하고 가족적응을 증진시키는데 유용한 간호실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한국에서 거주한지 1년 이상 된 대전 외곽의 도 농 복합지역 및 충남 지역에 있는 결혼이주여성이 대상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2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시행하였으며, 최종 216부를 자료의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LISREL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ANOVA, t-test,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가설검정은 경로분석을 하였다. 가설모형의 전반적 지수는 ${\chi}^2$= .06(p= .812), df=1, ${\chi}^2$(df)=.06, GFI=1.0, AGFI= 1.0, SRMR=.002, NFI= 1.0, NNFI=1.0, RMSEA=0.000, CN=266으로 좋은 부합도를 보였다. 모형에서 제시된 가설검증 결과를 보면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가족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로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 및 가족강인성, 문제해결 의사사통, 문제해결 대처는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위기상황에 놓여있는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의 적응을 돕는 간호중재는 스트레스 상황에 대해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긍정적인 관점을 가지도록 돕고, 가족 관계 내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하는 중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Effec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Participation in K-POP Cover Dance on Acculturation Stress and Depression according to Self-esteem, Social Support

  • Kang, Byeol-N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2호
    • /
    • pp.219-229
    • /
    • 2022
  •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 대상으로 K-POP 커버댄스를 실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에 따른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관계 개선 및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30대 여성결혼이민자를 모집, 사전검사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에 따라 정도가 높은 그룹 HSS(High Self-esteem & Social Support)와 낮은 그룹 LSS(Low Self-esteem & Social Support)로 각 25명씩 임의배정하였고, 사전검사, 6주차, 12주차, 총 3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K-POP 커버댄스(60분, 주 3회, 12주간) 참여에 따른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존중감은 HSS, LSS 두 그룹 모두 참여 기간이 길수록 향상되었고, LSS 그룹이 6주후부터 더 크게 향상되었다. 사회적지지는 HSS는 6주후부터, LSS는 12주 후부터 감소하였고, 문화적응스트레스는 HSS, LSS 모두 6주후, 12주후 지속 감소, LSS 그룹이 더 크게 감소하였다. 우울은 HSS, LSS 두 그룹 모두 참여 기간이 길수록 감소, LSS 그룹이 6주후부터 더 크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K-POP 커버댄스는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향상과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우울 감소에 효과적인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초국가적 이주에 따른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과 생활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l Identity and life Change of Female Marriage Migrants by Transnational Migration)

  • 정유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0-194
    • /
    • 2016
  •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은 특정 장소나 위치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지리적 이동과 새로운 지역으로의 정착을 통해 유연적 유동적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주라는 공간적 전환을 통해 구성 재구성되는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과 생활 변화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을 다문화와 이중문화 정체성,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배제와 본국문화 정체성, 주변화와 주변문화 정체성으로 유형화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이주 및 정착과정에서 나타나는 생활 변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주의 실행이라는 동일한 경험을 한 결혼이주여성이라 할지라도 개인적, 지역적 특성과 그 속에서 주어진 역할에 따라 상이한 지역정체성을 형성했다. 또한 대부분의 결혼이주여성들은 본국문화 정체성의 유지 및 표출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반수이상의 결혼이주여성들이 다문화와 이중문화 정체성,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유형의 결혼이주여성이 다른 유형보다 생활만족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여전히 한국사회의 결혼이주여성에게는 동화와 순응이 적응과 동일개념으로 인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 및 다문화 가정 자녀의 이문화 역량은 문화와 문화 사이의 교량적 역할을 가능하게 하며, 한국의 다문화사회 다문화공간으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서로의 문화를 상호인정하고, 공존할 수 있는 전세계적 시민성 함양이 필요함을 제언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