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결혼이주

검색결과 389건 처리시간 0.027초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한국에 거주하는 몽골이주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depression of Mongolians in Korea: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나란볼락;유금란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1호
    • /
    • pp.35-4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몽골이주민들의 우울을 측정하는 것이며,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총 2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우울, 사회적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SPSS 22.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변수들의 요인분석, 상관분석, t 검증, 위계적 회귀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집단 간 평균점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집단에 비해 한국에서 3년 이상 거주하는 집단, 결혼이민자 집단, 여성 집단에서 우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몽골이주민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몽골이주민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은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몽골이주민의 우울 및 정신 건강을 평가하는 데에 기여할 할 것이다.

다문화사회에서 종교의 교육적 수용 - 협력 종교 교육을 중심으로 - (The Educational Acceptance of Religion in Multicultural Society: Focused on Cooperative Religious Education)

  • 김진영
    • 대순사상논총
    • /
    • 제45집
    • /
    • pp.153-186
    • /
    • 2023
  • 2000년대 들어 한국 사회는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자, 유학생, 난민 등의 유입이 급증하면서 다문화사회로 이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종교 사회로서 종교 간 평화와 공존이 유지됐던 한국 사회는 갈등이 표면화되며 사회 문제로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다문화 환경을 인식하고 대처하는 데 있어서 종교는 다문화 사회화 과정에서 공동체의 통합과 안전에 기여하나 다른 한편에서는 공동체 내부에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양가성을 띰으로써 교육적 차원에서의 논의를 필요로 한다. 이는 교육의 주요 기능 중 하나가 사회통합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종교 교육이 다문화사회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런 인식 속에서 종교 다양성에 대응하기 위한, 그리고 현재의 사회를 이해하고 세계 시민으로 거듭나기 위한 새로운 관점의 종교 교육에 대한 논의를 필요로 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종교 이해'(religious literacy)를 배양하기 위해 다양한 종교적, 비종교적 세계관을 교육하는 '교양 종교 교육'(general religious education) 모델이다. 그렇지만 다문화사회에서 교양 종교 교육이 학생들이 통합 환경 속에서 편견과 차별을 줄이는 데 유용할지라도 다문화주의의 가장 효과적인 접근법이 각 인간 집단의 고유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라는 점을 상기한다면 '개별 종교 교육'(special religious education) 또한 필요성이 인정된다. 이에 본 연구는 종교 교육의 방안으로 교양 종교 교육과 개별 종교 교육을 결합한 '협력 종교 교육'(co-operative religious education)을 제안할 것이며, 이에 기초하여 한국의 종교 정책과 종교 교육을 검토하고 학교 현장에 실천 가능한 현실적인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경북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영양지식 및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Nutrition Knowledge and Need for a Dietary Education Program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in Gyeongbuk Region)

  • 정미정;정은경;김애정;주나미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8권1호
    • /
    • pp.30-4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materials and assistance for developing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targeting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it was carried out on 86 female marriage immigrants living in the Gyeongbuk region. An average age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ere 28.6 years, and their home countries were the Philippines (32.6%), Vietnam (29.1%), and so on. Exactly 59.3% of subjects had been married for 1~5 years, and 40.7% of the subjects had an education status of less than middle school graduation. The majority of them (65.1%) had one more children, and 51.2% of subjects were a part of a nuclear-family, with the husband's age between 40~49 years old (58.1%). Concern for nutrition lab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number of children (P<0.01), period of marriage (P<0.001), and education level (P<0.05). It was demonstrated that a higher level of education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need to learn about nutritional information. Understanding nutritional facts and knowledge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women with two children than no child (P<0.05), period of marriage >10 years than <1 year (P<0.01), and education level of college & university graduation than less than middle school (P<0.05). Sixty percent of the women surveyed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program of 'Korean language' as they were in their country, and the most preferred education program was 'Korean dietary life and culture' (39.5%). Regarding participation and educational method, the majority of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wanted to learn nutritional education in a cooking academy or school (52.9%) and public health center (34.1%).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속한 다문화가정의 식생활 관련 행태, 인식 및 선호음식 양상 분석 (Diet-related Behaviors, Perception and Food Prefer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Vietnamese Wives)

  • 소지선;한성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89-602
    • /
    • 2012
  • The Korean society has gone through a dramatic change in its population, with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since 1990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multicultural families and Korean families in three areas related to dietary behaviors: diet-related behaviors and perception, and food preferences.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in 500 Koreans from Korean families and 104 couples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with Vietnamese wives. More subjec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rew up in the countryside, received less education and also had lower income than the subjects from Korean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ate traditional Korean meals more often at home and dined out less often than Korean families. The multicultural families focused more attention on nutritional aspects of their diets than Korean families. The Vietnamese wives in multicultural families favored Vietnamese foods but they rarely ate those foods in Korea despite an easy accessibility to Vietnamese ingredients. In conclusion, the multicultural families had more traditional Korean dietary patterns than Korean families, which could have been influenced by their socioeconomic factors. Further research with a quantitative analysis is needed in future studie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dietary patterns on nutri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multicultural and Korean families.

베트남 여성의 가족 인식, 성역할가치관, 노부모 부양가치관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Study on Family Perception, Gender-Role Values, Elderly Parent Support Values of Vietnamese Women)

  • 이은주;전미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3호
    • /
    • pp.129-145
    • /
    • 2016
  •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s in family values, which is a cause of family dissolution and conflict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41 women in Vietnam. It was done to explore their family values. Specifically, the following were examined: the overall family values and martial status of Vietnamese women; differences in their family values by region (northern, central, southern).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s of the following content: 'family perception'; 'gender-role values'; 'elderly parent support value'.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values of Vietnamese women are as follows. First, the scope of family perceived by them was relatively narrow. In particular, most of them didn't perceive the parents of a spouse as a familymember. Second, in terms of gender-roles, they perceived men and women as equal and didn't have strong perception of traditional gender roles. Third, they felt strongly about supporting elderly parents. The perception of supporting elderly parents is based on equal gender roles, instead of the paternalistic approach. They preferred financial support to living with parents.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family values by region. Also, their values seemed to be the opposite of the ones well-known by region. In addition, their values were changing amid economic growth and modernization. Residents in Can Tho in the south - known to have open-minded Southeast Asian values - had the most patrilineal, traditional values with strong perception towards supporting elderly parents. Residents in Hanoi in the north - known to have heavy influence of Confucian culture - had non-traditional values with positive attitude towards liberal sex culture, divorce, and remarriage. Residents in Da Nang, a central region, had a mixture of northern and souther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family values.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특성 및 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on Psycological Adaptation)

  • 양심영;박수경;김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70-28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특성 및 사회적 자본이 우울 및 자존감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조사대상자는 서울 등 7개의 대도시지역의 어머니가 결혼이주여성인 초등학교 3~6학년, 중1~3학년 아동 305명, 그의 어머니 295명이다. 회귀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친구 지지가 낮을수록, 이용한 프로그램 수가 많을수록, 주관적 경제수준이 낮다고 생각할수록 우울감이 더 높게 나타났고, 이 중 친구 지지가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친구지지가 가장 강력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 교사지지, 이용한 프로그램 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족 아동의 심리적응을 높이기 위한 개입 시 이중문화특성과 사회적 자본 특성을 고려해야 하며 특히 친구지지나 교사지지와 같은 사회적 자본 특성을 반영한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한국, 중국,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계 노인의 건강상태 비교 (Comparison of the Health Status Between Korean Seniors and Overseas Korean Seniors in China and Japan)

  • 조미경;이옥철;신기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079-208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국 및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계 노인들을 대상으로 건강상태를 평가하는 것으로 한국에 거주하는 노인 및 한국에서 출생 한 후 중국과 일본으로 이주한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노인 231명, 일본노인 126명, 중국노인 246명으로 총 603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74.4세였다. 한국, 중국, 노인의 건강상태는 한국 노인이 중국과 일본 노인에 비해서 건강상태의 평균점수가 높았다. 노인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으로는 연령, 성별, 결혼상태, 종교, 교육정도, 용돈, 흡연과 음주, 수면시간 및 건강관리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한국, 중국, 일본의 문화적 차이에 따라 거주하는 노인의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따라서 추후 노인의 건강증진 방안 모델 제시에는 노인들의 문화적 특성이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혼이주여성의 식생활 적응 및 영양소 섭취실태 (Food adaptation and nutrient intake of female immigrants into Korea through marriage)

  • 김지명;이희승;김민화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2호
    • /
    • pp.159-16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 food adaption, eating behavior and dietary intakes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by age, number of residence years in Korea and level of income. The survey included 67 female marriage immigrants attending the Korean language class a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within the northern part of Kyonggi province from October 2010 to July 2011. General characteristics,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and eating behavior were collected and dietary intakes were assessed using 24-hour recall. The home countries with regards to all subjects were Vietnam (40.3%), China (23.9%), Japan (11.9%), Philippines (7.0%), and Mongolia (3.0%). Total energy intake was 1432.5kcal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tritional intake concerning vitamin B1 and vitamin B2 by age (p < 0.05). More than 50% of subjects did not meet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for calcium (56.7%), zinc (52.2%), vitamin C (55.2%), and folic acid (76.1%). Food adaptat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ge, residence year, drinking alcohol and acquisition of nationality), total scores of eating behavior, and nutritional intake (energy, protein, fat, fiber, calcium, phosphorus, sodium, potassium, niacin, vitamin E, and zinc). These results might suggest that the better their Korean food adaptation, the more desirable their eating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음식문화 적응 경험 분석 (Analysis of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 이정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3-114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experience on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especially identifying the symbolic meaning and nature of experienc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ix married female immigrants through an analysis of the qualitative materials which consisted of in-depth interviews, field notes and materials. Data was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Results: The results were deduced as 116 significant statements, 17 formulated meanings (sub-theme), and 6 theme clusters. Six theme clusters comprised of lack of preliminary knowledge and information, conflict and support in relationships, Korean food culture which is different from homeland, adaptation attitudes of Korean food culture according to situation, sharing of homeland food culture, and practical difficulty and expectative service. The participants started Korean life in the dark about Korea and Korean food culture, so they were subjected to trial and error. The conflict between Korean mother-in-law and foreign daughter-in-law came from lack of consideration of daughter-in-law's cultural background. Some participants were hurt because of misunderstanding and nitpicking. They were learning about cooking method, ingredient, seasoning, table setting and manner. Some participants integrated Korean food culture and their homeland food culture. Some of them assimilated with Korean food culture. One of them maintained homeland food culture. The participants who adapted Korean food culture well could share homeland food amicably. They sometimes didn't apply the services which were offered by the government, because the services did not fit their needs. Some of them didn't know the usage route of the services or information. They had resistance about home teaching and it showed that outreach service was not always effectiv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support plan which covers married female immigrants' real needs and system improvement measures.

다문화 교육의 현실 문제와 개선 방안

  • 차민정;강은숙;정지윤;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71-479
    • /
    • 2011
  • 한국의 어두운 역사적 배경 속에서 '혼혈아'라 불리던 국제결혼자녀 또는 미군아버지로 부터 버림받은 사생아들은 한국 사회에 포용이 될 수 없었다. 더불어, 그 이후 유입된 새터민, 외국인 노동자, 중국동포의 다문화 가정자녀들도 외국인도 내국인도 아닌, 외계인으로 사회적 고립으로 말미암아 소외계층으로 밀려나야 했는데, 이는 단일 민족주의를 긍지로, 여기는 한국의 주류층과의 차이가 차별(discrimination)로 변질된 현상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의 차이는 '잠재적 역량'이 될 수 있는 이면적 장점을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한국의 사회. 문화적 신념에 의한 배타적 성향을 지닌 한국 주류층들은 물론이거니와, 다문화사회 구성원들조차 인식하지 못하거나, 활용되지 못하는 것이 현 실정 이었다. 글로벌 사회의 도래로, 다문화 사회를 바라보는 전체사회의 의식변화를 요구하는 사회 각계각층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체류외국인 100만 명 돌파의 시대에 돌입 후 정부는 다문화사회 도래에 대한 다양한 대비책을 마련하는 현 상황에서 다문화사회 구성원들의 정부시책에 대한 관심과 자체적 노력이 더욱 요구되며, 이런 노력 하에 전체사회의 변화가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다문화사회의 미래인 그들의 자녀들을 위해 교육적, 제도적, 정책적 인프라구축의 노력에 결실을 가져오리라 본다. 한국사회가 송출국에서 수민국가 대열에 서게 된 이 시점에서 다른 국가들의 이민과 교육정책을 살펴보고, 한국의 이주자 대상별로 전반적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 현실 및 한국 다문화 교육 정책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미래지향적 다문화 교육에 대한 앞으로 한국의 다문화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