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국제결혼여성의 이주흐름

  • Received : 2009.09.14
  • Accepted : 2009.10.29
  • Published : 2009.12.25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에 이미 입국한 국제결혼여성들을 분석한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필리핀의 국제결혼여성들이 어떤 국적의 남편과 결혼하는가를 살피고 있다. 필리핀의 국가통계에 따르면, 한국으로 시집가는 필리핀 여성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미국 등을 비롯한 다른 국가에 비해 그 규모도 작고, 역사도 짧다. 필리핀 신부들의 관점에서 보면, 한국은 자신들이 시집갈 수 있는 여러 국가의 하나에 불과하다. 국제결혼을 하고 출국을 기다리는 필리핀 신부들에 대하여 사회 조사를 실시해 본 결과, 자료가 갖는 한계나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남편의 국적에 따라 필리핀 신부와 남편의 특성은 매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으로 시집가는 여성들은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지역 등으로 시집가는 여성들에 비해 매우 젊으며, 교육수준이나 영어구사 수준이 낮다. 또한 동아시아 지역의 남편들은 저학력자가 많다. 부부가 만난 경로에서도 지역간 차이가 나타난다.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지역 국적의 남편들과는 인터넷을 통해 만난 사례가 두드러지는 반면, 동아시아 지역 국적의 남편들과는 친지 및 제3자의 소개를 받은 사례와 학교나 직장에서 만난 사례가 많다. 필리핀 신부들의 국제결혼 과정과 배경을 단순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동아시아 지역과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지역으로의 국제결혼 이주 양상은 필리핀 결혼이주 여성들내에서도 계층화 현상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가늠하게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 (1999)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조선족 여성의 결혼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4(2): 61-80
  2. 김민정.유명기.이혜경.정기선 (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딜레마와 선택: 베트남과 필리핀 아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39(1): 159-193
  3. 김유경.조애저.최현미.이주연 (2008) '다문화시대를 대비한 복지정책방안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08-14
  4. 김정석 (2009) '필리핀 신부의 결혼관과 국제결혼 사례연구' '한국인구학' 32(2): 1-27
  5. 김현미 (2006) '국제결혼의 전 지구적 젠더 정치학: 한국 남성과 베트남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70: 11-37
  6. 설동훈.김윤태.김현미.윤홍식.이혜경.임경택.정기선.주영수.한건수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미래인력연구원, 보건복지부 용역연구 보고서
  7. 양순미 (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 분석: 중국, 일본, 필리핀 이주여성 부부 중심' '농촌사회' 16(2): 151-179
  8. 윤형숙 (2004) '국제결혼 배우자의 갈등과 적응' 최협.김성국.정근식.유명기 (편)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한울 321-349
  9. 이혜경 (2005)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 28(1): 73-106
  10. 정기선.한지은 (2009) '국제결혼이민자의 적응과 정신건강' '한국인구학' 32(2): 87-114
  11. Angeles, L. and S. Sunanta (2007) 'Exotic Love at Your Fingertips: Intermarriage Websites, Gendered Representation, and Transnational Migration of Filipino and Thai Women' Kasarinlan: Philippine Journal of Third World Studies 22(1): 3-31
  12. Cahill, D. (1990) Intermarriage in International Contexts: A Study of Filipina Women Married to Australian Japanese and Swiss Men Quezon, Philippines: U. P. Population Inc
  13. Constable, N. (ed) (2005) Cross-Border Marriages: Gender and Mobility in Transnational Asia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4. Hall, R. E. (2001) Filipina Eurogamy Quezon, Philippines: Giraffe Books
  15. Kim, Doo-Sub (ed) (2008) Cross-Border Marriages: Process and Dynamics. Seoul, Korea: Hanyang University. Institute of Population and Aging Research (IPAR)
  16. Medina, B. T. G. (2001) The Filipino Family (2nd ed) Quezon, Philippines: The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ress
  17. Ogena, N. B., Valencia, M. C. and G. M. Roma (2008) 'Filipina Marriage Migration Streams to Japan, Taiwan and South Korea' edited by D.S. Kim Cross-Border Marriages: Process and Dynamics. Seoul, Korea: Hanyang University. Institute of Population and Aging Research (IPAR)
  18. Panopio, I. and A. Raymundo (2004) Sociology: Focus on the Philippines (4th ed) Quezon, Philippines: KEN INC
  19. Piper, N. and M. Roces (eds) (2003) Wife or Worker? Asian Women and Migration Oxford: Rowman & Little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