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결합조직부착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PERIODONTAL RESPONSE FOLLOWING APPLICATION OF INTRUSIVE FORCES TO THE INCISORS WITH BONE LOSS AND PERIODONTAL DISEASE IN ADULT DOGS (골결손과 치주질환 유도 후 성견 절치의 실험적 함입이동시 치주조직의 반응)

  • Hwang, Hyeon-Shik;Park, Yang-Soo;Choi, Hong-Ra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8 no.3 s.68
    • /
    • pp.431-440
    • /
    • 1998
  • While periodontal disease results in the extrusion of upper incisors with interdental spacing in adult patient, the intrusive movement should be executed for the rehabilitation in terms of esthetics and function. The present study was peformed to investigate the periodontal response following orthodontic intrusion of teeth with infrabony pocket. Bone defect and periodontal disease were produced adjacent to the both maxillary second lateral incisors in four adult dogs. Four weeks later, a flap operation was performed to eliminate inflammation and a reference notch was made on the root surface at the level of bottom of each defect. Two weeks after periodontal surgery, 4 weeks of intrusion and subsequent another 4 weeks of retention was executed on the right side of incisors while left incisors served as the control. Through the histologic analysi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Histologic section of control side showed the reduction of pocket depth after flap operation. However, the status of long junctional epithelium was observed while new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occurred in a small area adjacent newly formed cementum 2. Epithelial attachment was less around the intruded incisor while new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was much more compared to the control side. 3. Plenty of cells were observed in the connective tissue around the reference notch of the intruded incisor and the degree of the new cementum formation was higher in the intruded incisor than the control.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an orthodontic intrusion of periodontally involved and extruded incisors could be carried out with a desirable periodontal response, provided that inflammation is under control.

  • PDF

Effects of implant collar design on marginal bone and soft tissue (임플란트의 collar design이 변연골과 연조직에 미치는 영향)

  • Yoo, Hyun-Sang;Kang, Sun-Nyo;Jeong, Chang-Mo;Yun, Mi-Jung;Huh, Jung-Bo;Jeon, Young-Cha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0 no.1
    • /
    • pp.21-28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mplant collar design on marginal bone change and soft tissue response by an animal test. Materials and methods: Two types of Implant (Neobiotech Co. Seoul, Korea) that only differs in collar design were planted on two healthy Beagle dogs. The impl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with a beveled collar (Bevel Group) and the second group with "S" shaped collar (Bioseal group). Standardized intraoral radiograph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mesio-distal change of the marginal bone. Histological analysis was done to evaluate the bucco-lingual marginal bone resorption and the soft tissue response adjacent to the implant. Mann-Whitney test was done to compare the mesio-distal marginal bone change at equivalent time for taking the radiographs and the tissue measurements between the groups. Results: Radiographic and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rginal bone change between the two groups (P>.05).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Bioseal group had more rigid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than the Beve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biological width (P>.05). Bevel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nger junctional epithelium attachment and Bioseal group showed longer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P<.05). Conclusion: For three month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arginal bone change between the Bevel group and the Bioseal group. As for the soft tissue adjacent to the implant, Bioseal group showed longer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while showing shorter junctional epithelium attachmen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iologic width.

THE RESPONSES OF GINGIVAL AND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OT VARIOUS DENTIN CONDITIONED SPECIMENS IN VITRO (다양한 상아질 처리방법에 따른 치은 및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반응에 관한 시험관내 연구)

  • Lim, Jae-Hyung;Kim, Jung-Keun;Chung, Chin-Hy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5 no.1
    • /
    • pp.99-110
    • /
    • 1995
  • 치주치료의 궁극적 목표인 치주조직 재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치주조직 재생에 주된 역할을 하는 치주인대세포와 치근면 탈회에 의한 신부착 효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광범위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어떤 치근면 처리가 신부착 형성에 가장 효과적인지는 아직 논란의 대상으로 남아있다. 이에 저자는 결합조직 부착에 의한 재생에 필수적인 치은 및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부착 및 증식을 tetracycline-HCL(TC)과 citric acid(CA)로 각각 처리된 상아질 표면에서 비교관찰하여 치주조직 재생에의 기여도를 추정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하여 본원에 내원한 환자의 제일 소구치의 건강한 치은조직을 채취하고, 발치 후 효소처리에 의한 치주인대세포를 얻은 후 각각 세포배양하였다. 상아질 절편은 $3{\times}3{\times}0.2mm^3$로 준비하고 TC과 CA처리군으로 나눈 후 각각 치은 및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를 부착시키고 초기부착은 8시간까지, 증식은 7일까지 고나찰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각 군의 세포 부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되었다. 2. 모든 군에서 7일째 빠른 증식상을 보였다. 3. 초기 부착시 치은과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반응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반면에 치은과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는 증식속도에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치은 섬유아세포가 좀 더 빠른 성장을 보였다. 5. 치근면 탈회에 따라 초기부착과 증식상에서 모두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6. CA는 초기부착에서, TC는 증식장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했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 Acellular Dermal Matrix Graft for the Root Coverage in Dog (성견에서 ADM(acellular dermal matrix)의 치근피개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 Min-Young;Lee, Seoung-Ho;Han, Keum-Ah;Lee, Jun-Young;Jeon, Hye-Ran;Kang, Na-Ra;Kim, Myung-Rae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1
    • /
    • pp.239-251
    • /
    • 2006
  • 결합조직이식을 이용한 치근피개 술식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에는 acellular dermal matrix가 자가 결합조직 이식편의 대체물로써 소개되었다. 본 실험의 목적은 치근피개를 위해 acellular dermal matrix을 사용시, 그 임상 효과 빚 조직 치유 양상을 평가하고, 이를 자가 결합조직 이삭시의 결과와 비교하기 위함이다. 3마리의 성견에 인위적인 치은 퇴축부 형성을 위해서, 상악 좌우견치의 협측에서 각화치은을 모두 제거하고, 법랑백악경계부로부터 12mm 정도 치조골을 삭제한 후에 판막을 봉합하였다. 그 후 35일을 치유 기간으로 부여하였다. 총 6 부위의 결손부가 실험에 포함되었고, 각각 3 부위씩이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분류되었다. 실험군에서는 acellular dermal matrix 이식과 치관측 변위 판막을 시행하였고, 대조군에서는 치은 퇴축부위에 자가 결합조직 이식과 치관측 변위 판막을 시행하였다. 치주낭 깊이, 임상적 부착 수준, 치은 퇴축 높이, 각화조직 높이 등을 인위적 결손부 형성전, 치은 피개술 시행 직전, 피개술 시행후 4주 경과시에 각각 측정하였다. 술후 4주시에, 상악 좌우 견치 부위에서 시편을 얻어 조직학적으로 관찰하고 Wilcoxon signed rank test 와 Mann-Whitney U test으로 통계처리하였다. 임상결과 관찰시,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술전과 비교시 치은 퇴축 감소와 각화조직의 증가, 임상 부착수준의 개선이 나타났다.(p ( 0.05) 평균 치근 피개율은 실험군에서 61.33(5.67%(n=3), 대조군에서 55.67(5.67%(n=3) 이었고,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임상결과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p ( 0.05). 조직학상으로는, 두 군 모두에서 이식편이 수여부에 잘 융화되어 있었고 비슷한 치유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Acellular dermal matrix은 치근피개술 시행시에 결합조직 이식편의 대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고 비슷한 피개 결과를 얻을수 있었다.

Ultrastructure of the Rectum Epithelial Cells in the Mosquito Larvae, Culex pipiens pallens (빨간집모기 유충 내에 있는 직장 상피세포들의 미세구조)

  • Yu, Chai-Hyeock
    • Applied Microscopy
    • /
    • v.29 no.2
    • /
    • pp.223-230
    • /
    • 1999
  • The epithelium of the rectum in the mosquito larvae, Culex pipiens pallens: Culicidae, was observed with electron microscope. The rectum of posterior hindgut was composed of epithelial tissue which were covered with cuticular intima on the luminal side, connective tissue and muscular tissue. The rectal epithelial cells were squamous absorptive cells, and apical plasma membranes were highly folded to form apical infoldings with mitochondria inserted them. The lateral plasma membranes were irregularly infolded and well developed mitochondria were found closely associated with infoldings . And intercellular spaces (or channels) were formed between the epithelial cells, whereas speptate junction was found near the apical zone between them. Also basal plasma membrane were infolded which made basal infoldings ('basal labyrinth'), and were covered with thin basal lamina. Rcetal epithelium was surrounded by the connective tissue which was contained axon and tracheole cells. Connective tissue was covered with the bundles of circular and longitudinal muscles.

  • PDF

Comparison Between the Costal Cartilage Mounted Autologous Pericardial Patch and the Bovine Pericardial Patch as a Bronchial Substitute for Bronchial Reconstruction in Dogs (개의 기관지 재건을 위한 대치물로서 늑연골편에 고정시킨 자가심낭막과 우심낭편과의 비교)

  • 이해영;박찬범;조건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5
    • /
    • pp.386-392
    • /
    • 2001
  • 배경: 기관지에 광범위한 협착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서 협착된 기관지 이하 부위에 있는 폐를 절제하지 않고 기관지 협착 부위를 교정하여 폐환기를 원할하게 하고자 하는 다양한 술식의 기관지 성형술이 고안시도되어 왔지만 만족할만한 술기는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다. 저자들은 이러한 기관지 협착을 교정하기 위한 술식의 하나로서 기관지 대치물을 이용한 기관 성형술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기관지 대치물로 사용한 두 종류의 첨포에 따라 성숙견을 실험 동물로 하여 두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A군(5예)에서는 좌측 주기관지 전측방 부위를 0.5$\times$0.5c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절제한 후 늑연골에 자가 심낭편을 댄 동일한 크기의 첨포를 절제 부위에 부착하였고 B군(5예)에서는 동일한 크기의 기관지 절제 부위에 glutaraldehyde로 처리된 우심낭편을 부착하였다. 첨포를 이용한 기관지 성형술 12주후에 실험견을 도살하고 육안적 및 현미경적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A군이 기관지 성형술 부위에서는 첨포의 외면은 주위의 결합조직과 막상유착을 이루고 있었으며 첨포의 가장자리는 자가 기관지에 잘 부착되어 있었다. 기관지 내면은 내경의 협착이 없이 윤기 있는 점막으로 잘 유지되어 있었고 자가 기관지와 첨호와의 경계면은 신생육아조직이 일부 차지하고 있었으며 새로운 이행 상피가 가교를 이루고 있는 현미경적 소견을 보았다. B군의 기관지 성형술 부위에서는 첨포의 와부는 암갈색으로 변화된 부분적 괴사의 양상을 보였다. 기관지 내면은 첨포와 가자기관지 경계부위에서 염증성 육아조직과 부분적 출현 양상을 보고 기관지 내경의 일부가 수축되었으며 자가 기관지로부터 첨포내로의 새로운 상피 형성은 되어 있지 않았다. 결론: 늑연골에 자가 심낭편을 댄 첨포는는 자가 기관지와 상피 가교를 형성하고 기관지 내강의 협착이 없이 구조를 유지하므로 기관지 협착 및 결손의 치료를 위한 기관지 성형술시에 기관지 대치물로 사용될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EFFECTS OF EGF ON PROLIFERATION AND ATTACHMENT OF HUMAN PERIODONTAL FIBROBLASTS (표피성장인자가 치주인대 섬유 모세포의 증식과 부착에 미치는 영향)

  • Lee, Jong-Eun;Kim, Chong-Kwan;Kim, Seong-Oh;Kim, Yun-Tae;Choi, Hyung-Ju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2 no.3
    • /
    • pp.395-402
    • /
    • 2005
  • In considering the healing process of injured periodontal tissue, healing rate would be influenced by the cellular activity of periodontal fibroblasts(PDLFs). In addition, the reattachment among PDLFs should be induced for heal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epidermal growth factor(EGF) on the proliferation and attachment of PDLFs and to verify the efficacy of EGF as a storage media or a pre-replantation conditioner of traumatically avulsed tooth. Human recombinant epidermal growth factor(hrEGF) and human periodontal fibroblasts from first premolar were prepared. At first, MTT assay was done to evaluate the toxic effect on human periodontal fibroblast and the maximum cellular growth of EGF. Cellular proliferation rate was then compared between control group and 10ng/ml EGF added group. Also, western blot was done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fibronectin in both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rom MTT assay, EGF showed no toxic effect on PDL fibroblasts. The highest proliferation was shown at 10ng/ml EGF. 2. In 10ng/ml EGF added group, the degree of proliferation of PDLF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ontrol group. 3. Fibronectin expression of EGF added group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From this study we could conclude that EGF enhanced the regeneration rate of periodontal fibroblast, which could be used as a pretreatment agent or a storage media for traumatically avulsed teeth.

  • PDF

A histopathological study on porcine cysticercosis (돼지 유구낭미충증의 병리조직학적 관찰)

  • Shin, Tae-kyun;Kim, Seung-ho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33 no.3
    • /
    • pp.465-469
    • /
    • 1993
  • This paper dealt with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s on the natural cysticercosis in pigs. Three cases of porcine cysticercosis, which had been kept in the Department of Veterinary Medicine, Cheju. University more than ten years, were histopathologically examined in order to see the host reaction to the parasite. Capsules containing scolex were mainly found in the fascia of skeletal muscle, heart, and brains. Microscopically, cysticerci in the epicardium and the fascia of skeletal muscles were encapsulated with fibroblasts and collagen fibers. Around capsules, there was infiltration of eosinophils, lymphocytes and macrophages, although the degree and severity of inflammatory reaction varied case by case. Cerebral cortex also had the inflammatory exudate of lymphoid cells in the vicinity of the scolex. whereas perivascular lymphocytic cuffings were commonly seen around capsules. GFAP immunoreactive fibers formed a limiting membrane along the outer side of capsules. There was also proliferation of GFAP-positive astrocytes encirling infiltrating lymphocytes around vessel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strocytes and lympoid cell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marcation of cysts and local immunity, respectively. In conclusion, host tissue reaction in porcine cysticercosis seemed to vary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affected organs of pigs. It is assumed that capsules containing worms seemed to be formed at early stage of cysticercosis.

  • PDF

The biological effects of fibronectin typeIII 7-10 to MC3T3-E1 osteoblast (Fibronectin type III 7-10 이 조골세포에 미치는 영향)

  • Hong, Jeong-Ug;Choi, Sang-Mook;Han, Soo-Boo;Chung, Chong-Pyoung;Rhyu, In-Chul;Lee, Yong-Moo;Ku, 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2 no.1
    • /
    • pp.143-160
    • /
    • 2002
  • 타이태늄은 뛰어난 생체적합성과 적절한 물리적 성질을 바탕으로 치과 및 정형외과 영역의 매식재로 널리사용되어져 왔으며, 골과 매식재 사이의 골 융합 정도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물리,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타이태늄의 표면처리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부착단백질 또는 성장인자를 이용한 생체재료의 표면개질을 통하여 조직적합성 및 치유 능의 개선을 위한 시도들이 있어왔다. Fibronectin(FN)은 주요 세포외기질중의 하나로 생체 내 널리 분포하여 세포의 부착, 이동 및 증식에 관여하는 거대 당단백으로, RGD및 PHSRN 펩타이드 서열이 세포의 인테그린과 결합하여 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FN으로 처리된 타이태늄이 조골세포의 부착,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석회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부착분자를 이용한 타이태늄 표면개질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상업용 순수 타이태늄을 gold thiol법을 이용하여 표면처리 후, 혈장 FN(plasma FN, pFN)과 유전자재조합법을 이용하여 얻은 FN조각(FN type III 7-10, FNIII 7-10)을 피복한 시편을 실험군으로,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것(smooth surface, SS)과 산 부식(Sandblasted and acid etched, SLA)처리된것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배양된 조골세포주(MC3T3-E1)를 사용하여 타이태늄 표면 처리에 따른 세포의 증식, 형태변화,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Pase) 생산 및 세포면역형광법을 이용한 분화정도를 시간 경과에 따라 관찰하였다. 조골세포증식의 경우 FNIII 7-10 처리군에서 pFN 처리군 및 대조군에 비해 시간경과에 따라 유의성있는 세포수의 증식이 관찰되었으며(p<0.05), ALPase 생성의 경우에도 FNIII 7-10 처리 군에서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은 효소의 생성이 관찰되었다(p<0.05).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세포의 형태관찰결과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군에서는 마름모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산 부식 처리된 군에서는 세포가 가시모양의 형태를 보인 반면 FN으로 처리된 두 군에서는 세포의 부착 및 펴짐이 매우 발달되어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세포의 분화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국소부착키나제(focal adhesion kinase, FAK), 및 actin stress fiber의 분포양상을 세포면역형광법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FN으로 표면처리된 두 군에서 아무런 처리도 하지않은 군 및 산 부식처리 한 군에 비해 프라크의 발현이 높게 나타났으며 잘 발달된 actin stress fiber의 소견을 나타내었다. 이 실험의 결과들은 gold thiol 법을 이용한 표면처리 후 FN부착을 통한 타이태늄의 표면개질이 조골세포의 부착, 증식 및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석회화 정도를 촉진시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런 결과들은 더 짧은 FN조각을 이용한 다른 생체재료의 표면개질에 폭 넓게 응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Scouring/Dyeing using Nanobubble (나노 버블을 이용한 정련/염색 기술 개발)

  • Lee, Chang-Seok;Ryu, Sun-A;Kwon, Young-Mi;Jo, Jang-Hoon;Ann, Sa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33-33
    • /
    • 2012
  • 소비자의 기호에 따른 섬유 제품은 고급스러운 감촉 및 착용감, 신축성 등 기능성 측면이 증대되어 의류 및 인테리어용에 니트 제품 및 세데니아 원단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니트 제품은 조직이 복잡하며 장력에 의해 형태 변화가 심해 제품 개발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세데니아 원단 또한 장력에 매우 민감하다. 특히 정련/염색시 고부가가치 제품의 품질문제에 영향을 미치며, 제품손상과 불량률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나노버블은 기포의 크기가 작고 에너지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생지에 부착되어있는 호제들과 쉽게 결합할 뿐 아니라 생지로부터 쉽게 분리시킴으로써 정련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정련제와 결합된 나노버블은 정련시 물에 잘 용해되지 않는 스판오일, 방사유제등을 잘 흡착하여 분리시키기 때문에 정련효과를 병행해서 얻을 수 있다. 즉 정련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됨으로써 정련제의 양도 기존의 정련 방식에 비하여 적게 사용하여도 동일한 정련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발생기포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소포제 없이도 기포발생에 의한 현장사고를 방지함으로써 고품질의 정련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정련기술에 비해 정련시간 단축으로 인한 에너지 절감효과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나노사이즈의 버블의 높은 분산력으로 과량의 수세공정 생략 등 친환경적 정련/염색 공정이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