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결핍지역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4초

라디아타소나무에 있어서 붕소(硼素)의 결핍(缺乏)이 재질(材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Boron Deficiency on the Wood Quality of Pinus radiata D. Don)

  • 한철수;아디아 싱;맬콤 스킨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9권4호
    • /
    • pp.62-71
    • /
    • 1991
  • New Zealand 남섬의 Canterbury 지방과 Nelson 지방의 붕소(硼素) 결핍지역(缺乏地域)과 붕소(硼素) 시비지역(施肥地域)에 생육(生育)하고 있는 라디아타소나무의 해부학적(解剖學的) 차이(差異)를 조사(調査)하였다. 즉 가도관(假導官)의 길이, 방사방향(放射方向)의 가도관(假導官) 내경(內徑), 방사방향(放射方向) 세포벽(細胞璧)의 두께를 조(早), 만재별(晩材別)로 측정(測定)하였고 광학현미경(光學顯微鏡) 및 전자현미경(電子顯微鐘) 특성(特性)을 관찰(觀察) 하였다. 만재(晩材)에서는 가도관(假導官)의 길이에 붕소(硼素) 결핍지역(缺乏地域) 간(間)에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으나, 조재(早材)에서의 가도관(假導官)의 길이 및 가도관(假導官)의 내경(內徑) 및 가도관벽(假導官璧)의 두께는 조(早), 만재(晩材) 모두에서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그러나 붕소(硼素) 결핍지역(缺乏地域)에서 생육(生育)된 리디아타소마누에서는 세포벽(細胞璧)의 박리현상(剝離現象) 및 목질화(木質化)가 덜된 부분(部分)에 많이 관찰(觀察)되었고, 찌그러진 세포(細胞)의 다수출현(多數出現) 및 세포(細胞)의 크기가 불균일(不均一)한 것이 많이 출현(出現)되었으며 세포벽(細胞璧)의 간층(間層)이 넓었음이 관찰(觀察)되었다.

  • PDF

강원도의 뇌혈관질환 사망과 지역사회 건강 지표와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Cerebrovascular Mortality and Community Health Indicators in Gangwon-do)

  • 심정하;손미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1호
    • /
    • pp.1-12
    • /
    • 2009
  • 본 연구는 뇌혈관질환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의 건강상태 지표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연구방법은 2000년 사망 원인 통계를 활용하여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와 2000년 인구센서스 자료를 이용하여 인구수를 산출하여 뇌혈관질환 표준화 사망률을 산출하였다. 또한 지역사회 건강지표로 지역의 물질적 결핍 지수와 보건의료자원, 도로 포장율, 지방세를 지표로 하였다. 자료는 Excel 2003과 SAS 9.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GIS 프로그램인 Arcview 9.1을 이용하여 뇌혈관질환 사망률과 지역의 물질적 결핍지수를 시각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강원지역에서 뇌혈관질환의 표준화 사망률은 지역,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자의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고성군이었고, 가장 낮은 지역은 평창군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고성군이었고, 가장 낮은 지역은 양양군이었다. 2. 강원도의 지역의 물질적 결핍지수는 태백시가 가장 높게 박탈된 지역으로 나타났고, 가장 적게 박탈된 지역은 평창군이었다. 3. 병 의원의 수, 지역의 물질적 결핍지수, 도로포장율. 지방세와 남녀 표준화 사망률과는 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지역의 여러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자원들을 지표로 산출하여 뇌혈관질환 사망과 관련지어 분석하고, 또한 소지역인 시 군별 사망률의 차이와 지역사회 건강 지표인 물질적 결핍지수와의 관계를 시각화하였다는 점이다.

지역아동센터 아동대상 합창프로그램이 인성, 사회적 기술, 문제행동, 주의력결핍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Chorus Program for Children in a Local Child Center on Character, Social Skills, Problematic Behavior, and Attention Deficit ADHD)

  • 김은임;송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10-32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아동대상 합창프로그램이 인성 사회적 기술 그리고 문제행동 주의력결핍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수원시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 주간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교 1학년에서 6학년까지 2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합창 프로그램은 2017년 4월 5일부터 7월 5일까지 회기 당 60분씩 12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합창활동 전후 아동의 인성에 대한 인터뷰에서는 학교에서 보다 센터에서 타인과의 관계와 리더십 있는 행동이 더욱 적극적으로 변화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합창활동 전후 사회적 기술의 차이는 사회적 기술 전체와 하위변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사회적 기술 변화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합창활동 전후 문제행동의 차이는 문제행동 전체와 하위변인 중 과잉행동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여 문제행동 개선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과잉행동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합창활동 전후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차이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전체 및 하위척도인 부주의와 과잉행동충동성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이 전반적으로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합창 프로그램 활동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인성과 사회적 기술, 문제행동, 주의력결핍행동에 효과가 있었음을 증명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결핍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관계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Children's Deficiency in Local Children's Centers on School Life Adapta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 고백합;석말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99-109
    • /
    • 2022
  • 본 논문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결핍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간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424명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고 지역아동센터 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빈도,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경로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또래관계는 결핍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결핍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은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결핍을 경험하고 있지만 본 연구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또래관계와 자아존중감을 증진함으로써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에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도모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연구 분야 확장을 제안코자 한다.

포용적 생활 SOC 정책 추진을 위한 공원결핍지수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Index of Park Derivation to Promote Inclusive Living SOC Policy)

  • 김용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28-40
    • /
    • 2019
  • 지역 및 인구집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생활 SOC 공급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용도시 정책에 대한 논의가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포용적 도시공원 정책 추진을 위한 대안적 지표로 공원결핍지수(Index of Park Derivation, IPD)를 제안하고, 이를 7대 광역시에 적용해 공원 정책 필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을 선정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용도시와 공원기능에 대한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포용적 도시공원 정책 개념을 "노인, 어린이, 저소득층, 폭염 미세먼지 등의 환경 재난 재해 취약계층 등 사회경제 및 환경적 지위가 낮은 지역 및 인구집단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양질의 공원서비스를 공급 관리하는 정책"이라고 조작적으로 정의했다. 둘째, 공원서비스 수준, 인구구조 특성, 경제 및 교육 수준, 건강 수준, 환경적 취약성 등 5개 부문의 17개 변수를 종합하여 공원결핍지수(Index of Park Derivation, IPD)를 개발했다. 공원결핍지수를 구성하는 변수들은 체육시설, 어린이집, 유치원, 공공도서관 등 공원 외의 생활 SOC 정책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7대 광역시 1,148개 읍면동 지역에 공원결핍지수를 적용한 결과 광역시별 공원서비스 필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들이 도출되었다.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각산동,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1동,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1동,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 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동, 울산광역시 북구 농소3동이 지역별 공원 정책필요도 1순위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정부 및 지자체가 쉽게 접근 활용할 수 있는 통계 및 지리정보 데이터에 기반해 포용적 도시 공원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대안적 지표를 제안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도시판자촌지역 주민의 정보통신기술 이용 및 비이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서울 개미마을, 녹천마을, 백사마을 중심으로 - (Use and non-use of ICTs: the case of three urban ghettos in Seoul Metropolitan City)

  • 최영훈;정진경
    • 정보화정책
    • /
    • 제19권2호
    • /
    • pp.39-56
    • /
    • 2012
  • 본 연구는 도시판자촌지역의 정보통신구조로부터의 배제, 저소득층으로서 도시판자촌 주민들의 동질적인 정보통신 이용행태, 결핍요인에 의한 도시판자촌 주민들의 정보통신 비이용 원인 등 3가지 기본 가정 검증을 위해 결핍관점과 선택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사지역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존재하지만, 주민들의 정보통신기기 보유율 등을 보았을 때 도시판자촌이 근본적으로 정보통신구조에서의 배제되었다고 주장하기는 어려웠다. 둘째, 인터넷 이용여부 및 이용 용도 등 정보행태에서 보았을 때, 이들 지역주민의 인터넷 이용행태는 성별, 연령, 직업, 자녀유무, 판자촌의 관광지화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상이하며 따라서 동질적인 정보통신 이용행태를 설명하기 어려웠다. 셋째, 도시판자촌지역 주민의 정보통신 비이용 원인으로 경제적인지적 결핍에 의한 요인들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삶과 생활에서의 의미, 대리인의 존재 등 각자 처한 상황에서의 선택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학술적 및 정책적 시사점이 제시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