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결정장 매개변수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자성유체 윤활제의 개발 동향

  • 김영규;심우전;김청균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12 no.1
    • /
    • pp.1-5
    • /
    • 1996
  • 자성유체는 자연에서 추출한 것이 아니라 자화성(Magnetizability)과 유도성(Flowability)을 동시에 갖도록 합성한 특수액체이다. 자성유체는 1960년대 중반에 미국의 NASA에서 처음 개발된 이후로 윤활, 밀봉, 감쇄, 의료 등의 분야에서 응용연구가 많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고도의 정밀도를 요하는 항공, 우주산업, 컴퓨터와 반도체 분야 등에서 실용화가 크게 진전되고 있다. 특수물질일 자성유체는 전기적으로 도체인 10nm 정도의 미세한 자기입자(Magnetic particles)에 코팅을 한 후, 이것을 물, 탄화수소, 플루오르카본, 에스터 등의 매개유체(Carrier Fluids)에 혼합시켜서 콜로이드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자성유체는 미세한 자기입자들이 매개유체내에서 서로 충돌하면서 반발력을 발생시켜서 상호간에 늘 콜로이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 특수유체가 자기장의 영향을 받게 되면 점도가 증가하면서 특이한 성질을 갖게 된다. 상대 접촉 운동면에 경계마찰이나 혼합마찰을 하게 되면 윤활상태는 비교적 나쁘다. 이러한 마찰지역에 콜로이드상의 자성유체 윤활제를 공급하면 기존의 윤활제에 비하여 대단히 효과적으로 윤활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자성유체 윤활제가 마찰부위에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미끄럼 마찰부에서 자기장을 잘 형성시킬 수 있는 도체이어야 하기 때문에 특별한 윤활 시스템 설계가 제시되어야 한다. 자성유체 윤활제는 합성으로 제조된 특수물질로 여러가지 장점을 갖고는 있으나 기존 윤활유와의 적합성, 마찰열, 밀봉압력 등의 조건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밖에 없으므로 항공, 우주 산업이나 석유 화학분야와 같이 특수 환경에서만 사용되고, 또한 기존의 광유계 윤활제에 비하여 대단히 고가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윤활 마찰면의 다양화와 가혹한 사용조건은 자성유체 윤활제의 연구개발 필요성을 크게 증대시키고 있다.xed Effects Model)을 결정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통계모형을 구축하였다. 이 결과 (1) 업종 및 기업규모별로 그룹간에 유의한 특성이 발견되었으며, (2) R&D 및 광고투자는 기업의 시장성과를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이나, (3) R&D 투자의 경우는 광고에 비해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4) 수리모형에서 도출된 한계원리가 통계모형에서도 유효한 것으로 드러났다.등을 토대로 한 10대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과학기술부는 기술수요조사를 바탕으로 49개 주요기술을 도출하여, 과학기술 일류 국가 실현, 국민소득 2만불 달성이라는 국가적 슬로건을 내걸고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범정부차원의 기획과 연구비의 집중투자를 추진하고 있다.달성하기 위해서는 종합류류 전산망의 시급한 구축과 함께 화물차의 적재율을 높이고 공차율을 낮출 수 있는 운송체계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라나 이러한 화물전용차선의 효과는 단기적인 치유책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물류유통 시설의 확충을 위한 사회간접자본의 구축을 서둘러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3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추공 내 물리검층과 정압주입시험에서도 확인된다.. It was resulted from increase of weight of single cocoon. "Manta"2.5ppm produced 22.2kg of cocoon. It is equal to 9% increase in index,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In case

Biaxial Buckling Analysis of Magneto-Electro-Elastic(MEE) Nano Plates using the Nonlocal Elastic Theory (비국소 탄성이론을 이용한 자기-전기-탄성 나노 판의 2방향 좌굴 해석)

  • Han, Sung-Cheon;Park, Weon-Tae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30 no.5
    • /
    • pp.405-413
    • /
    • 2017
  • In this paper, we study the biaxial buckling analysis of nonlocal MEE(magneto-electro-elastic) nano plates based on the first-order shear deformation theory. The in-plane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can be ignored for MEE(magneto-electro-elastic) nano plates. According to magneto-electric boundary condition and Maxwell equation, the variation of magnetic and electric potentials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ME plate is determined. In order to reformulate the elastic theory of MEE(magneto-electro-elastic) nano-plate, the nonlocal differential constitutive relations of Eringen is used. Using the variational principle, the governing equations of the nonlocal theory are discussed. The relations between nonlocal and local theories are investigated by computational results. Also, the effects of nonlocal parameters, in-plane load directions, and aspect ratio on structural responses are studied. Computational results show the effects of the electric and magnetic potentials. These computational results can be useful in the design and analysis of advanced structures constructed from MEE(magneto-electro-elastic) materials and may be the benchmark test for the future study.

The Crystallographic and Magnetic Properties of $Fe_{1-x}Co_x$System ($Fe_{1-x}Co_x$계의 결정구조와 자기적인 성질)

  • 김정기;한경훈;서정철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9 no.4
    • /
    • pp.190-195
    • /
    • 1999
  • The crystallographic and magnetic properties of the system of $Fe_{1-x}Co_x$(x=0.2 and 0.4) prepared by microwave arc-melting with the maximum power of 3.5 kW and a iron-foil with thickness of 25 ${\mu}{\textrm}{m}$ have been studied by the methods of X-ray diffraction and the measurement of the magnetic hysteresis using the 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at room temperature. The samples were prepared in three different ways: First, pellet form pressed under the pressure of 9,000 N/$\textrm{cm}^2$. Second, the sheet cold rolled. Third, thin sheet treated with the temperature of 90$0^{\circ}C$. The X-ray diffraction pattern of the sample prepared by the first method shows that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sample is bcc as same as that of Fe with a good uniformity. The iron-foil has the coercivity of 43 Oe and the initial slope of magnetization of 0.328 emu/gOe. The coervicity and magnetization of the sample prepared by the second method increased as the Co content increased. But the initial slop of the magnetization decreased as the Co content increased. This means that the displacement of domain wall is suppressed by the increases of coercivity as the Co content increased. The saturation magnetization of the samples made by the third method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coercivity of these samples decreased. The increase of saturation magnetization of the samples seems to be related to the changes in X-ray intensity after heat treatment. Also some magnetic parameters of the samples were calculated by using a simple model and compared with other values.

  • PDF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GIUH-Clark Model (GIUH-Clark 모형의 유도에 관한 연구)

  • Lee, Byung Woon;Jang, Dae Won;Kim, Hung Soo;Seoh, Byung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731-736
    • /
    • 2004
  • 강우-유출과정의 수문학적 현상을 보다 정확히 분석하고 예측하는 기법으로 강우에 의한 유출의 반응을 나타내는 지체시간, 도달시간 등 수문학적 반응시간을 유역의 지형형태학적 인자들과 연계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lark방법과 지형형태학적 순간단위도(GIUH)를 이용하여 계측유역의 강우-유출반응을 모의하였고, 이를 관측된 값과 비교하여 미계측유역의 적용성 여부를 검토해보았다. 대상 유역의 하상지형인자 및 지형형태학적 특성은 Arc-View를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이를 기존의 문헌자료와 비교해보았다. Clark방법의 매개변수의 결정에 있어서 시간-면적곡선은 HEC-1의 무차원 식을 이용하였고, 도달시간은 Kirpich 공식을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저류상수는 Clark방법에 의해 추정된 순간단위도의 첨두유량이 Horton의 차수비의 함수로 구한 철두유량과 같아지는 값으로 결정하였다. 본 연구는 전적비교를 출구점으로하는 유역면적 $8.5km^2$인 설마천을 대상유역으로 하였으며, 모의된 강우-유출반응과 비교하기 위해 사용된 강우사상은 2002년의 8월 4일과 2002년 10월 6일의 10분 단위 우량이다. Clark방법과 GIUH를 이용하여 모의한 유출곡선과 관측된 유출곡선을 비교해본 결과 첨두유량은 8월의 강우사상 때는 $21\%$크게, 10월의 강우사상 때는 $35\%$작게 나타났다. 첨두시간은 모의된 경우가 각각 10분, 20분 빨리 도달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유역의 도달시긴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역의 도달시간 산정에 주의를 요한다면 프랙탈 차원이 유사한 미계측유역의 수문곡선 산정에 있어서 Clark방법과 GIUH를 이용하는 방법도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주는 각 수문인자 중 강우시간분포와 유효우량 산정방법 그리고 유출모형에 대해 자자 검토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면적에 따른 임계지속기간과 유출량의 변화를 검토해 보았다.이를 각각의 경우의 해석해 결과와 비교${\cdot}$분석하였다. 후방추적 퍼프모형은 전방추적 퍼프모형에 비하여 사용된 퍼프수와 관계없이 작은 오차를 발생하였으며, 전체적으로 퍼프 모형이 입자모형보다는 훨씬 적은 수의 계산을 통해서도 작은 오차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Gaussian 분포를 갖는 퍼프모형은 전단흐름에서의 긴 유선형 농도분포를 모의할 수 없었고, 이에 관한 오차는 전단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향후, 보다 다양한 흐름영역에서 장${\cdot}$단점 분석 및 오차해석을 수행한 후에 각각의 Lagrangian 모형의 장점만을 갖는 모형결합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교사들이 중요하

  • PDF

Accuracy Enhancement using Network Based GPS Carrier Phase Differential Positioning (네트워크 기반의 GPS 반송파 상대측위 정확도 향상)

  • Lee, Yong-Wook;Bae, Kyoung-H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5 no.2
    • /
    • pp.111-121
    • /
    • 2007
  • The GPS positioning offer 3D position using code and carrier phase measurements, but the user can obtain the precise accuracy positioning using carrier phase in Real Time Kinematic(RTK). The main problem, which RTK have to overcome, is the necessary to have a reference station(RS) when using RTK should be generally no more than 10km on average,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DGPS, where distances to RS can exceed several hundred kilometers. The accuracy of today's RTK is limited by the distance dependent errors from orbit, ionosphere and troposphere as well as station dependent influences like multipath and antenna phase center variations. For these reasons, the author proposes Network based GPS Carrier Phase Differential Positioning using Multiple RS which is detached from user receiver about 30km. An important part of the proposed system is algorithm and software development, named DAUNet. The main process is corrections computation, corrections interpolation and searching for the integer ambiguity. Corrections computation of satellite by satellite and epoch by epoch at each reference station are calculated by a Functional model and Stochastic model based on a linear combination algorithm and corrections interpolation at user receiver are used by area correction parameters. As results, the users can obtain the cm-level positioning.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Countries based on Water Evaluation Indicators (국가별 수자원평가지표 비교 평가)

  • Choi, Si Jung;Lee, Dong Ryul;Kim, Hwi R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39-843
    • /
    • 2004
  • 최근 들어 수자원 계획과 관리에 대한 평가를 위해 수문, 사회, 경제 및 환경 지표들을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지속되고 있다. 이를 통해 수자원의 여건을 여러 지표들을 통합한 통합지표로 평가함으로서 객관적이고 투명한 결과로 도출하고자 하고 있다. 여러 국제기구 및 연구단체에서는 최근 논의가 되고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평가하기 위해 각 국가별 자료를 수집하여 지표분석을 통해 각 국가별 상황을 제시하고 있다. 대표적인 통합지표로는 WPI(Water Poverty Index), HDI(Human Development Index)와 ESI(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OECD, SEI 등과 같은 국제기구들이 여러개별 지표들을 통하여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고 있다. 또한 가상의 물 교역(virtual water trade)을 통해 개발된 지표들을 이용하여 각 나라의 수자원 현황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되었던 경제, 사회의 통합지표인 HDI, 환경 통합지표인 ESI, 수자원관련 통합지표인 WPI 등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여 보았다. 또한 Virtual Water Trade를 통해 국가별 수자원 현황을 평가하였고 여러 개별지표 등을 통해 수자원 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환경 등 여러분야에 대해 우리나라의 상황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정확하게는 분석이 이루어진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정책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고 생각된다. 또한 국내, 외의 여러 지표를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 우리나라의 수자원을 평가할 수 있는 통합적인 수자원관련 지표 개발에 많은 도움을 주었으리라 사료된다.DEM 자료로 변환하였다. 또한 유역의 고도차를 이용한 흐름특성 분석을 위해 수치고도자료를 이용하여 유역흐름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TOPAZ(Topographic PArameteri-Za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TOPAZ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된 각 격자별 분포형 수문 매개변수는 적합한 관계식을 통해 분포형 유출량을 모의하는데 적용된다.다 정확한 유입량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이 작은 오차를 발생하였으며, 전체적으로 퍼프 모형이 입자모형보다는 훨씬 적은 수의 계산을 통해서도 작은 오차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Gaussian 분포를 갖는 퍼프모형은 전단흐름에서의 긴 유선형 농도분포를 모의할 수 없었고, 이에 관한 오차는 전단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향후, 보다 다양한 흐름영역에서 장${\cdot}$단점 분석 및 오차해석을 수행한 후에 각각의 Lagrangian 모형의 장점만을 갖는 모형결합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

  • PDF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Combined Effects of Heat Exchanger Geometries on Nucleate Pool Boiling Heat Transfer in a Scaled IRWST (열교환기 형상이 축소한 IRWST 내부의 풀핵비등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Kang, Myeong-Gie;Chun, Moon-Hy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8 no.1
    • /
    • pp.1-16
    • /
    • 1996
  •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combined effects of major parameters of heat exchanger tubes on the nucleate pool boiling heat transfer in the scaled in-containment refueling water storage tank (IRWST), a total of 1,966 data for q'quot; versus ${\Delta}T$ has been obtained using various combinations of tube diameters, surface roughness, and tube orientation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1) increased surface roughness enhances heat transfer for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tubes, (2) the two heat transfer mechanisms, i.e.,enhanced heat transfer for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tubes, (2) the two heat transfer mechanisms, i.e., enhanced heat transfer due to liquid agitation by bubbles generated and reduced heat transfer by the formation of large vapor slugs and bubble coalescence are different in two regions of low heat fluxes (q'quot; $\leq$50kW/$m^2)$ and high heat fluxes (q'quot; $\geq$50kW/$m^2)$ depending on the orientation of tubes and the degree of surface roughness, and (3) the heat transfer rate decreases as the tube diameter is increased for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tubes, but the effect of tube diameter on the nucleate pool boiling heat transfer for vertical tubes is greater than that for horizontal tubes. Two empirical heat transfer correlations for q'quot;, one for horizontal tubes and the other for vertical tubes, are obtained in terms of surface roughness $({\varepsilon})$ and tube diameter (D). In addition, a simple empirical correlation for nucleate pool boiling heat transfer coefficient $(h_b)$ is obtained as a function of heat flux (q'quot;) only.ucleate pool boiling heat transfer coefficient $(h_b)$ is obtained as a function of heat flux (q'quot;) only.

  • PDF

A Study for an Automatic Calibration of Urban Runoff Model by the SCE-UA (집합체 혼합진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도시유역 홍수유출 모형의 자동 보정에 관한 연구)

  • Kang, Tae-Uk;Lee, Sang-Ho;Kang, Shin-Uk;Park, Jong-Py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1
    • /
    • pp.15-27
    • /
    • 2012
  •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has been widely used in the world as a typical model for flood runoff analysis of urban areas. However, the calibration of the model is difficult, which is an obstacle to easy applic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 automatic calibration module of the SWMM linked with SCE-UA (Shuffled Complex Evolution-University of Arizona) algorithm. Generally, various objective functions may produce different optimization results for an optimization problem. Thus, five single objective functions were applied and the most appropriate one was selected. In addition to the objective function, another objective function was used to reduce peak flow error in flood simulation. They form a multiple objective function, and the optimization problem was solved by determination of Pareto optima. The automatic calibration module was applied to the flood simulation on the catchment of the Guro 1 detention reservoir and pump station. The automatic calibration results by the multiple objective function were more excellent than the results by the single objective function for model assessment criteria including error of peak flow and ratio of volume between observed and calculated flow. Also, the verification results of the model calibrated by the multiple objective function were reliable. The program could be used in various flood runoff analysis in urban areas.

Research and Verification of Distance and Dead Thickness Changes of Coaxial HPGe Detectors using PENELEOPE Simulation (PENELEOPE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동축 HPGe 검출기의 거리 및 외부 접촉 층 두께 변화 연구 및 검증)

  • Eun-Sung Jang;Byung-In 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7 no.2
    • /
    • pp.175-184
    • /
    • 2023
  • Based on the actual shape of the detector and the data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the shape of the detector was implemented through Penelope simulation and applied to the appropriate four-layer thickness based on the efficiency obtained from the measurements. Efficiency calculation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simulated number of Full Energy Peak Efficiency(FEPE) channels in the detector and the outside contact layer in the crystal on the Full Energy Peak Efficiency were performed for various four-layer thicknesses of 0.3, 0.5, 0.7, 1.0, 1.2, and 1.4 mm using the Penelope Code. When the thickness of the external contact layer was increased by 5 times, the Full Energy Peak Efficiency decreased by about 36% for 59.50 keV, and the Full Energy Peak Efficiency decreased by 10% for 1836. In addition, as it increased by 10 times, the Full Energy Peak Efficiency decreased by about 20% for 59.54 keV, and 7% for 1836.01 keV. The Penelope simulated Full Energy Peak Efficiency channel decreases exponentially with the increase in the four layer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otal effect curve was well matched with a relative difference of less than 3.5% in the 0.3-1.4 mm dead layer thickness reg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inhomogeneous dead layer is still a parameter in the Monte Carlo model.

Estimation of the Moisture Maximizing Rate based on the Moisture Inflow Direction : A Case Study of Typhoon Rusa in Gangneung Region (수분유입방향을 고려한 강릉지역 태풍 루사의 수분최대화비 산정)

  • Kim, Moon-Hyun;Jung, Il-Won;Im, Eun-Soon;Kwon, Won-T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9
    • /
    • pp.697-707
    • /
    • 2007
  •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PMP(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and its transition in case of the typhoon Rusa which happened the biggest damage of all typhoons in the Korea. Specially, we analysed the moisture maximizing rate under the consideration of meteorological condition based on the orographic property when it hits in Gangneung region. The PMP is calculated by the rate of the maximum persisting 12 hours 1000 hPa dew points and representative persisting 12 hours 1000 hPa dew point. The former is influenced by the moisture inflow regions. These regions are determined by the surface wind direction, 850 hPa moisture flux and streamline, which are the critically different aspects compared to that of previous study. The latter is calculated using statistics program (FARD2002) provided by NIDP(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In this program, the dew point is calculated by reappearance period 50-year frequency analysis from 5% of the level of significant when probability distribution type is applied extreme type I (Gumbel distribution) and parameter estimation method is used the Moment method. So this study indicated for small basin$(3.76km^2)$ the difference the PMP through new method and through existing result of established storm transposition and DAD(Depth-Area-Duration). Consequently, the moisture maximizing rate is calculated in the moisture inflow regions determined by meteorological fields is higher $0.20{\sim}0.40$ range than that of previous study. And the precipitation is increased $16{\sim}31%$ when this rate is applied for calc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