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견관절 탈구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35초

관절경적 Bankart 병변 봉합술: 5년 이상 추시 결과 (Arthroscopic Bankart Repair: At Least 5 Years Follow-up)

  • 허무중;김경택;김철홍;강민수;김현준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3-88
    • /
    • 2009
  • 목적: 외상성 재발성 견관절 탈구환자에서 Bankart 병변에 대해 금속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 85명(남 80명, 여 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 당시 환자의 평균 연령은 26세(15세~52세)였고, 이환 기간은 6개월에서 38개월까지 평균 20개월이었다. 모든 예에서 Bankart 병변이 존재하였고, 동반 병변으로 Hill-Sachs 병변과 SLAP 병변이 각각 44예, 10예였으며, 7예에서 회전근개 부분 파열이 관찰되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7년 5개월(5년 8개월~9년)이었다. 결과: 술 전 Rowe 점수는 평균 29.3점(25점~50점)이였으며, 최종 추시 시의 Rowe 점수는 평균 86.8점(40~100)으로 우수 28 예(32.9%), 양호 46예(54.1%)로 74예(87.%)의 환자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얻었으며 견관절의 운동 범위는 70예(82.4%)에서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재탈구가 3예(3.5%)에서 발생하였고 관절경적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외상성 재발성 견관절 탈구로 인한 전방 불안정성 환자에서 Bankart 병변에 대한 금속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술은 우수한 임상 결과와 낮은 재발율을 보였고, 합병증을 낮출 수 있는 효과적인 술식 중에 하나라고 사료된다.

  • PDF

상완골 근위부 분쇄성 골절 및 탈구에서 시행한 견관절 반치환술 (Hemiarthroplasty in Comminuted Fracture and Dislocation of the Proximal Humerus)

  • 황성관;김용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권2호
    • /
    • pp.205-211
    • /
    • 1998
  • 저자들은 상완골 근위부의 골절탈구로 일차성 견관절 반치환술로 치료받은 환자 25례중 14례를 대상으로 치료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례에서 동통은 소실되거나 완화되었으나 Neer의 평가에 따라 총 14례중 5례에서만 만족할만 한 결과를 믿었으며 나머지 9례에서는 불만족한 결과를 보였다. 2. 수상시 상완곤두의 분쇄상이 심하거나, 수술이 지연되어 골편치 연화가 심한 경우 상완골 길이와 humeral offset의 유지가 힘들었으며, 견관절 반치환술 시팽한 측이 정상측보다 1cm 이상 단축을 보인 경우가 5례였으며 이 경우 능동적 견관절 운동범위가 정상측보다 감소되었다. 3. 견관절 반치환술은 분쇄상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서 사용되어지며 동통의 감소와 기능의 호전은 있으나 완전한 회복은 어려우며 수술시 연부조직 손상이 적고 적당한 후염각, 결절의 재건 과 회전근개의 수복은 필수적이다. humeral offset과 길이의 유지는 술 후 능동적 견관절 운동 범위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며 아울러 환자의 협조하에 체계적인 재활운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형견의 내측 슬개골 탈구 정복술 후 근육 내 전기자극의 재활효과 (Rehabilitative Effect of Intramuscular Electrostimulation after Reconstruction of Medial Patellar Luxation in Small Sized Dog)

  • 이신호;이주명;박현정;원상철;정종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1
    • /
    • 2015
  • 개의 내측 슬개골 탈구는 가장 많이 발생하는 관절 질환 중 하나로 정복 수술 후 넙다리빗근에 전기 자극을 실시하여 재활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내측 슬개골 탈구가 있는 소형견 12두를 대상으로 슬개골 탈구 정복술 후에 입원 2주 동안 수술한 후지의 앞쪽 넙다리빗근에 근육 내 전기자극 치료를 적용한 군(n = 8)과 대조군(n = 4)으로 나누어 관절가동범위, 근육 둘레, 파행 및 체중지지 정도를 측정하였다. 근육 내 전기자극을 실시한 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관절가동범위, 근육 둘레, 파행점수 및 체중지지 정도 등 네 가지 사항 모두 수술 후 5일에는 유의성을 나타냈고(p < 0.01), 수술 후 10일에는 파행점수를 제외한 관절가동범위, 근육둘레 및 체중지지 정도의 항목에서 유의성을 보였다(p < 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소형견의 내측 슬개골 탈구 정복술을 실시한 후, 넙다리빗근에 전기자극을 실시하면 초기 재활치료에 도움이 많을 것으로 사료된다.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적 치료

  • 이광원;송대화;최원식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1998년도 학술대회
    • /
    • pp.33-33
    • /
    • 1998
  • 저자들은 1990년 1월부터 1997년 1월까지 을지의과대학병원 정형외과에서 제3형 급성 견봉쇄골 관절 탈구로 진단받고 Phemister 방법, Bosworth 방법, Weaver and Dunn 방법등으로 수술 받은 70례의 환자에 대하여 이중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60례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수상후 평균 오구쇄골간격은 건측과 비교시 평균 7.1mm의 차이를 보였는데 수술 방법에 상관없이 추시시에는 평균 2mm의 차이를 보였다. 임상적 평가에서는 우수 23례$(38\%)$, 양호 31례$(52\%)$, 보통이 6례$(10\%)$를 보여 대부분 좋은 결과를 얻어 오구쇄골 간격 증가가 임상적 결과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 결과를 가져왔다

  • PDF

골 결손이 동반된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개방적 수술 술기 (Open Techniques for Bone Defect in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 이봉근;이용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255-263
    • /
    • 2009
  • 목적: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관절와 및 상완골 두의 골 결손은 재탈구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의미있는 골 결손이 동반된 전방 불안정성에서 적용될 수 있는 개방적 술식을 고찰하고 저자들의 경험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전방 불안정성에서 골 결손에 대해 연구하고 발표된 논문을 조사하여 시술되고 있는 개방적 술식들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결과: 전방 관절낭 관절와 순을 복원한 후 재탈구를 예방하기 위해 수술 전에 방사선학적으로 골결손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관절와 결손을 복원하기 위해 오구돌기 이전술(Bristow 술식 또는 Latarjet 술식)이나 자가 장골 이식을 사용할 수 있고, 상완골 두의 후상방골 결손 (Hill-Sachs병변)에 대해서는 회전 절골술이나 동종골 이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골 결손에 대한 인공 관절 치환술은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제한적이며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결론: 개방적 술식을 통해 골 결손을 복원해야 재탈구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관절경술을 통한 골 병변의 치료가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도 장기간의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다.

수술 후 재발한 견관절 불안정증의 치료 (Revision after Instability Surgery)

  • 김신일;조현철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374-382
    • /
    • 2020
  • 견관절 불안정증 수술의 가장 흔한 합병증은 불안정성의 재발이다. 견관절 불안정증 수술 후 불안정증 재발의 원인은 주로 외상, 부정확한 진단 및 술기상의 문제 등이 있으며 재발률을 높이는 위험인자로는 환자 요인과 해부학적 원인, 기술적 요인이 있다. 수술 실패의 원인을 세심한 병력 청취와 이학적 검사, 영상학적 검사 등으로 파악하여 원인 병변에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수술 후 재발한 불안정증은 우선적으로 비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비수술적 치료가 실패한 경우 Bankart 병변의 파열, 관절막의 이완, 관절와 및 상완골 두의 결손에 따른 올바른 적응증을 가지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여 가능한 해부학적 복원을 시행하여야 재발이 반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후방 Bankart 병변을 동반한 후방 II형 SLAP 병변 - 증례보고 - (Posterior type II SLAP Lesion Combined with Posterior Bankart Lesion - A Case Report -)

  • 천상진;윤명수;김휘택;서정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4-138
    • /
    • 2008
  • 견관절 상완순 전후방(SLAP: 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 병변은 상부 관절와순 단독 손상으로 발견되기도 하고, 견관절 재발성 탈구 환자에서 전하방 관절와순의 파열, 즉 Bankart 병변의 연장으로 상부 관절와순까지 파열이 진행된 동반 손상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드물게 후방 Bankart 병변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여러 가지 병변과 동반된 SLAP 병변이 보고되어 왔으나 그 중 후방 Bankart 병변과 동반하여 발생한 후방 II형 SLAP 병변에 대한 보고는 미미하고 그 병변에 대한 관절경적 복원술 시 봉합 나사(suture anchor)의 삽입과 봉합에 주의할 점이 있다. 저자들은 투구 동작과 같은 흔한 손상 기전이 아닌 팔을 뻗친 상태에서 넘어지면서 발생한 외상으로 야기된 본 증례에 대해 관절경적 복원술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