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격자크기

Search Result 65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Runoff Analysis using Spatial distributed Rainfall (공간 분포된 강우를 이용한 유출 해석)

  • Ahn, Sang-Jin;Yoon, Seok-Hwan;Hahm, Chang-Hah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0-8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지점강우를 이용하여 크리깅 기법을 통해 공간적으로 분포된 강우자료를 생성하였으며, HEC-GeoHMS 모형을 이용하여 대상유역의 지형자료, 수문매개변수를 격자크기에 따라 공간적으로 분포시켰다. 유출해석은 공간 분포된 강우의 적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준 분포형 접근방법인 Modified Clark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공간 평균된 강우는 Clark 모형을 적용하여 유출 모형을 수행하였다. 정규크리깅과 일반크리깅 기법에 의해 산정된 강우를 이용하여 격자크기에 따른 유출해석을 수행한 결과를 토대로 지점강우량을 공간분포 시킬 경우의 격자크기에 따른 유출 수문곡선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공간 분포된 강우와 공간 평균된 강우를 이용한 유출 모의 결과를 토대로 공간 분포 강우의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 PDF

Evaluation for the application of WRF meteorological data on grid-based soil moisture model in upland (WRF 기상자료의 밭 토양 물수지 모형 적용 및 효과 분석)

  • Hong, Min Ki;Lee, Sung Hack;Choi, Jin Yong;Lee, Se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13-213
    • /
    • 2015
  • 밭에서의 점적 관개를 이용한 노지 재배의 경우 적정 관개 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작물 및 토양의 수분 정보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밭 토양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통해 격자 형태로 분할하여 작물의 증발산량 및 토양의 수분함량을 모의할 수 있는 격자 기반 토양 물수지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을 통해 작물의 소비수량 및 필요 수량을 파악함으로써 작부기간 중 필요한 관개수량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도화 기상자료로는 국가농림기상센터에서 운영 중인 고해상도 WRF(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모형에서 생산된 격자 형태의 복사, 온도, 바람, 강수 자료를 사용하였고 고도화 기상자료의 격자 해상도 별로 모의되는 작물 및 토양의 수분 정보 간 비교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토양 물수지 모형에 입력되는 격자형태의 자료로는 기상, 토성 및 토지이용 자료가 있으며 기상자료의 경우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각 270, 810, 2430m로 동일한 3가지 경우로 나누어 적용했으며 토성 및 토지이용 자료의 경우 기상 격자의 최소 크기에 맞춰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각 270m인 격자로 분할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한 모의 결과 각 격자별 작물 증발산량, 토양수분함량 및 관개수량의 일 연별 시계열 자료를 얻을 수 있으며 동시간대 격자별 수문인자 값을 산정하고 위치에 따른 공간적 상호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고도화 기상자료의 격자 크기에 따른 밭 토양 물수지 분석 결과를 통해 고도화 기상 격자의 규모별 밭 토양 물수지 분석 효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시험 지역(Test Bed) 선정을 통해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을 실측하고 본 모형의 모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검정하는 것을 향후 연구 계획으로 한다.

  • PDF

Efficiency Study of 2D Diode Array Detector for IMRT Quality Assurance (2D 어레이 다이오드 검출기를 통한 IMRT 계산선량의 정확성 평가 및 효용성 연구)

  • Kim, Tae-Ho;Oh, Seung-Jong;Kim, Min-Joo;Jung, Won-Gyun;Chung, Jin-Beom;Kim, Jae-Sung;Kim, Si-Yong;Suh, Tae-Suk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22 no.2
    • /
    • pp.61-66
    • /
    • 2011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grid size on dose calculation accuracy using 2 head & neck and 2 prostate IMRT cases and based on this study's findings, we also evaluated the efficiency of a 2D diode array detector for IMRT quality assurance. Dose distributions of four IMRT plan data were calculated at four calculation grid sizes (1.25, 2.5, 5, and 10 mm) and the calculated dose distributions were compared with measured dose distributions using 2D diode array detector. Although there was no obvious difference in pass rate of gamma analysis with 3 mm/3% acceptance criteria for the others except 10 mm grid size, we found that the pass rates of 2.5, 5 and 10 mm grid size were decreased 5%, 20% and 31.53%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fine acceptance criteria, 3 mm/3%, 2 mm/2% and 1 mm/1%. The calculation time were about 11.5 min, 4.77 min, 2.95 min, and 11.5 min at 1.25, 2.5, 5, and 10 mm, respectively and as the grid size increased to double, the calculation time decreased about one-half. The grid size effect was observed more clearly in the high gradient area than the low gradient area. In conclusion, 2.5 mm grid size is considered acceptable for most IMRT plans but at least in the high gradient area, 1.25 mm grid size is required to accurately predict the dose distribution. These results are exactly same as the precious studies' results and theory. So we confirmed that 2D array diode detector was suitable for the IMRT QA.

Implementation of Nano-Scale Grating-Assisted Coupler with Polarization-Insensitivity using Double-Sandwiched Guide (이중 샌드위치 도파로를 사용한 편광 무의존성 특성을 갖는 나노크기 격자 구조형 결합기의 구현)

  • Ho, Kwang-Chu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5 no.2
    • /
    • pp.221-227
    • /
    • 2015
  •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nano-scale grating-assisted polarization-insensitive coupler (GA-PIC) consisted of double sandwiched rib-type layers are evaluated in detail by using modal transmission-line theory (MTLT) based on equivalent network. To obtain the polarization-insensitive condition of GA-PIC, the coupling lengths as a function of the refractive index and thickness of sandwiched rib-type layer as well as the grating thickness and period are analyzed for quasi-TE and quasi-TM modes.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GA-PIC with hundreds of nanometer scale is realized by properly choosing structural and material parameters of double sandwiched layers and grating.

The Effect of Grid Size in a Slope Analysis of Terrain by DEM for Hydrological Analysis (수문해석을 위한 DEM에 의한 지형의 경사도분석에서 격자크기의 영향)

  • 양인태;김연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5 no.2
    • /
    • pp.221-230
    • /
    • 1997
  • In hydrology analysis, the result of a slope analysis for terrain have an very important effect on water quality and water quantity Recently, a slope analysis tend to use the digital elevation model rater than the traditional map sheet. But a terrain slope analysis by the digital elevation model depends on grid size of the digital elevation model. Hence the effect of a slope analysis by the digital elevation model is a important factor. In this study, therefor, in order to determine a hydrological parameter and a terrain parameter for simulation of the water quality and the hydrological property, we adapted two sample area that are the Nerin stream of the basin of the Soyang lake and a Osip stream of Samchuk, and its individual coverages are $640\;km^2$ and $33\;km^2$. Also to analyze the effect of grid size in the slope of a basin, we apply DEM changing a grid size respectively at intervals of 100 m from 100 m to 1.000m for the Nerin stream basin and at intervals of 10 m from 20 m to 300 m for the Osip stream basin.

  • PDF

Study on the Accuracy of Distributed Model Under the Resolution Change (격자크기와 분포모형의 정확성에 관한 연구)

  • Ku, Hy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4-98
    • /
    • 2006
  • 미계측 유역에 대한 정확한 수문반응을 예측하기 위해 수문반응 모의할 때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예측하고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사용가능한 자료의 질과 양에 따라 달라지므로, 자료의 해상도는 수문반응 예측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격자크기가 수문모형의 강우-유출응답모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격자크기가 입력데이터의 정보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는 경우의 모형의 불확실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차 및 3차 하천차수와 유역면적의 증가를 고려한 4가지 가상유역을 구성 하였다. 50m, 100m, 250m, 500m, 1000m의 격자를 사용하여 강우-유출모의를 수행하고, 격자에 따른 모의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유출구의 수문곡선을 작성하였다. 또한, 소유역에서 하천으로 유입되는 단위길이당 유량과 하천의 합류점 전..후 및 유출구의 하천유량에 대한 Nash 계수를 산정하고 비교하였다. 기준이 된 격자크기와의 차가 큰 격자가 사용된 경우 모의된 수문반응의 차이는 증가하였고, 대상 유역의 면적이 커질수록, 하천차수가 작을수록 그 차이는 감소하였다. 소유역에서 하천으로 유입되는 단위폭당 유량의 오차는 흐름길이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흐름길이가 일정한 소유역으로만 구성된 가상유역 I, II에 대한 수문모의에서 하천유량의 오차는 하천을 따라 증가한 반면, 각기 다른 흐름길이의 소유역으로 구성된 가상유역 III, IV의 경우, 오차는 하천의 흐름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갖지 않고, 하천의 합류를 통해 증가되거나 감소하였다. 이 경우, 유역 유출구의 총체적 수문반응의 오차는 1차 하천의 합류후 발생한 최대오차보다 작았다.량을 산출하여 하천환경정비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도록 하였다.구에 맞는 작물 생산 및 농촌관광단지 조성을 통해 부가가치증대 및 소득증대를 꾀함으로 농촌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GIS 와 RS의 기술이 농촌분야에 더 효율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농업기술센터를 통한 정보제공을 함으로써 대농민 서비스 및 농업기관의 위상이 제고 될 것으로 기대된다.여 전자파의 공간적인 가시화를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전자파 시뮬레이션 기법이 실무에 이용될 경우, 일반인이 전자파의 분포에 대한 전문지식을 습득할 필요 없이, 검색하고자 하는 지역과 송전선, 전철 등 각종 전자파의 발생 공간 객체를 선택하여 실생활과 관련된 전자파 정보에 예측할 수 있어, 대민 환경정보 서비스 질의 개선측면에서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사료된다.acid$(C_{18:3})$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야생 돌복숭아 과육 중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6.74%, 단불포화지방산 17.5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65.73%의 함유 비율을 보였는데, 이 중 다불포화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지질 구성 총 지방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함유 비율을 나타내었다.했다. 하강하는 약 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Anlysis of Fractal Characteristics in River Basin using GIS (GIS를 이용한 하천유역의 프랙탈 특성 분석)

  • Cha, Sang-Hwa;Kwon, Kee-W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4 no.4
    • /
    • pp.51-60
    • /
    • 2001
  • This study analyzed fractal characteristics of river basin by using GIS. In this study, topographical factors in river basin was grid-analyzed for each cell size by using GIS and regression formula was derived by analyzing correlation among topographical factors and cell size which were calculated here. And, analysis of fractal characteristics of river by using the result calculated from 1) showed that among topographical factors, river length only increases according as cell size increases. The result of calculating fractal dimension for each cell size shows that river length, basin area, and centroidal flow path are 1.028, 1.0026 and 1.0061 respectively.

  • PDF

A study on grid aspect ratio of fire dynamics simulator (FDS의 격자 종횡비에 관한 연구)

  • Kim, Won Ouk;Park, Woe-Chul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9 no.9
    • /
    • pp.923-928
    • /
    • 2015
  • The FDS is one of the most used programs for fire analysis and needs an optimal grid selection for an accurate analysis. This study selected various grid aspect ratios (ARs) for selection of optimal grid and analyzed them with FDS v 6.1.2. A calculation time of 10 min. was used, which is enough to obtain the time average value of temperature changes. Temperature, visibility, and the time average value of mass balance are obtained from 200-600 s, which is a period of maintaining quasi-steady state. Two polyurethane fires of 1 [MW] and 2 [MW] in two enclosures of $10{\times}10{\times}3[m^3]$ and $20{\times}20{\times}3[m^3]$ were considered. Time variations of heat release rates, temperature, visibility, and mass balance were compared for ARs from 1-6. The heat release rates were accurate for all aspect ratios regardless of fire and enclosure sizes. The quasi-steady state temperature and visibility were well predicted for $AR{\leq}5$. Temperature drop and skewness of mass conservation, however, increased with increasing aspect ratio. Therefore, careful investigation of the grid size is recommended in performance-based design when $AR{\geq}3$, where temperature and visibility in early stage of a fire are important parameters. For accurate simulations of enclosure fires, grid sizes of 0.1~0.2 [m] and small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leq}2$ are recommended.

Analysis of Prediction Results and Grid Size Dependence According to Changes in Fire Area (화원면적 변화에 따른 격자 크기 의존도 및 예측결과 분석)

  • Yun, Hong-Seok;Hwang, Cheol-Ho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3 no.6
    • /
    • pp.9-19
    • /
    • 2019
  • In fire simulations for building fire safety evaluation, changes in the fire area and grid size can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rediction results. Therefore, the effects of area changes of the fire source with identical maximum heat release rates on the prediction results of a compartment fire were investigated. The dependence of the prediction results on the grid size using the identical fire area was also examined.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therm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res with variable grid sizes, even though the fire area was changed when six or more grids were set based on the fire diameter. In addition, changes in the fire area caus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diction of major physical quantities associated with available safety egress time (ASET) within a compartment. However, the fire area changes did not considerably influence the overall fire characteristics outside the compartment after reach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pening.

Investigative Study on Proper Input Conditions of Numerical Model for Seepage Analysis (제방 침투 수치모형의 적정 입력조건 검토)

  • Im, Dong-Kyun;Kim, Kyu-Ho;Yeo, Hong-Koo;Kang, J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16-1720
    • /
    • 2006
  • 침투는 지반이 충적토로 구성되어 있는 제방의 파괴를 야기하는 중요한 원인이다. 침투 해석 수치모형은 제방 침투와 관련된 문제 해석과 방지기법 설계에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이나, 각각의 수치모형은 적용상 한계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실제 지하수 흐름은 간극률, 입자형상 및 크기, 포화도 등과 같은 토질특성, 내부침식과 같은 역학적 특성, 점성과 동결융해 같은 열역학적 특성, 그리고 화학적 특성 등 다양한 인자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물리적 인자 이외에도 침투 수치해석은 외력조건, 격자 크기(element size), 그리고 시간 간격(time step interval) 등 입력조건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들 설정에 대한 검토를 시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침투 수치모형의 적절한 입력조건 범위를 검토하였으며, 격자크기는 계산시간과 해석결과 등 수치모의의 효율성을 고려하였을 때 홍수위 혹은 제방고의 1/10이하로 결정하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침투수치모형의 시간 간격은 외력조건을 고려하여 1시간 이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침투해석 수치모의의 유의사항을 검토하여 해석결과에 대한 불확실성과 위험요소를 제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