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격막 작용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격막 작용을 갖는 솔리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연결장치 개발 (Development of Connector for Solid Precast Concrete Slabs with Diaphragm Action)

  • 이상섭;오근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3-424
    • /
    • 2024
  • 이 연구에서는 건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을 이용해 소형 건축물을 시공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솔리드 슬래브의 연결장치를 개발하였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에 대한 내진설계 요구사항 등을 조사하였고, 3층 소형 건축물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 구조의 연결부에 작용하는 부재력을 해석적으로 평가하였다. 개발한 반원형 연결장치의 면내 및 면외 보유 내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단층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를 대상으로 시험 적용을 통해 반원형과 평판형 연결장치의 시공성을 비교하였다.

자외선 조사 Escherichia coli B의 세포분열회복활성물질

  • 송방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6년도 제8회 학술발표회
    • /
    • pp.188.2-188
    • /
    • 1976
  • E. coli B 및 E. coli K-12의 Ion 변리주는 저중의 UV 조사에 의해 확산 및 단백질 합성은 그대로 지속되나 세포분열능은 상실되어 격막이 없는 다핵의 filament를 형성하므로 한무배지상에서 colony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와같은 균에 동일균 또는 타의 균체추출액을 가하어 주므로써 세포분열은 재개되며 그 활성물질중 $\beta-NAD가$ 중요한 인자로 작용함은 이미 발표되었으며 본보에서는 NAD 이외의 고분자활성물질에 대해 보고코저 한다.(중략)

  • PDF

RuO2를 양전극으로 사용한 무격막 전해셀에서의 이산화염소수 제조 (Preparation of Chlorine Dioxide Aqueous Solution by Un-divided Electrochemical Cell using RuO2 anode)

  • 권태옥;박보배;노현철;문일식
    • 공업화학
    • /
    • 제20권3호
    • /
    • pp.296-300
    • /
    • 2009
  • $RuO_2/Ti$를 양전극으로 사용한 무격막 전해셀(un-divided electrochemical cell) 시스템에서의 이산화염소수($ClO_2$) 제조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산화염소의 전구체로는 아염소산나트륨($NaClO_2$)이 사용되었으며, 무격막 전해셀에서 전구체 용액의 전해셀 주입유량, 전구체 용액 초기 pH, 아염소산나트륨과 전해질인 염화나트륨의 주입농도 그리고 전류밀도(current density)가 생성된 이산화염소수의 농도 및 pH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생성된 이산화염소수의 농도와 pH는 초기 전구체 용액의 pH와 전해셀 주입유량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해질로 사용된 염화나트륨은 전해질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이산화염소의 전구체로도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산화염소수 제조를 위한 무격막 전해셀에서의 전구체용액의 최적 주입유량은 90 mL/min, 전구체 용액의 초기 pH는 2.3, 아염소산나트륨 주입농도는 4.7 mM, 염화나트륨 주입농도는 100 mM 그리고 전류밀도는 $5A/dm^2$로 나타났으며, 이때 발생된 이산화염소수의 pH는 약 3, 이산화염소 농도는 약 350 mg/L이었다.

농흉환자에서의 늑막강내 유로키나제주입 전후의 섬유소 용해에 관한 연구 (Profiles of Local Fibrinolytic Activity before and after Urokinase Injection Into the Human Empyema Cavity)

  • 김용훈;김종봉;문종호;송동화;김현태;양동호;이상무;어수택;박춘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4호
    • /
    • pp.378-383
    • /
    • 1993
  • 연구배경 : 최근의 연구에서는 염증성늑막삼출의 경우, 늑막내의 응고작용은 증가되고 섬 유소용해능은 감소되어 흉수의 섬유소 제거가 감소됨이 보고되었다. 특히 농흉의 경우에 있 어서 섬유소침착이 진행되어 늑막강내에 격막이 형성되는 경우를 섬유소화농기로 분류하는 데 이때는 임상적으로 다수의 소방이 상호 분리된 격막으로 형성됨으로 늑막천자로서는 배 농이 불가능하며 단순폐쇄식 흉부삽관술을 이용한 치료로서도 완치가 어렵다. 따라서 최근 의 늑막강내로의 유로키나제(UK) 국소적 주입이 좋은 성적을 보임으로써 국소적 섬유소용 해치료가 농흉치료의 효과적인 한 방편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임상적 관찰에도 불구하고 UK주입후 과연 늑막강내의 섬유소용해능이 증가하는 지에 관한 직접적인 연구보 고는 없었다. 따라서 저자들은 늑막강내 UK의 주입이 국소적 섬유소용해능을 증가시켜 소 방의 용해를 촉진시킨다는 가설하에 농흉환자를 대상으로 유로키나제 주입전후의 흉수내 D-dimer(D-Di)와 plasminogen activator activity(PA-activity)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 다수의 소방이 형성된 14예의 농흉환자를 대상으로 UK주입전후의 흉수내 D-dimer를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로 측정하였고 PA-activity는 광발색법으로 측정 하였다. 일회 주입시 20만단위의 UK를 사용하였고 모든 환자에서 최소 2회 이상 투여하였으며 3회 주입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UK 주입전 PA-activity는 $10.5{\pm}7.0$ IU tPA/ml로서 UK 주입 1회 후, 2회 후, 3회 후 각각 $91.9{\pm}27.0$, $432.3{\pm}177.1$, $170.0{\pm}85.3$ IU tPA/ml로 유의하게 상승하였고(p<0.01) 2회 째 주입후 최고치에 도달하였다(p<0.01). D-Di 역시 주입전 $4.16{\pm}1.06{\times}10^5ng/ml$에서 주입 1회 후, 2회 후 및 3회 후 각각 $9.62{\pm}1.54{\times}10^5$, $12.31{\pm}1.89{\times}10^5$, $8.54{\pm}1.56{\times}10^5ng/ml$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p<0.05). 결론 : 늑막강내 유로키나제의 국소적 주입은 늑막내 plasmic을 생성하여 섬유소용해를 촉진시킴으로서 소방을 제거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오수처리 반응기에서 생물막 매개체에 부과한 전기화학적 산화전위가 생물막의 구조와 미생물의 대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lectrochemical Oxidation Potential on Biofilm Structure and Bacterial Dissimilation in Wastewater Treatment Bioreactor)

  • 나병관;박두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3-80
    • /
    • 2007
  • 생물막 매개체를 도자기 격막으로 구획된 오수처리 반응기에 장착하고 직류 2volt의 전압을 부과하여 생물막 매개체가 산화 전위를 유지할 수 있게 유도하였다. 반면 대조실험을 위해 사용한 반응조의 생물막 매개체에는 전압을 부과하지 않았다 ABM-반응기와 CBM-반응기에서 배양시간에 따른 생물막의 구조, 생물량의 변화, 오수처리 효율 등을 측정하여 상호 차이를 비교하였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ABM의 생물막은 CBM의 생물막에 비해 분산성이 크고 미생물이 과밀하게 성장하지 않았으나 CBM의 생물막은 배양 시간에 비례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생물막 매개체를 완전히 덮어 과밀 생물막을 형성하였다. ABM의 ORP는 CBM의 ORP 100 mV에 비해 매우 큰 차이를 보이는 800 mV를 유지하였으며, 반응액의 ORP 또한 ABM과 CBM의 영향을 받아 각각 550 mV와 400 mV를 유지하였다. ABM-반응기에서 오수처리 효율은 CBM-반응기에서 오수처리 효율의 약 2배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생물막 매개체에 부과한 양전위의 전기 에너지는 생물막을 구성하는 미생물 과밀현상을 억제하고 매개체의 ORP를 높게 유지함으로서 미생물의 대사 활성을 촉진하고 결과적으로 오수내 함유된 유기물의 산화효율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