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게임 평가

Search Result 958,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A Study of Evaluation Model of AR(Augmented Reality) Game (증강현실 게임의 평가모델 연구)

  • Park, Chan-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571-572
    • /
    • 2021
  • 게임의 평가모델은 게임의 성공적 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연구되어 왔다. 특히 게임의 사전 평가는 게임의 성공을 견인하는 중요 요소로 인식되어 왔다.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평가하는 연구가 있어왔으나 4차 산업을 대두로 기술적 발달에 근거한 가상현실 게임과 증강 현실 게임 평가 항목은 연구 결과가 많지 않았다. 특히 증강 현실 게임에 중점하여 평가 항목을 연구한 결과는 전무한 상태이며 온라인 게임 등 다른 장르의 게임 평가항목을 이용하여 왔다. 특히 게임의 재미 요소를 근간으로 하는 평가 항목을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며 장르 및 플렛폼에 따라 평가 항목이 다양하여 증강 현실에 적합한 평가 항목을 개발하여 이를 적용하여 유용성을 확인한다.

  • PDF

The Development Process of Quality Evaluation Indicators for Game Graphical Data (게임 그래픽 데이터의 품질평가지표 개발 프로세스)

  • Yoon, Seo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113-114
    • /
    • 2012
  • 게임이 기획, 그래픽, 프로그램의 복합적 기능을 가진 콘텐츠이지만 특별히 수준 높은 그래픽 데이터는 이용자의 만족도, 몰입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영역이다. 그러나 아직 국내외에 게임 그래픽 데이터의 품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게임 그래픽 데이터의 품질 평가를 위한 지표를 개발하는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세스는 그래픽 데이터의 품질 평가 영역 추출을 위한 방법과 세부 평가 지표 마련을 위한 평가 항목 추출방법들로 구성된다. 본 연구 결과는 고품질 게임 개발을 위한 품질평가 지표 개발에 적용될 것이며 관련 분야의 품질평가 모델 개발의 참조 모델이 될 것이다. 향후 본 연구는 국내외 게임 그래픽 데이터의 품질평가 표준안 설계 개발로 진행될 예정이다.

  • PDF

A Study of Evaluation Model of VR(Virtual Reality) Game (가상현실 게임의 평가 모델 연구)

  • Park, Chan-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345-34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게임의 평가 모델을 제안한다. 게임의 평가 모델은 장르별, 재미요소 특성에 맞게 연구 되어 왔다. 가상현실 게임에 대한 평가 모델은 아직까지 연구 제안된 모델이 없었다. 4차 산업과 연관하여 가상현실은 최근 가장 각광 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며 기술의 발달은 게임 분야와 관련하여 많은 발전을 지속하고 있다. 가상현실 게임의 평가 모델 항목은 5가지로 구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슈팅 게임을 활용하여 이를 평가 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평가영역을 바탕으로 가상현실 게임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이는 게임 개발의 성공을 위한 하나의 가치 척도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Fun Factor Evaluation Model for Online Game (온라인 게임의 재미요소 평가모델 연구)

  • Lee,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187-188
    • /
    • 2012
  • 전반적인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게임산업은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매년 새로운 게임이 계속 쏟아져 나오지만 시장에서 성공하는 게임은 드물다. 이는 게임의 핵심적 요소인 재미요소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게임의 재미요소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제안한다. 이 평가모델은 재미요소를 게임연출, 사운드, 조작성, 그래픽, UI, 기획성, 기술성 등 7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각 영역별로 세부 평가항목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설문을 개발하였다. 실험결과 논문에서 제안한 평가영역으로 게임의 재미요소를 수치화할 수 있으며, 여러 게임의 재미요소 정도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평가영역을 기반으로 해당 게임의 특성에 맞게 항목을 조절하여 게임의 재미요소 평가에 활용할 수 있다.

  • PDF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Web based Game Evaluation System (웹기반 게임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ang, Kie-Ho;Kim, Pyeoung-Kee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6 no.4
    • /
    • pp.75-85
    • /
    • 2011
  • Effective and Economic game evaluation before game publishing is very important for game development company.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developed an effective web based gam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ree major game genre including MMORPG, FPS, and web game. The proposed evaluation model consists of five evaluation items such as game interest, competitiveness, technology, earning power, and market value and has common evaluation items and independent ones according to game genre. To reflect characteristics of each game genre, we divided evaluation items into common evaluation elements and individual ones according to game genre. We applied the proposed system to two real games of a game development company and showed the result.

Validation in Emotional Evaluation System as Game Evaluation Tool -Focused on Comparison with Jakob Nielson's Evaluation System- (게임 평가도구로써 감성 평가시스템의 타당화 -Jakob Nielsen의 사용성 평가시스템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Seo, Mi-R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8
    • /
    • pp.86-93
    • /
    • 2007
  • Online game industry is also making much efforts in developing games that have emotional disposition which is rapidly growing by the increase of emotional demand by the user. In the online game development that induces immersion stimulating the emotion of the human has the evaluation stage it must surely pass, and in this stage, emotional evaluation system is known as the evaluation method that one can verify the function, usage and human emotion desire of the game before its launching. Nevertheless, at this situation the studying result is absent in the verification of efficiency and validity of the emotional evaluation system, this study is to work on the availability and validity of the emotional evaluation system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game comparing with the Jakob Nielsen's evaluation system through common user group which are the subjects.

An Exploratory Study of the Critical Factors for MMO Game Design based on Usability Evaluation (MMO게임 디자인을 위한 사용성 평가 핵심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Song, Seung-Keun;Lee, Joo-Hye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131-139
    • /
    • 2006
  • 컴퓨터 게임 산업의 급속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게임 타이틀만이 과도한 생산비를 감당하면서 수익을 내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마케팅 이론 에 의하면 제품의 성공과 실패는 고객의 선호도, 필요, 기대에 대한 만족도 에 의존한다고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게임에서도 사용자의 만족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무엇을 원하고, 좋아할지를 파악하여 이를 게임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MMO 게임 디자인을 위한 사용성 평가 핵심 요인을 고찰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게임 관련 HCI / 사용성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하여 사용성 평가 핵심 요소를 도출하고 게임 플레이 과 제와 사후 설문결과를 통하여 MMO게임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18가지 사용 성 문제 점과 그 권장사항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게임 인터페이스, 게임 플 레이, 게임 서사, 게임 메커니즘으로 구성된 54 개의 사용성 평가 핵심 요 소를 도출 하고 MMO 게임을 위한 새로운 사용성 평가 체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MMO게임 디자인 프로세스의 초기 단계에서 효과적인 디자인 의 사결정을 지원하고 게이머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 할 것 을 기대 된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f education effectiveness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serious games (교육용게임의 확산을 촉진시키기 위한 교육효과성평가모형의 개선)

  • Leem, Eek-Su;Wohn, Kwang-Y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330-1336
    • /
    • 2009
  • 게임의 교육적 목적으로의 활용에 대해 관심이 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도 불구하고 교육 분야에서 교육용게임의 채택은 더딘 편이다.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을 위해서는 교육용게임을 교육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학습자와 학부모, 교사들에게 제공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용게임의 효과성평가는 게임의 교육적 효과 및 가능성을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효과성평가방법을 사용한 연구는 학부모와 같은 의사결정권자에게 신뢰받지 못하고 있어, 교육용게임의 확산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모형을 사용한 효과성평가 결과는 개발자들에게 게임개선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할 수 없게 되어 있어 개발을 위한 개선자료로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용게임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효과성 연구방법개선 또는 수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교육효과성모형을 교육용게임개발을 이루고 있는 두 이론적 배경인 게임설계이론과 학습이론에 근거하여 기존 효과성평가방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두 이론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도출하여 게임에서 학습결과와 과정을 모두 평가하는 개선된 평가모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효과성평가가 단순히 학습량을 측정하여 단순하게 효과성의 유무만 보여주고 있다면, 개선된 모형은 효과성 유무와 함께 게임에서 학습의 과정을 보여줌으로서 게임의 관찰 가능한 효과성을 보여줌으로서 혁신의 확산을 촉진할 수 있는 지각된속성(Perceived Attributes)에 대한 정보를 효과성평가의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모형을 학부모 교사와 같은 교육 분야의 사람과 게임기획자 와 같은 개발자가 모두 만족 할 수 있는 결과를 보여 주는 효과성평가 모형으로 개선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Evaluation Model of Game Software (게임 소프트웨어의 품질 평가 모델)

  • Jung, Hye-Ju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8 no.6
    • /
    • pp.115-125
    • /
    • 2007
  • Game software is tremendous popularity in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so it rises market valu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tudy for the evaluation models of game software. In a general way, I think that ISO/IEC 9126 is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the software quality testing. Especially, game software quality has been more important on users and developers, so we need the compliance testing model of the game software.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game software quality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we propose the software quality metrics of testing. Also, we propose the evaluation model of game software on the basis of international standard ISO/IEC 9126, six quality characteristic point of view. That is functionality, reliability, usability, efficiency, portability, and maintainability.

  • PDF

A Study on the Quality Evaluation of Mobile Puzzle Game using AHP (AHP를 이용한 모바일퍼즐게임의 게임성 평가에 관한 연구)

  • Lee, Han-ho;Jung, In-Hoo;Lee, Jong-Wouk;Lee, Min-Seop;Noh, Ghee-You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6 no.1
    • /
    • pp.43-50
    • /
    • 2016
  • This research tried to evaluate the competitiveness of a mobile game in the aspect of emotional value which was developed on the purpose of improving specific emotional features. An evaluation of emotional value of a game before its commercial service will provide an effective advice for its marketing and service. The target game to be evaluated on this research is a mobile puzzle game of match-3 genre. We compared the game with Candy crush saga and Poko pang, and the indicators used to evaluate emotional features were flow, challenge, and intention of use. The importance values of indicators were calculated using AHP. And the three games were evaluated by pair-wise comparison method. Finally, the importance values of each indicators were applied to the evaluated results to make overall game quality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