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게임 이용 행태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2초

모바일 게임 중이용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게임 이용자 속성을 중심으로 (A study of influence factor on Mobile Game Heavy User - focused on Game User Properties)

  • 김혜빈;박영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493-501
    • /
    • 2015
  • 본 연구는 상호작용성이 가장 두드러진 디지털콘텐츠 중 하나인 모바일 게임 이용자 속성과 모바일 게임 이용 행태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탐색한다. 게임 이용 행태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요인 중 이용자 자체의 속성에 주목하고, 이용자의 개인적, 심리적 속성이 실제 게임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용자 속성은 크게 '대인관계, '게임 숙련도, '혁신 성향, '자아존중감, '경쟁심'의 다섯 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게임 이용 행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정량적인 행태인 '이용량(이용시간, 소비비용)'과 정성적인 행태인 '지각된 만족도(지각된 즐거움, 지각된 서비스 품질, 지각된 가격)'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대체적으로 본 논문에서 상정한 이용자 속성이 강할수록, 이용량과 지각된 만족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어떠한 속성을 가진 이용자가 더 많이 게임 콘텐츠를 이용하고, 소비하고, 만족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기존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 행태 및 중(重)이용에 관한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여성 유저의 온라인게임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 온라인게임에서의 젠더 정체성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Woman User Behavior Pattern in Online Games)

  • 석승혜;이지영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693-704
    • /
    • 2007
  • 지금까지 사이버문화에 대한 연구는 해당 문화의 가장 큰 특성 중인 익명성과 그것이 개별 이용자들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관심이 있어왔다.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싸이월드나 블로그 등 CMC환경에서 매체가 일반적으로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및 여성성과 연관되어 정체성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러한 이용 형태를 마케팅과 접목하여 높은 여성 참여와 구매력을 이끌어내고 있다. 반면 온라인게임은 남성 중심의 매체로써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여성의 온라인게임 이용 행태 분석 및 마케팅 전략 연구가 미흡하였다. 온라인게임에서 여성 이용자의 참여나 구매력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남성 중심적 매체에서 여성 온라인게임 유저의 이용 행태 분석 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여성의 온라인게임 소비 패턴과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고객 충성도, 구매력과의 관련성 속에서 마케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게임 여성 유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우선적으로 연령별 게임 이용 패턴 - 게임이용 장소, 초기 진입 방식, 커뮤니티 활동, 아이템 구매 형태 등 - 에 대해 알아보고, 다음으로 여성 유저의 게임 플레이 방식으로 게임 내 캐릭터의 전유 방식(몰입)과 게임 플레이 스타일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때 여성의 온라인게임 이용 방식이 남성적 매체라는 구조적 공간 내에서 여성의 성적 특성이 온라인게임 소비 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여성 유저의 이용 방식에 따라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 PDF

사회적 관계가 게임 이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 게임 선용 정도와 게임 과몰입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ocial Relationship on Adaptive and Maladaptive Game Use)

  • 백경민;유미현;강혜연;조문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77-85
    • /
    • 2020
  • 이 연구는 2019년에 수행된 게임 이용자 패널 예비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아동과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가 게임 선용과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심리학적 접근이 중심이 된 게임이용 연구에서 게임이용자의 사회구조적 특성과 맥락을 고려한 접근은 제한적이었다. 이에 이 연구는 게임이용자의 사회적 관계와 게임이용 행태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OLS 회귀 분석 결과 부모와 친구의 관계의 질이 게임 선용 정도와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게임 이용자가 게임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얻는 게임관련 정보는 게임 선용과 게임 과몰입을 모두 강화시키는 기제로 작동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선용과 과몰입이 상호 배타적인 기제라기보다 게임이용 행태의 사회적 맥락과 관련한 해석의 틀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청소년의 Big Five 성격 유형과 자기 조절 성향이 게임 과용, 선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 (Adolescents' Self-control and Big Five Personality Types Affecting Maladaptive and Adaptive Computer Game Use State)

  • 김영범;이상호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65-77
    • /
    • 2019
  • 컴퓨터 게임에 빠져든 청소년들은 대체로 게임 과용 상태나 선용 상태에 이르게 된다. 저자들은 이 두 게임 이용행태는 공통적으로 컴퓨터 이용시간과 관련이 있지만 그 정도는 청소년 개인마다 다르며 각자의 자기 조절 성향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저자들은 게임 이용시간이 그들의 게임 과용과 선용 행태에 영향을 미치고 그들의 자기 조절 성향이 이 두 관계를 조절하며, 개인의 그리고 자기 조절 성향은 다섯 가지 Big Five 성격 유형에 의해 예측되는 경로 모형을 연구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 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는 국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생 999명을 대상으로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Big Five 성격유형 중 청소년들의 개방성, 성실성은 자기 조절에 정(+)의 영향을, 외향성, 불안성, 친화성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청소년들의 자기 조절 성향은 그들의 게임 이용시간이 게임 과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음으로 조절했지만 선용 행태에 미치는 양의 조절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Big Five 성격 유형과 자기 조절 성향, 그리고 게임 이용시간의 관계 모형은 중독과 같은 그들의 게임 과용 행태를 예방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로그를 이용한 리테일 매장의 게임체험공간 내 방문고객의 게임 앱 사용행태 분석 (Behavior Analysis of Game Experienced Customer in Retail Store Game Zone using Smartphone log)

  • 김대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94-297
    • /
    • 2014
  • 리테일 업계의 최대 화두는 다양한 미디어 채널을 상호 연계하여 방문고객체험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리테일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들은 이미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관심상품을 미리 조회해보고, 상품평도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는 리테일 매장 내 게임체험 전용공간을 마련하고 방문고객의 게임 앱 사용행태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리테일 매장을 게임 홍보채널로 활용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는 게임 스타트업 업체에게 사용자 체험 극대화를 위한 제안 및 분석자료를 마련한다.

저공해차량의 최적구매행태 분석모형: 게임이론적 접근 (A Model to Analyze the Optimal Purchase of the Cleaner Vehicles: A Game Theoretic Approach)

  • 조인성
    • 산학경영연구
    • /
    • 제21권1호
    • /
    • pp.1-17
    • /
    • 2008
  • 저공해차량의 최적구매행태를 분석하는 게임이론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분석한다. 현실적으로 적용가능한 게임이론 모형을 설정하기 위해 게임의 결과(outcome)에 대한 의사결정자의 서수적 선호관계를 현실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수치로 나타내는 문제를 고찰하고, 각 시나리오별 게임의 분석에는 게임분석도구인 GAMBIT을 이용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 PDF

인터넷 서바이벌 게임 분석

  • 김진우
    • 디지털콘텐츠
    • /
    • 10호통권77호
    • /
    • pp.26-29
    • /
    • 1999
  • 최근 여러 단체들이 일정한 공간 및 기간동안 인터넷만을 이용해 살아가는 서바이벌 게임을 실시하고 있다. 인터넷 서바이벌 게임의 의미 중 하나는 콘텐트 제공자들이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여 더 낳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글에서는 조선일보사와 넷츠고가 공동 주최한 '제1회 코리아 인터넷 서바이벌 게임'에 대한 구체적인 생존 행태를 살펴봄으로써 인터넷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온라인 게임 과몰입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Interaction Factors Influencing on Excessive Online Game Usage)

  • 김용영;김미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387-398
    • /
    • 2016
  • 2000년대 들어 꾸준히 성장한 국내 게임시장 규모는 10조 원 대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게임 시장의 규모만 커진 것이 아니라 온라인 게임의 사용 행태도 변하고 있다. 전통적인 비디오 게임과 다르게 온라인 게임은 인터넷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을 허용한다. 온라인 게임은 일상적인 활동이 되었고, 사회적 상호작용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적 상호작용이 긍정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이로 인해 온라인 게임을 과도하게 이용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포괄적으로 바라보았던 사회적 요인을 체계화하여 온라인 게임의 과도한 이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을 고독 탈피, 가상세계 연계 확대, 현실세계 결속 강화로 세분화하고,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이 온라인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으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통해 고독 탈피, 가상세계 연계 확대, 현실세계 결속 강화 모두 온라인 게임의 과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실증하였다.

스마트 교육을 위한 수해양 전공학생과 일반학생의 스마트폰 활용 행태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Using Smartphone between Marine and General Students)

  • 김하영;허균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83-8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교육을 위한 수해양 전공학생과 일반고 학생의 스마트폰 활용 행태를 비교하고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일반고 학생과 수해양 관련 전공 계열의 학생 총 2,7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활용 행태에서 수해양 전공 학생들은 음악듣기, 동영상 감상, 시간보기, SNS, 학습 이외 정보검색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고 학생들은 음악듣기, 동영상감상, 학습 이외 정보검색, 시간보기, SNS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활용 행태 차이의 상위 세 항목은 게임, 19세 이상사이트 이용, 웹툰에서 비교적 큰 평균차이가 나타났다.

  • PDF

모바일 게임 플랫폼에서의 시그널의 유형과 시그널을 이용한 의사결정과정 (Signal Typology and Decision Making Process Using Signals in Mobile Game Platform)

  • 배준희;구동모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17-128
    • /
    • 2017
  • 본 연구는 모바일 게임 플랫폼에서 게임 품질에 대한 정보의 비대칭을 해결하기 위해 게임이용자들이 사용하는 시그널에 대한 질적 연구이다. 시그널 이론을 바탕으로 인터넷 문화기술지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로 시그널 유형에는 플랫폼 기반의 소비자 참여도가 높은 시그널, 플랫폼 기반의 소비자 참여도가 낮은 시그널, 게임회사 기반의 소비자 참여도가 높은 시그널, 게임회사 기반의 소비자 참여도가 낮은 시그널이 있다. 시그널을 이용한 게임 이용자들의 의사결정의 특징은 첫째, 순위와 다운로드 수는 게임이용자들의 판단의 기준이 되며 둘째, 게임 마케팅 플랫폼은 또 하나의 시그널이 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게임이용자가 선호하는 시그널은 게임이용 목적이나 행태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