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게임 이용 행동

Search Result 21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Influence that Heuristic Type has on Word of Mouth and Behavioral Intention in Mobile Game - Word of Mouth as a Mediator - (모바일 게임에서 휴리스틱 유형이 구전속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구전속성을 매개변인으로 -)

  • Kim, Jong-M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8
    • /
    • pp.269-278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outcome of 120 persons who used mobile gam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that heuristic type which affects users' selection has on word of mouth, the influence that word of mouth has on users' behavioral intention and whether word of mouth will play the role of mediation between heuristic type and behavioral intention or not. First, heuristic(representatives, adjustment) type is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word of mouth (favorableness, reliance, persuasiveness). Second, while reliance word of mouth is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favorableness, persuasiveness and word of mouth is not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Third, heuristic (representative, adjustment) type is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Fourth, only reliance, word of mouth is found to play the role of mediation in the role of heuristic type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outcome of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users' behavioral intention selecting game in mobile game market.

Creating Adaptive Behaviors for Shooting Game Characters Behavior-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행동기반 AI를 이용한 슈팅게임 캐릭터의 적응형 행동생성)

  • 구자민;홍진혁;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04a
    • /
    • pp.89-92
    • /
    • 2004
  • 로보코드는 사용자가 직접 제작할 수 있는 슈팅게임 환경으로서, 이를 이용한 경진대회가 개최되고 있다. 매우 다양한 작전을 구사하는 로봇들이 인터넷을 통해 공개되지만, 대부분의 전략은 사람이 직접 설계하여 행동이 단순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 행동을 구사하는데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아무리 훌륭한 전략을 가지고 있더라도 환경적 요소에 따라 예상치 못한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 적절한 행동을 선택하여 행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인 환경에서 적절한 행동을 선택하는 행동선택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대 전략에 따라 적절한 행동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로보코드에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상대 탱크의 전략에 따라 다양한 행동들을 자동으로 선택하였으며, 경기 결과로 그 전략의 우수성이 입증되었다.

  • PDF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Digital Gaming: Focusing on the Balance Relationship with Significant Others (디지털 게임에 대한 계획행동이론의 적용: 중요한 타인과 균형관계를 중심으로)

  • Gyu Hyun Ho;Eun Yeong Na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9 no.3
    • /
    • pp.275-304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chanisms underlying digital game usage behavior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Balance Theory. It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the intention to use digital games, as well as the differences in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model based on the balance state among individuals, significant others, and digital games. A total of 315 responses from adult PC game user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conducted from October 21 to 25, 2021, and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digital games, while subjective norms did not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By categorizing groups into balanced, unbalanced, and imbalance states based on the balance relationship,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model showed that in the unbalanced and imbalance groups, both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attitud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digital games. However, in the balanced group, attitude onl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game usage.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digital game users by examining both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influence of others on digital game usage behavior.

Steering behaviors that efficiently implement paths generated by Generalized Visibility Graph (일반화 가시성그래프에 의한 생성 경로를 효과적으로 구현한 조타행동)

  • Jeon Hyun-Joo;Yu Kyeon-Ah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190-192
    • /
    • 2006
  • 게임의 장르가 다양해지고 대규모의 온라인 게임이 가능해 징에 따라 게임 환경과 더불어 게임 안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수도 많아지고 있다. 게이머에 의해 움직이는 캐릭터 외에도 여러 종류의 다양한 NPC(Non-Player Character)들이 각각 맡은 임무를 띠고 각기 움직이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NPC들의 자연스러운 이동을 위해 제안된 일반화 가시성그래프를 이용하여 계획된 경로의 효과적인 구현을 위한 조타행동(steering behaviors)과 경로 이동 중에 만나는 다른 캐릭터에 대한 NPC들의 조타행동을 정의하고 구현하여 이동에 따른 효율을 실험해 본다.

  • PDF

Gesture-based User-Interface Through Hand-region Detection and Hand-movement Recognition (손영역 획득과 손동작 인식에 의한 제스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현)

  • Ko, Il-Ju;Bae, Young-Lae;Choi, Hyung-Il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8 no.4
    • /
    • pp.35-53
    • /
    • 1997
  • 본 논문은 컴퓨터 시각을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안하는 제스처 인식 방법은 손영역을 획득하는 손영역 획득 모듈?손영역을 인식하는 인식 모듈로 나누어 수행한다. 손영역 획득 모듈에서는 손색상 모델?손색상 결정함수를 정의하여 칼라영상의 영역 분리를 수행하였고, 칼만필터를 이용하여 손색상 모델을 갱신하고 탐색영역을 제한하여 영역 추적을 용이하게 하였다. 영역 추적은 전 시점의 손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현 시점의 손영역을 획득한다. 인식 모듈에서는 정적인 제스처를 표현하는 객체 프레임?행동 프레임, 그리고 동적인 제스처를 표현하는 스키마를 정의한다. 그리고 획득된 손영역?정합을 수행함으로써 제스처를 인식한다. 실험 결갬灌?제안하는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삼목(Tic-Tac-Toe) 게임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사용자는 제스처를 이용하여 컴퓨터와 게임을 진행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다른 종류의 게임 프로그램이나 마우스의 역할을 수행하는 윈도우 시스템의 제어, 그리고 가상 현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 PDF

Behavior Pattern Modeling based Game Bot detection (행동 패턴 모델을 이용한 게임 봇 검출 방법)

  • Park, Sang-Hyun;Jung, Hye-Wuk;Yoon, Tae-Bok;Lee, Jee-Hy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0 no.3
    • /
    • pp.422-427
    • /
    • 2010
  • Korean Game industry, especially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Game) has been rapidly expanding in these days. But As game industry is growing, lots of online game security incidents have also been increasing and getting prevailing. One of the most critical security incidents is 'Game Bots', which are programs to play MMORPG instead of human players. If player let the game bots play for them, they can get a lot of benefic game elements (experience points, items, etc.) without any effort, and it is considered unfair to other players. Plenty of game companies try to prevent bots, but it does not work well. In this paper, we propose a behavior pattern model for detecting bots. We analyzed behaviors of human players as well as bots and identified six game features to build the model to differentiate game bots from human players. Based on these features, we made a Naive Bayesian classifier to reasoning the game bot or not. To evaluated our method, we used 10 game bot data and 6 human Player data. As a result, we classify Game bot and human player with 88% accuracy.

An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Game Characters using Neural Networks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게임 캐릭터의 구현)

  • Cho Byeong-heon;Jung Sung-hoon;Seong Yeong-rak;Oh Ha-ryo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1B no.7 s.96
    • /
    • pp.831-840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cheme to implement intelligent game characters based on neural networks. Neural networks that implement in-telligent game character receive the action of an opponent charact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m, decide intelligent character's action, and output the decision. The neural networks are trained by reinforcement learning using the scores acquired by the actions of two characters as reinforcement values. To show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scheme, a simple fighting action game is implemented and various experiments are perform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proposed intelligent characters can learn the rule of the game. The proposed scheme can be ap-plied to massively multiple online games as well as fighting action games.

Generating various NPCs Behavior using Inference of Stochastic Finite Automata (확률 유한오토마타의 추론을 이용한 다양한 NPC의 행동양식 생성에 관한 기법 연구)

  • Cho, Kyung-Eun;Cho, Hyung-Je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 no.2
    • /
    • pp.52-59
    • /
    • 2002
  • This paper introduces FSM, statistical FSM and NFA that are used for assigning behaviors of NPCs in computer games. We propose a new method for remedy of the weakness of previous studies. We use the method of inferencing stochastic grammars to generate NPCs behaviors. Using this method we can generate a lot of MPCs or Computer Players behaviors automatically and the games will be more enjoyable.

  • PDF

Development of Emotion Interaction Technique based on the Electroencephalography(On-lone Game Application Study) (EEG를 통한 감성 교류 기법 개발(온라인 게임에의 적용 사례 연구))

  • 윤일배;최영준;윤명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211-121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감성 변화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오라인 포커 게임을 대상으로 EEG를 이용하여 게임 중 발생 할 수 있는 감성 변화를 알아내고자 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포커 게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사용자의 감성과 행동을 Task Analysis를 이용하여 구분하였고 전두엽 표면 뇌파를 측정하여 Neural Network 및 통계적 처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후 분석될 뇌파에서 인간의 감성상태를 구분할 수 있는 Index를 찾아내었다. 향후 ECG를 추가적으로 연구하여 감성상태를 더 정확하게 파악하는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 PDF

Implementation of an Interactive NPC with Community Bulletin Board and Game Ontology (커뮤니티의 게시글과 게임 온톨로지 이용한 대화형 NPC의 구현)

  • Park, Doo-Kyung;Yoon, Tae-Bok;Park, Kyo-Hyun;Lee, Jee-Hy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162-167
    • /
    • 2007
  • 최근 컴퓨터 게임에 등장하는 NPC(Non-player Character)에 각종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플레이어를 상대하는 적대적 입장의 NPC들의 움직임 조절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아직까지 게임 상에서 등장하는 모든 NPC는 항상 같은 말과 비슷한 행동을 되풀이하는 모습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플레이어가 게임을 비현실적으로 느끼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게임의 재미를 저하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플레이어에게 보다 현실적인 게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NPC가 단순히 게임의 배경을 구성하는 오브젝트가 아니라 다양한 대화를 통해 플레이어에게 많은 영향을 주게 하여 게임의 기여도를 높여주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게임 속에서 주어지는 퀘스트를 구성하는 NPC, 몬스터, 보상 등의 속성 정보를 온톨로지로 구성하고, 인터넷에 존재하는 게임 커뮤니티에서 퀘스트 질의/응답 게시판의 글을 추출하여, 플레이어의 관련 질의에 응답하는 NPC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온톨로지 정보를 이용한 검색 알고리즘을 구현하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NPC가 커뮤니티 게시글(국문/영문)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에게 고정되지 않은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동시에 유저의 게임 진행을 도와주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