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게임 문화

Search Result 91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Prospects of Game Industries in Emerging Contents Economy System (게임산업의 위상과 전망에 대한 일고찰)

  • Sung, Jae-Wha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 no.1
    • /
    • pp.5-16
    • /
    • 2001
  • Recently, Transition to the epoch of world has put an emphasis on the contents that has been emerging as the value of world economy. Consequently the core of industry is moving from IT industry to culture contents industry. Especially Game Industry among the culture contents industry is estimated that it will be the biggest power of influence in size and social influence. Game Industry is one of the high value-added, knowledge-based industries whose market is increasing faster than any other cultural industries. And game industry includes the technology, culture, cultural science and industry. It effectively symbolizes the character of synthetic entertainment industry in comparison with another industry. Also Game Industry is embedding as the superpower industry that competent to draw the whole development of culture industry because game development is intensifying into One-Source Multi-Use. It is important finding of this paper that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competitive power and understand value and character of contents and to project the policy of human power and technology of Game Industry.

  • PDF

A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Mobile Game Operation and Online Game Operation (모바일 게임과 온라인 게임 운영 차이에 관한 연구)

  • Choi, Yun-Seok;Kim, Hyo-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89-691
    • /
    • 2020
  • 현재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은 발전을 거듭하여 게임산업 비중과 매출이 PC온라인 게임 시장을 추월했다. 이로 인해 모바일 게임 시장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모바일 게임을 운영하기 위한 수단도 중요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네이버 카페를 통한 모바일 게임 운영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고, 별도의 홈페이지를 통해 모바일 게임 운영을 하고 있는 기업들을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해결 방안은 앞으로의 모바일 게임 운영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게임산업진흥법- 게임산업진흥법안의 허와 실

  • Lee, Taek-Su
    • Digital Contents
    • /
    • no.11 s.138
    • /
    • pp.64-66
    • /
    • 2004
  • 문화관광부는 음반비디오물및게임물에관한법률을 장르별로 별도 입법화한다는 방침을 세우면서 게임산업의진흥에관한법률제정안을 발표했다. 게임산업진흥법은 산업진흥을 위한 문화진흥을 기치로 내걸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하지만, 진흥법이라고 하기에는 규제 조항이 지나치게 많고 예산조달 항목이 없다는 한계성도 갖고 있다. 탄생 자체만으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으나, 동전의 양면을 하나의 법에 아우르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위험성도 내재돼 있는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meaning of game policy through the amendment of game law (게임 법률의 제·개정을 통해 본 게임정책이 지향하는 의미 탐구)

  • Kim, Min Kyu
    • Review of Culture and Economy
    • /
    • v.21 no.2
    • /
    • pp.53-88
    • /
    • 2018
  • Among the cultural industries, the game industry is the most economically valuable industry. It has been about twenty years since the game policy has been implemented and the game laws have been enacted. If the law is a willing expression for the realization of the policy, the orientation of the game policy can be grasped through revision of the game laws. SOUND RECORDS, VIDEO PRODUCTS, AND GAME SOFTWARE ACT, established in 1999, and GAME INDUSTRY PROMOTION ACT, which was enacted in 2006, are regulated by many revisions. In this paper, I try to understand the direction and meaning of Korean game policy(classification, game dysfunction, gambling, industry growth) through the contents of the revision of the game law for 20 years. The game policy shown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game law is intended to protect the game by regulating the game, and to protect the game user by preventing the gambling and preventing the game dysfunction, and to increase autonomy of users and choice of producers by switching to self rating system, and based on this, an environment for continuous industrial growth is created. In the future, game policies should consider cooperation with social areas beyond game-specific areas. On the other hand, it needs to respond to new agendas such as polarization of industrial structure, fair environment, employment environment.

A Study on Problem Based Storytelling of Digital Game Modification (디지털 게임 모드의 문제 기반 스토리텔링 연구)

  • Yun, Hye-You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6 no.3
    • /
    • pp.65-76
    • /
    • 2016
  • The paradigm of the human experience through computer as a medium is moving from cultural interface to cultural software. Mod represents this paradigm shift in digital game culture. Until now, Digital game play focused on the immersive agency in the process of achieving the goals of the game. On the other hand, In Mod, play focus on generative agency in the process of creating and solving problems in game world. Through Mod, original game perceived as transformable data and creative material. Transformation and generation of such a game content through the user's Mod presents a sustainable model of the digital game.

The Case of Fusion-based Education Game for Game Design (게임 디자인을 위한 융합 기반의 교육용 게임 접근 사례)

  • Eun, Kwang-H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0
    • /
    • pp.557-562
    • /
    • 2014
  • Recently, to make game gotten out of negative perception of game addiction and gradually established as an immersion-centric and ositive and new game culture of the digital era from a culture perspective,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game composed of various materials has been emerging. In other words, the important part to make the environment of game industry which is growing into a higher value-added business expanded in a short space of time as the base culture together with the public in cultural aspects is the development of game material which enables more various objects to approach besides the development of material focused on profit. Above all things, it is the easily accessible material through fusion sith the diverse contents by using elements of interaction, function, system which game itself has. In this connection, this study suggested design approach process ti fuse the material of positive function into game and also proposed the development case ay each level.

A study on Efficiency of Game Prototype Development Method with User Feedback and Quality Assurance (사용자 피드백 및 게임 QA가 결합된 게임 프로토타입 개발 방법론의 효율성 연구)

  • Yang, Dahyeon;Park, Chan-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575-576
    • /
    • 2021
  • 프로토타이핑은 게임의 방향성을 정하고 향후 완성된 게임의 모습을 예상케 해 제작 프로세스를 줄이고 제작 비용을 최소화 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 제작 프로젝트에서 프로토타입을 개발 방법론을 기본으로 하여 게임기획, 게임 QA, 게임 사용자의 피드백을 파이프라인으로 연결하여 게임성을 향상 시키는 개발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게임 개발에 있어 위 3가지 단계는 게임을 개발하는데 있어 게임성을 확보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임을 확인한다.

  • PDF

A Study on User Thinking in the NFT Game (NFT 게임에 대한 유저 인식 연구)

  • Kim, ji-eun;Park, Chan-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599-602
    • /
    • 2022
  • 글로벌 NFT 시장의 성장과 기술의 발전으로 기존의 디지털 아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군에서 NFT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게임 산업은 NFT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NFT 기술을 접목하여 개발한 게임(이하 'NFT 게임')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기존에 게임을 즐기던 게임유저들에게 NFT 개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NFT 기술의 게임 적용 유무에 대한 찬반, NFT 게임과 기존 게임에서의 결제 성향 차이 등을 조사하여 향후 게임 산업에서 NFT 기술을 접목할 때 유저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A Study on the Use of Risk-Based Exploratory Testing of Game Projects in College (대학의 게임프로젝트에서 리스크 기반의 탐색적 테스팅 활용 방안 연구)

  • Jeong, Jun-Ho;Lim, Tae-Min;Lee,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489-492
    • /
    • 2020
  • 현재 청강 게임 졸업작품 프로젝트에서 QA팀의 테스트 활동은 명세를 기반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대학의 게임 개발 프로젝트 특성상 체계적인 문서와 같은 테스트 베이시스를 확보하기 어렵다. 이렇게 부족한 명세를 기반으로한 테스트는 테스트할 게임의 전체를 커버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리스크 기반의 탐색적 테스팅 접근법을 활용하여 조금 더 효율적인 테스트 전략 및 프로세스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uccessful Strategy of 2D Masculine Games (2D 남성향 게임의 성공 전략에 관한 연구)

  • Lee, Seong-Hyeon;Lee,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501-504
    • /
    • 2020
  •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많은 게임들이 출시되고 있는 가운데 2D를 기반으로 한 게임들이 많이 출시가 되고는 있다. 하지만 과도한 성적 노출을 기반으로 한 게임이 늘고 있으며 기존 몇몇 게임마저 기존 유저를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도 쓰이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선 2D 남성향 모바일 게임들의 과도한 성적 표현을 지양하고 성공한 게임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 게임들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를 토대로 2D 남성향 게임의 성공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