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게임 교육

Search Result 1,20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게임 프로그래밍의 교육 방향

  • Kim, Gyeong-Sik
    • 한국게임학회지
    • /
    • v.2 no.2
    • /
    • pp.9-15
    • /
    • 2002
  • 본 고에서는 대학에서 교육시키는 게임 프로그래밍의 교육에 대해 기술한다. 게임 개발 과정 속에서 프로그래밍의 역할이 무엇인지, 학생들을 교육할 때 게임 프로그래밍 과목들의 운영은 어떻게 할지 등 게임학과를 운영하며 게임 프로그래밍을 교육시킨 경험을 통해 그 효율적 인 교육 방향에 대해 기술한다.

  • PDF

A Study on the Game Contents Curriculums of Universities in Korea (대학의 게임콘텐츠 교육과정 연구)

  • Oh, Hyoun 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243-24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게임 산업의 최근 동향과 함께 게임 산업의 인력 수급 현황을 살펴보고, 게임 교육기관 여섯 곳의 교육 시스템과 방향을 비교 분석하여 게임 교육기관의 변화와 현황 및 문제점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이는 문헌연구와 인터넷을 통해 해당 학교별 특징과 장단점을 정리하고, 공통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도출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게임개발사 직원들을 대상 게임 산업 전문가를 두 그룹으로 분류하고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게임 전공자에 대한 만족도와 우수 업무능력, 부족한 업무능력, 교육기관에 요구하는 교육내용 및 소양 등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 시켰다. 이에 대한 결과로 특정계열 및 세부전공으로 편향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교육 기관이 많은 점과, 게임 세부 직무별 전문성과 응용력 향상에 적합한 교육과정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은 점, 창의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이 매우 부족한 점이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게임 콘텐츠산업과 교육기관 각자의 역할에 대한 정체성과 교육기관의 교육방향성을 통한 미래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f education effectiveness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serious games (교육용게임의 확산을 촉진시키기 위한 교육효과성평가모형의 개선)

  • Leem, Eek-Su;Wohn, Kwang-Y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330-1336
    • /
    • 2009
  • 게임의 교육적 목적으로의 활용에 대해 관심이 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도 불구하고 교육 분야에서 교육용게임의 채택은 더딘 편이다.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을 위해서는 교육용게임을 교육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학습자와 학부모, 교사들에게 제공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용게임의 효과성평가는 게임의 교육적 효과 및 가능성을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효과성평가방법을 사용한 연구는 학부모와 같은 의사결정권자에게 신뢰받지 못하고 있어, 교육용게임의 확산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모형을 사용한 효과성평가 결과는 개발자들에게 게임개선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할 수 없게 되어 있어 개발을 위한 개선자료로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용게임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효과성 연구방법개선 또는 수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교육효과성모형을 교육용게임개발을 이루고 있는 두 이론적 배경인 게임설계이론과 학습이론에 근거하여 기존 효과성평가방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두 이론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도출하여 게임에서 학습결과와 과정을 모두 평가하는 개선된 평가모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효과성평가가 단순히 학습량을 측정하여 단순하게 효과성의 유무만 보여주고 있다면, 개선된 모형은 효과성 유무와 함께 게임에서 학습의 과정을 보여줌으로서 게임의 관찰 가능한 효과성을 보여줌으로서 혁신의 확산을 촉진할 수 있는 지각된속성(Perceived Attributes)에 대한 정보를 효과성평가의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모형을 학부모 교사와 같은 교육 분야의 사람과 게임기획자 와 같은 개발자가 모두 만족 할 수 있는 결과를 보여 주는 효과성평가 모형으로 개선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고등학교 게임교육에 관한 연구

  • Go, Byeong-Hui;Kim, Seong-Nam;Jeong, Gwang-Ho
    • 한국게임학회지
    • /
    • v.2 no.2
    • /
    • pp.16-21
    • /
    • 2002
  • 경쟁력 있고 완성도 높은 게임 제작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폭넓은 게임 기반 지식과 다년간의 실무경험이 있어야 비로소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는 게임 열풍에 힘입어 게임 교육기관에서의 특화되지 않고 일반적인 게임교육 보급이 팽배해져 있고, 경험 있는 전문 게임 개발인력, 교수인력, 마케팅인력이 절대 부족한 상황에서 게임산업의 초석을 다지기 위해서는 고등학교에서부터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게임 전문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이다.

  • PDF

A Study on the Next Generation Game Education (차세대 게임 교육에 대한 연구)

  • Do-Ky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123-126
    • /
    • 2023
  • 최근 몇 년간 게임 산업은 급격한 성장을 보이며, 이에 따라 게임교육 역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전까지는 게임이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일반적인 인식이 있었으나, 현재는 게임을 학습에 활용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게임이 교육 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다는 아이디어는 이미 과거부터 제시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아이디어가 혁신적인 게임교육 분야로 진화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차세대 게임교육의 발전 방향을 살펴보고, 인공지능, 가상현실 및 협력학습 기술이 어떻게 게임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지 논의할 것이다.

  • PDF

A Research on the Extended Definition of Educational Serious Game and Guiding Directions through Categorizations of Serious Games (교육을 위한 기능성 게임 연구의 확장적 정의와 범주화를 통한 기능성 게임 연구의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Kim, Sa-Hoon H.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2 no.1
    • /
    • pp.3-13
    • /
    • 2012
  • The study was conducted for cohering academical achievement of serious game studies as well as for attempting to give directions for interdisciplinary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first, it provides a rationale for integrating game studies lied scattered into a game study field or game industry. Second, by providing exemplary studies according to categories and by analyzing how those studies have been studied, this study provides a milestone for future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serious game studies. In the article, the author suggests the extended definition of educational serious game study. The educational serious game study is "the study which investigates educational affordances of game including both explicitly intended designed for education and designed for fun but having implicit educational meanings, through the context of formal educational settings as well as informal environments." The author also researched how extended educational serious game studies have been researched according to four categories; game studies which researched educationally designed serious games, commercial games used for educational fields, educational serious games for informal learning, and those found meanings of games. This study has scholarly significance, especially on game study fields. for delineating game studies, a range of proposed and actual applications of educational serious game are reviewed, guiding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nalysis of Educational Game in China (중국에서의 교육용 게임 분석)

  • Duan, XiaoYun;Im, Kwang Hyuk;Kim, Soo-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351-352
    • /
    • 2014
  • 교육용 게임의 목표는 교육 게임 산업보고서에서 밝힌 것과 같이 게임 사용자의 지식, 기술, 지력, 정감, 태도, 가치관, 그리고 교육적 효과를 가지도록 해야 하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오락성에 못지않게 규칙, 경쟁, 도전 같은 요소들 또한 내포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중요한 요소는 게임이 주는 교육적 효과라고 볼 수 있는데, 만약 교육적 효과가 높다면 좋은 게임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일반적인 게임과 마찬가지로 교육용 게임에 대한 시선은 좋지 못한 것이 사실이며, 이러한 시선으로 인해 교육용 게임은 크게 보편화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교육용 게임에 대해 소개해 본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coding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learning achievement using educational game (기능성 게임을 활용한 코딩교육의 효과 및 학습 성취도 향상을 위한 연구)

  • Kim, Nayou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7 no.4
    • /
    • pp.161-168
    • /
    • 2017
  • This study introduces coding education using functional game and the effect of game quality on learning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of game quality on the learner's attitude, learning immersi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preference for elementary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consider the effect of quality improvement of educational games on learning and we suggest that when designing an educational game, game performance and quality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erious Game "Happy Class" for Preventing Cyber Bullying (사이버불링 예방 기능성 게임 "해피 클래스" 개발사례 연구)

  • Yoon, Hyung-Sup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0 no.2
    • /
    • pp.45-60
    • /
    • 2020
  • Cyber bullying is increasing these days and becoming a serious social problem that gives rise to issues such as school violence and cyber crimes. We had developed a serious game-based education program for teenagers who are familiar with computer games. After pilot test the educational effect was also found to be high. I have found the followings in this case study. Serious game is effective media for cyber bullying prevention education. Second, cooperation between content experts and game development experts is essential to develop educational games.

A case study of education game - In the case of Jumbini 2 (mountain rescue operations) (교육용게임의 적용 사례 분석 - 줌비니2(산악구출작전)을 중심으로)

  • Lee, Jong-Ho;Lee, Dong-Lyeor;Lee, Wan-Bok;Ryu, Seuc-Ho;Kyung, Byung Py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4
    • /
    • pp.459-465
    • /
    • 2013
  • In this study, an educational game named "Jumbini 2: Mountain Rescue Operation" is compared and analyzed as a case of highly effective educational as well as significant popular game. In order to develop effective game software for education, stories and structure elements of the game are examined. Significant results are found on aspects of value and effect as an educational game, analyzing based on goal, rule, competition, challenge, fantasy, safety and fun, which are general elements for educational ga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