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게임을 통한 교육

Search Result 16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Suggestion of Educational Model Based on Internet Games (인터넷 게임을 기반으로 한 교육모텔 제시)

  • 김종훈;김우경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2 no.6
    • /
    • pp.759-774
    • /
    • 2001
  • This research has the theoretical faces of education with the internet games are based on the Networking and interactive features be caused by network focused on cooperative education, and presentation about educational game model. It includes educational features about various internet games(adventure game, simulation game). Educational game model is a definite model can realize the learning with internet game according to each stages of educational games are based on the networking.

  • PDF

고등학교 게임교육에 관한 연구

  • Go, Byeong-Hui;Kim, Seong-Nam;Jeong, Gwang-Ho
    • 한국게임학회지
    • /
    • v.2 no.2
    • /
    • pp.16-21
    • /
    • 2002
  • 경쟁력 있고 완성도 높은 게임 제작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폭넓은 게임 기반 지식과 다년간의 실무경험이 있어야 비로소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는 게임 열풍에 힘입어 게임 교육기관에서의 특화되지 않고 일반적인 게임교육 보급이 팽배해져 있고, 경험 있는 전문 게임 개발인력, 교수인력, 마케팅인력이 절대 부족한 상황에서 게임산업의 초석을 다지기 위해서는 고등학교에서부터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게임 전문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이다.

  • PDF

A Study on the Game Contents Curriculums of Universities in Korea (대학의 게임콘텐츠 교육과정 연구)

  • Oh, Hyoun 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243-24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게임 산업의 최근 동향과 함께 게임 산업의 인력 수급 현황을 살펴보고, 게임 교육기관 여섯 곳의 교육 시스템과 방향을 비교 분석하여 게임 교육기관의 변화와 현황 및 문제점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이는 문헌연구와 인터넷을 통해 해당 학교별 특징과 장단점을 정리하고, 공통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도출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게임개발사 직원들을 대상 게임 산업 전문가를 두 그룹으로 분류하고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게임 전공자에 대한 만족도와 우수 업무능력, 부족한 업무능력, 교육기관에 요구하는 교육내용 및 소양 등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 시켰다. 이에 대한 결과로 특정계열 및 세부전공으로 편향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교육 기관이 많은 점과, 게임 세부 직무별 전문성과 응용력 향상에 적합한 교육과정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은 점, 창의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이 매우 부족한 점이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게임 콘텐츠산업과 교육기관 각자의 역할에 대한 정체성과 교육기관의 교육방향성을 통한 미래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Serious Games fo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Middle Schools: A case of Science Heroes Game Development (기초 과학 원리 이해를 위한 기능성 게임의 활용: 사이언스 히어로즈 게임 개발의 사례)

  • Baek, Seungho;Park, Ji-Young;Jee, Hyungkeun;Han, JungHy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4 no.6
    • /
    • pp.89-98
    • /
    • 2014
  • In this paper, we have described a survey of applications and results of serious games fo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 constructed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curriculum for learning natural science principles through game contents by analyzing science cours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Based on this curriculum, we developed science educational serious games 'Science Heroes' to help teaching-learning difficulty caused by abstract science concepts or spatial-temporal limitation. In our research, we carried out a serious game evaluation test for our game contents by current teachers about applicability to the real education field and supplementary points.

Pre-Service Primary Teachers' Mathematical Investigation Through Transforming Mathematical Games (수학적 게임 변형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탐구 경험)

  • Lee, Dong-Hwa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6 no.1
    • /
    • pp.143-157
    • /
    • 2016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mathematical games as a way to provide primary pre-service teachers with doing mathematics. The game had induce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ransforming the game, the teachers have been able to experience of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nd generat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 Based on this, we discuss the role of mathematical games as a method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mplementation of Animation for Family Pack Games (패밀리 팩을 이용한 게임에서 애니메이션의 구현)

  • 류동항;정민수;이종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624-626
    • /
    • 1998
  • 현재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용 게임과 관련 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그리고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와 흥미 유발을 위한 여러 가지 애니메이션 기법들이 발표되었다. 교육용 프로그램에서 애니메이션을 통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은 교육 효과를 높이는데 매우 이상적인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컴퓨터가 아닌 가정용 패밀리 컴퓨터를 위한 몇 가지 애니메이션 기법을 구현하여 패밀리 게임을 개발하였다.

  • PDF

TryCoding: Learning Programming through game (TryCoding: 게임을 통한 프로그래밍 학습)

  • Kim, Min-Woo;Kim, Youn-Ki;Kim, Ki-Sik;Choi, Guy-Jin;Yoo, Hwa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608-610
    • /
    • 2017
  • 최근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요구가 그 어느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특히 프로그래밍교육이 초등학교때부터 의무화되는 2018년을 맞이하여, 수많은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트라이코딩은 게임을 사용하여 학생 스스로가 프로그래밍 및 알고리즘을 학습할 수 있다. 트라이코딩은 기존의 블록기반 및 그림 기반의 프로그래밍 교육을 거친 학생 또는 처음 접하는 학생도 쉽게 게임을 통하여 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게 설계를 하였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기본적으로 영어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기초 영어에 대한 이해도가 없이는 이 게임을 진행하기는 힘들어, 추후 게임내에서 사용되는 기초영어 정도는 이 게임에서 학습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A proposal of Edu-game System for Providing knowledge on Level (지식전달 에듀게임 체계 제안)

  • Park, Eun-Young;Hwang, Sin-Hee;Park,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157-160
    • /
    • 2007
  • 네트워크로 연결된 온라인상의 게임은 상호 작용이라는 특성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흥미로운 요소를 가진 있는 게임의 장점과 온라인 교육의 장점을 결합한 교육용 게임이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한 온라인 교육용 게임은 단지 게임과 교육을 결합 하는 것에만 치중하여 심층적인 학습이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 또한 교육효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위해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교육의 방법에 있어서 퍼즐이라는 게임의 형식을 기반으로 세 단계 계층구조를 통한 지식전달의 체계를 제안하고 있으며 누구나 쉽게 접근 가능한 인터페이스 방법 또한 함께 제안하였다.

A Proposal on an Edu-Game Mechanism for Effectively Knowledge by using Hierarchical Configuration (계층적 지식전달을 위한 효과적인 에듀게임 체계제안)

  • Park, Eun-Young;Park, Young-Ho;Hwang, Si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2
    • /
    • pp.83-90
    • /
    • 2008
  • An on-line game is growing of very fast through characters of the interactive Computing and internet environment. In addition, an edu-game combing the advantages of the game and the education increase gradually. The paper proposes an edu-game system for providing knowledge through the hierarchical structure. The system differs from existing ones that combine a game and an on-line education. There are three different goals as follows. First, the paper proposes three-level of knowledge hierarchies. The method enables users to understand more easy and systematic and interesting education. Second, the graphic interface of a puzzle type is able to contact more conveniently and it provides beauties and functionalities. Third, Among them, specifically the knowledge hierarchy is not forced to users and the method also can study in detail and users can enjoy systematically e-education by using the general type of a puzzle g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