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게임요구도

Search Result 55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esthetic Potential and Value Characteristics of the Game (게임의 미학적 잠재성과 가치 특성)

  • Lee, Jangwon;Yoon, Joonsu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6 no.5
    • /
    • pp.131-148
    • /
    • 2016
  • The cultural status of the game is always compared with the various area of art, and this discussion is continuing from appearance of the game to the present. During the same period, the cultural influence of the game is gradually increased, but public awareness was significantly undervalued the artistic value of the game. So, the change in this evaluation is needed in order to constantly maintain a cultural influence and to provide a positive influence on our society.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he research to prove their aesthetic value in the viewpoint of the game. This paper explores the new aesthetic potential of the game through a discussion of various similar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s and art. We look at the views on the game from the artistic point of view through game art and art game. And it find out the aesthetic subject and value of game. Finally, the approach through features of the information aesthetics and the generative aesthetics helps your understanding of the game aesthetics.

A Study on improvement of education effectiveness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serious games (교육용게임의 확산을 촉진시키기 위한 교육효과성평가모형의 개선)

  • Leem, Eek-Su;Wohn, Kwang-Y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330-1336
    • /
    • 2009
  • 게임의 교육적 목적으로의 활용에 대해 관심이 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도 불구하고 교육 분야에서 교육용게임의 채택은 더딘 편이다.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을 위해서는 교육용게임을 교육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학습자와 학부모, 교사들에게 제공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용게임의 효과성평가는 게임의 교육적 효과 및 가능성을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효과성평가방법을 사용한 연구는 학부모와 같은 의사결정권자에게 신뢰받지 못하고 있어, 교육용게임의 확산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모형을 사용한 효과성평가 결과는 개발자들에게 게임개선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할 수 없게 되어 있어 개발을 위한 개선자료로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용게임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효과성 연구방법개선 또는 수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교육효과성모형을 교육용게임개발을 이루고 있는 두 이론적 배경인 게임설계이론과 학습이론에 근거하여 기존 효과성평가방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두 이론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도출하여 게임에서 학습결과와 과정을 모두 평가하는 개선된 평가모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효과성평가가 단순히 학습량을 측정하여 단순하게 효과성의 유무만 보여주고 있다면, 개선된 모형은 효과성 유무와 함께 게임에서 학습의 과정을 보여줌으로서 게임의 관찰 가능한 효과성을 보여줌으로서 혁신의 확산을 촉진할 수 있는 지각된속성(Perceived Attributes)에 대한 정보를 효과성평가의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모형을 학부모 교사와 같은 교육 분야의 사람과 게임기획자 와 같은 개발자가 모두 만족 할 수 있는 결과를 보여 주는 효과성평가 모형으로 개선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obile Baduk-Game on the Cube (6면체 표면에서의 모바일 바둑게임)

  • Sung, Jae-Kyung;Kim, Yong-Gu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830-83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바둑을 응용하여, 모바일에서 가능한 6면체 게임으로 구현 하였다. 기존의 바둑과 같은 룰과 비슷한 내용의 게임으로서 모바일 버튼의 단순 조작만으로 가능한 게임이다. 게임에 사용되는 6면체 바둑판과 바둑돌들은 PHOSHOP을 이용하여 3차원 모양의 객체로 생성하였다. 프로그래밍은 SKT GENX기반으로 구현하였다. 기존의 바둑판은 가로 세로 교차된19줄이 평면에 그려져 있으나, 6면체 바둑판은 한 평면에 가로 세로 5줄이 주사위 모양의 6표면에 연결되어있다. 대국 시의 모바일 화면 인터페이스는 바둑판의 6면 중 3면을 동시에 보이는 입체도와 6면을 펼친 전개도가 있다. 입체도는 모바일 버튼 조작에 의해 6면을 상하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입체도와 전개도는 동시에 보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사용자 선택에 의해 두 그림의 크기 위치 등이 다양하게 가능하도록 제공하고 있다. 바둑돌의 착점방식은 모바일 버튼 조작에 의해 커서의 이동으로 가능하다. 게임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람과 사람이 가능하도록 약식으로 구현하였다. 게임의 내용은 6면의 입체적 상황을 고려하면서 작전을 세워야 하므로 기존의 평면바둑에 비해 좀더 고난도의 사고와 전략을 요구하는 게임이다. 그리고 6면체 바둑게임은 모바일 스크린환경에서 기존의19줄 평면바둑이 문제시 될 수 있는 가독성과, 한 게임에 사용되는 시간에 대해서 유리한 요인으로 실용화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Creational Patterns Application to the Game Design Using the DirectX (DirectX를 이용한 게임 설계에서의 생성 패턴 적용 기법)

  • Kim, Jong-Soo;Kim, Tai-Suk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8 no.4
    • /
    • pp.536-543
    • /
    • 2005
  • 3D online game, with its striking realistic value, is leading the entire Korean game market which has various game genres. Technology sharing is very hard within the Korean game industry. That is because 1)there are few professionals, 2)most of the companies are small-scaled, and 3)there are security reasons. Therefore, it should be significant if we have software design techniques which make it possible to reuse the existing code when developing a network game so that we could save a lot of efforts. In this paper, the author analyzes the demand through the case in the client's design of the network game based on DirectX and proposes the effective software design methods for reusable code based on the creative patterns application in the GoF in the class design.

  • PDF

A Study on the Creative Game Design Framework (창의적인 게임아이디어 발상에 관한 방법 연구)

  • Choi, Dong-Seo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1 no.4
    • /
    • pp.49-59
    • /
    • 2011
  • The creativity is the important ability required to game designers. But there is few research for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and creative thinking method. This study suggests that what creativity is and how to use creative thinking methods in the game design. In the first, this study analyzes three types of creativity meaning: revolutionary creativity, evolutionary creativity and impromptu creativity. In the second, this study suggests that how to use thinking methods that are mind map, brainstorming, check list and etc. The game designer's creativity can be improved by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Applicability Analysis of Formal Methods for Game Software (게임 소프트웨어를 위한 정형기법의 적용성 분석)

  • Son, Han-S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11
    • /
    • pp.52-58
    • /
    • 2007
  • The game software development involves planning, programming and graphics. Between planning and programming, software analysis and design is essential and plays the role of a bridge. This article analyzes, for game software, the applicability of formal methods, which are widely used in general software engineering fields. Since the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game planners and game developers is crucial, appropriate application of formal methods give us a lot of benefits in view of development cost and software quality.

Development of The Distributed Real-Time Wargame Simulation Using TMO Model (TMO모델을 이용한 분산 실시간 워게임 시뮬레이션 모델의 개발)

  • 박현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8.03a
    • /
    • pp.33-36
    • /
    • 1998
  •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위게임 체계는 실 기동훈련체계를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육군의 부대훈련체계로서 정착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실시간에 전장상황을 처리하고 필요시 진행시간 조정, 상황 재현 등의 임의 통제가 가능한 워게임 모델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기능, 다제대 동시훈련이 가능한 분산형 워게임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을 수행한 내용으로, 연대전투모델에서 분산 처리가 가능한 분야를 도출하고, 이를 실시간 처리 기준에 맞도록 모델링에서 분산 처리가 가능한 분야를 도출하고, 이를 실시간 처리 기준에 맞도록 모델링에 반영하였다. 분산 워게임 모델 구현을 위하여 실시간 분산객체 기술의 한 분야인 TMO(Time Triggered Message Triggered Object) 모델을 기반으로 nstks처리 모델을 설계하였고,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분산형 워게임 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 결과와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4-DAT based on Evaluation Algorithm for Game Development Process (4-DAT 기반의 게임 개발 프로세스 평가 알고리즘)

  • Lee, Ji-Won;Park, S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95-9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분석 도구인 4-DAT를 이용하여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애자일 프로세스인 XP와 스크럼을 비교분석하였고, 게임 개발 프로세스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새로운 개발 방법 평가 알고리즘은 기존의 4-DAT가 포함하고 있는 4차원의 고려사항을 3차원으로 재정의하여 통합한 것으로, 게임 개발 환경에서 기존의 XP와 스크럼이 가지는 제약성을 보완할 수 있고, 게임 개발을 위한 프로세스의 도입에 있어 부족한 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 실험의 방법으로서 실제 개발한 모바일 게임의 주기와 실행방법을 분석하여 5항목의 상황변수를 정의하였고, 4-DAT가 가지는 기준에 적용하여 기초 자료를 도출하여, 재구성한 3-DAT를 기반으로 정의된 상황변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6가지의 상황에 따른 데이터를 구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게임 개발에 적합한 프로세스의 요구사항을 알 수 있었다.

  • PDF

TryCoding: Learning Programming through game (TryCoding: 게임을 통한 프로그래밍 학습)

  • Kim, Min-Woo;Kim, Youn-Ki;Kim, Ki-Sik;Choi, Guy-Jin;Yoo, Hwa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608-610
    • /
    • 2017
  • 최근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요구가 그 어느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특히 프로그래밍교육이 초등학교때부터 의무화되는 2018년을 맞이하여, 수많은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트라이코딩은 게임을 사용하여 학생 스스로가 프로그래밍 및 알고리즘을 학습할 수 있다. 트라이코딩은 기존의 블록기반 및 그림 기반의 프로그래밍 교육을 거친 학생 또는 처음 접하는 학생도 쉽게 게임을 통하여 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게 설계를 하였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기본적으로 영어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기초 영어에 대한 이해도가 없이는 이 게임을 진행하기는 힘들어, 추후 게임내에서 사용되는 기초영어 정도는 이 게임에서 학습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Rule based Semi-Supervised Learning Gomoku Game AI Framework for Control Game Environment (게임 환경을 통제할 수 있는 규칙 기반 Semi-Supervised Learning 오목 인공지능 프레임 워크)

  • Kim, Sun-Min;Gu, Bo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05a
    • /
    • pp.618-620
    • /
    • 2022
  • 게임은 수많은 NPC 와 규칙에 의해 작동되는 가상 공간을 의미한다. 이런 가상 공간에서는 규칙을 엄격히 지키면서 수행되는 AI 를 필수로 요구하게 된다. 하지만 강화 학습 기반의 AI 는 복잡한 게임의 규칙을 온전히 지키지 못하고 예상 밖의 행동을 돌출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도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규칙 기반으로 획득한 오목판의 확률 맵과 학습을 통해 획득한 확률맵 데이터를 병합하여 가장 높은 Value 를 가지는 위치를 다음 수로 반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ANN(Approximate Nearest Neighbor)알고리즘을 적극 활용하여, 커널의 State 와 보드의 State 비교를 확률적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프레임 워크는 게임 AI 연구에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